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예술인의 일자리창출을 위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경제조직 사례연구 - 무용, 연극, 국악 단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09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5년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부가 실시한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통계에서 대학 7개 계열별 취업률에 따르면 의약계열 과 공학계열이 가장 높은 분야를 차지하였고 예체능계열은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게다가 예체능 계열은 계열별 유지취업률과 취업 후에도 지속적으로 불안정한 취업의 상태가 지속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렇듯 공연예술 관련 전공 을 하고 졸업한 경우 현장에서의 취업 연계가 가능한 일자리에 대한 제시를 목적으로 새로운 경제활동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공연예술 단체들의 사례를 조사한 후 인터뷰를 통해서 그들이 어떻게 공연예술전공생들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과 같은 사회적경제조직의 사례 결과에서 보듯이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오랜 시간의 네트워크 형성과 지속적 인 활동을 근간으로 공연 창작활동 외에도 다양한 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하고 조직의 역량을 강화하며 늘 혁신하고 자 하는 등의 특성을 통해 관련 전공생들의 일자리를 창출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2015년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부가 실시한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통계에서 대학 7개 계열별 취업률에 따르면 의약계열 과 공학계열이 가장 높은 분야를 차지하였고 예체능계열은 가장 낮은 ...

      2015년 한국교육개발원과 교육부가 실시한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통계에서 대학 7개 계열별 취업률에 따르면 의약계열 과 공학계열이 가장 높은 분야를 차지하였고 예체능계열은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게다가 예체능 계열은 계열별 유지취업률과 취업 후에도 지속적으로 불안정한 취업의 상태가 지속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렇듯 공연예술 관련 전공 을 하고 졸업한 경우 현장에서의 취업 연계가 가능한 일자리에 대한 제시를 목적으로 새로운 경제활동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공연예술 단체들의 사례를 조사한 후 인터뷰를 통해서 그들이 어떻게 공연예술전공생들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과 같은 사회적경제조직의 사례 결과에서 보듯이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오랜 시간의 네트워크 형성과 지속적 인 활동을 근간으로 공연 창작활동 외에도 다양한 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하고 조직의 역량을 강화하며 늘 혁신하고 자 하는 등의 특성을 통해 관련 전공생들의 일자리를 창출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employment rate by courses of 7 universities surveyed in 2014, medicine and engineering courses took the majority, whereas art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s had the lowest rate. It is considered that continued employment rate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s remains unstable even after employment. In case of graduating after majoring in performing art, economic activities are still depressed due to lack of connection to employment on the spot as mentioned above, so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through interview on how they create jobs after investigating cases of performing art groups by examining advanced studies on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that are emerging as new alternatives for economic activities. As shown in the results of cases, this study was able to know that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such as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village companies have developed various art education programs other than creative performance activities based on the long hours of region-based formation of a network and continuous activities, and created jobs for related major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to innovate at all times strengthening capabilities of the organization.
      번역하기

      According to the employment rate by courses of 7 universities surveyed in 2014, medicine and engineering courses took the majority, whereas art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s had the lowest rate. It is considered that continued employment rate of art ...

      According to the employment rate by courses of 7 universities surveyed in 2014, medicine and engineering courses took the majority, whereas art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s had the lowest rate. It is considered that continued employment rate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s remains unstable even after employment. In case of graduating after majoring in performing art, economic activities are still depressed due to lack of connection to employment on the spot as mentioned above, so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through interview on how they create jobs after investigating cases of performing art groups by examining advanced studies on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that are emerging as new alternatives for economic activities. As shown in the results of cases, this study was able to know that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such as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village companies have developed various art education programs other than creative performance activities based on the long hours of region-based formation of a network and continuous activities, and created jobs for related major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to innovate at all times strengthening capabilities of the organ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서론
      • 문화예술인의 취업현황
      • 사회적 경제조직의 유형
      • 요약
      • Abstract
      • 서론
      • 문화예술인의 취업현황
      • 사회적 경제조직의 유형
      • 사회적 경제조직 현황
      • 1. 사회적기업
      • 2. 협동조합
      • 3. 마을기업
      • 문화예술분야 사회적 경제조직 사례
      • 1. 사회적기업 구보댄스컴퍼니(인천 사회적기업)
      • 2. 나무시어터 연극협동조합 (대전 마을기업)
      • 3. 사회적협동조합 살판(서울 사회적협동조합)
      •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명호,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 한울아카데미 2016

