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무용진로탐색 과정에서 경험하는 즐거운 삶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용 진로 탐색을 결정한 청소년 2명과 청소년의 무용 교사 2명으로 유 목적 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90978
2017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5-32(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무용진로탐색 과정에서 경험하는 즐거운 삶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용 진로 탐색을 결정한 청소년 2명과 청소년의 무용 교사 2명으로 유 목적 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무용진로탐색 과정에서 경험하는 즐거운 삶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용 진로 탐색을 결정한 청소년 2명과 청소년의 무용 교사 2명으로 유 목적 표집하여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관련된 문서자료 수집 및 심층면담을 통해 코딩과정과 종합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연구문제에 적합한 핵심주제를 도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청소년들은 무용교사의 신뢰관계를 토대로 흥미와 지속적인 경험을 통해 진로 방향을 확고히 하였으며, 나날이 발전해 가는 무용 실력에 대해 보람과 무대 경험과정을 위한 자기 관리에 대한 자신감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타 학생과 의 수업으로 인한 내적 자극과 공연 관람을 보며 다양한 동기부여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갖게 되면서 무용 진로탐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무용교사들의 리더십과 다양한 수업지도를 통해 청소년들은 미래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목표로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진다. 그리고 지속적인 무용 몰입과 자기 관리를 통해 본인의 삶을 만족하게 되면서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부모님과의 갈등도 완화되어 불안한 신뢰관계가 회복되었다. 즉, 청소년의 무용 진로탐색으로 진로상담을 통해 무용수업이 보람있고,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효과를 유발하였으며, 이로 인해 몰입에 대한 즐거움과 내외적으로 긍정적인 즐거운 삶이 변화가 논의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enager's enjoyable life in their dance career development process. so, this study sampled 2 teenager who decided to take dance career and their 2 dancing teachers in a purposeful sampling method and then c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enager's enjoyable life in their dance career development process. so, this study sampled 2 teenager who decided to take dance career and their 2 dancing teachers in a purposeful sampling method and then carried out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data collected from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coding and multi-profiling and then drew out core themes First, based on the confidential relationship with dance teachers, teenagers took interest and had continuous experience in dance, felt worthiness and confidence, and were motivated diversely, thus developing self-efficacy and deciding the career search of dance. Second, via dance teacher's mentor teaching, teenagers had a positive mind of maintaining a steady faith and goal for the future of leading teenager's career path, and satisfied with their life through self-management and immersion in dance, thus increasing their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and restoring confidential relationship with parents. .In conclusion, Career counsel for considering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teenagers seems to increase the worthiness of teenagers, induce their self-efficacy, and have effects on teenager's enjoyable life through their immersion in dance and internal/external chang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순, "홀랜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한겨레신문, "한국청소년 행복지수 다시 OECD 회원국 중 꼴찌"
3 최선인, "청소년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6 (16): 169-188, 2005
4 위영희, "청년기의 심리적 발달과 부모-자녀관계" 6 (6): 51-63, 1988
5 김경일, "지혜의 심리학" 진성북스 2013
6 허정훈,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긍정적,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7 임승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연구-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30) : 225-245, 2013
8 김형섭, "무용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무용정서가 학생들의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10 (10): 21-29, 2010
9 고영미, "긍정 심리학 기반의 행복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 김민순, "홀랜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한겨레신문, "한국청소년 행복지수 다시 OECD 회원국 중 꼴찌"
3 최선인, "청소년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6 (16): 169-188, 2005
4 위영희, "청년기의 심리적 발달과 부모-자녀관계" 6 (6): 51-63, 1988
5 김경일, "지혜의 심리학" 진성북스 2013
6 허정훈, "자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긍정적,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7 임승희,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연구-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30) : 225-245, 2013
8 김형섭, "무용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무용정서가 학생들의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10 (10): 21-29, 2010
9 고영미, "긍정 심리학 기반의 행복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이재명, "교사의 체육교수유형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1 Schuman, D, "Policy analysis. education, and everyday life" Heath 1982
12 Bass, "New Product Diffusion Models in Market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Research" 54 : 11-26, 1990
13 Bryman,A, "Charisma and Leadership in Organizations" Harper &Row 1978
14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5 청소년활동실태 및요구조사" 2015
15 최인재, "2009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0
예술인의 일자리창출을 위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경제조직 사례연구 - 무용, 연극, 국악 단체를 중심으로
무용전공자의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5-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Dance(Kad) ->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TUDIES | ![]() |
2018-05-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DANCE -> Korean Journal of Dance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