      2 이동수, "한국 문화예술단체의 사회적 기업 전환을 위한 진흥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3 노시훈, "프랑스의 문화예술협동조합 연구" 프랑스학회 (72) : 349-369, 2015

      4 장구보, "전문예술단체 사회적기업의 지속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5 아산시사회적경제부서, "알기쉬운 사회적경제"

      6 "사회적협동조합 살판 홈페이지"

      7 기획재정부, "사회적기업가이드북" 2015

      8 이유리, "사회적 경제조직의 현황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5

      9 염신규, "사회적 경제조직을 통한 자율적 문화예슐활동 가능성 모색 : 문화예술 사회적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2015

      10 배채윤,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 개념에 의한 문화예술공동체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1 신명호, "한국 사회적경제의 역사" 한울아카데미 2016

      2 이동수, "한국 문화예술단체의 사회적 기업 전환을 위한 진흥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3 노시훈, "프랑스의 문화예술협동조합 연구" 프랑스학회 (72) : 349-369, 2015

      4 장구보, "전문예술단체 사회적기업의 지속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5 아산시사회적경제부서, "알기쉬운 사회적경제"

      6 "사회적협동조합 살판 홈페이지"

      7 기획재정부, "사회적기업가이드북" 2015

      8 이유리, "사회적 경제조직의 현황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5

      9 염신규, "사회적 경제조직을 통한 자율적 문화예슐활동 가능성 모색 : 문화예술 사회적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2015

      10 배채윤,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 개념에 의한 문화예술공동체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11 김진영, "민관협력 거버넌스와 정부의 역할: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와 영향요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5

      12 고석민, "문화예술회관 자체제작 프로그램을 통한 지역 공연예술인 발굴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13 최범식, "문화예술인 지원정책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시각예술인 지원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14 김민경,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직무유형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09

      15 임환,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 지역의 사회적자본에미치는 영향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16 한지희, "문화예술 인력의 인적·사회적 자본개발, 전문직업성 인식과 직무만족:생애단계의 조절 영향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17 전경옥, "문화예술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09

      18 강일혁, "문화·예술 사회적 기업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19 최환석, "문턱 높은 예술인 복지혜택신청과정 복잡·홍보 부족"

      20 동다예솔, "대학 무용전공 졸업생의 일자리 창출을위한 사회적경제조직연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21 박주연, "대안적 일터로서의 사회적기업 : 문화예술분야기업 청년종사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22 "나무시어터 연극협동조합 홈페이지"

      23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예술 경기동향 및 소비동향조사 보고서예술경영지원센터 홈페이지"

      24 Frank, M, "Third sector and solidarity relations: A conceptual Synthesis from history to present" 42 (42): 2040-, 2005

      25 Leon, W, "Etudes D'economie sociale, Edizioni Bizzarri"

      26 ICA, "Cooperative Principles for the 21st Century Background"

      27 행정자치부, "2016년 마을기업 육성사업 시행지침"

      28 통계청, "2016 문화향수실태조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홈페이지

      29 기획재정부, "2015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실태조사 및 공공구매 진출 사례조사" 2015

      30 통계청, "2015 기업생멸행정통계 결과"

      31 교육통계연구센터, "2015 교육통계자료" 구보댄스컴퍼니홈페이지

      32 교육부, "2014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5-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Dance(Kad) ->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TUDIES KCI등재
      2018-05-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DANCE -> Korean Journal of Danc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