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장 이전 기우제(徙市) 풍습과 식민권력의 한계지점 = The Limitations of Colonial Power: Marketplace-move Folklo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32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일제 식민지기, 가뭄이 극심할 때 널리 실행되던 시장 옮기기(徙市)풍습의 실행과정을 연구대상으로, 거기서 드러나는 식민권력의 통치전략과 통치기술간 균열, 즉 권력의 한계지점을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삼는다. 사시 기우제는 가뭄이라는 재생산의 위기에서 취하는 최후의 수단 중 하나였지만, 문명과 진보의 실행자를 자임하던 일제의 입장에서는 근절되어야 할 낡은 미신에 불과했다. 일제는 강제합병 초기에 이런 민간신앙 일체를 타파되어야 할 미신으로 비판하였다. 하지만 3ㆍ1운동 이후 일제의 태도는 통치전략의 차원에서 의도적으로 이중화되었다. 기존의 부정적 비판의 태도를 견지하면서도, 민간신앙의 고유성과 뿌리 깊은 정신적 잠재력을 감안하여 이를 잠정적으로 허용하는 신중한 통치전략을 채택한 것이다. 하지만 이런 통치전략은 지역 행정당국 차원에서의 통치기술과 모순을 일으켰다. 농경사회 재생산의 위기는 지역적 차원에서 통치 정당성의 위기를 초래했으며, 이 위기에 대해 행정당국은 어쩔 수 없이 사시를 포함한 기우제의 주관자로 행동하는 통치기술 상의 구조적 제약을 수용해야 했다. 일본 자체가 신도신앙을 비롯한 민간신앙이 극심한 사회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문명의 담당자를 자처하던 일제 식민권력은 식민지 민중의 비문명적 요구에 순응하는 ‘문명의 역행’을 자초했다. 또한 식민지 민중의 집합의식을 고양할 위험이 매우 높은 시장 공간에 대규모의 집합의례를 허용하고 스스로 주관자가 되는 무순 또한 피할 수 없었다. 이 두 가지 자기모순은 ‘의도된 이중성’이라는 통치전략을 통한 봉합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식민권력이 위기의 시기마다 회귀하게 되는 내적 균열, 식민권력의 한계지점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일제 식민지기, 가뭄이 극심할 때 널리 실행되던 시장 옮기기(徙市)풍습의 실행과정을 연구대상으로, 거기서 드러나는 식민권력의 통치전략과 통치기술간 균열, 즉 권력의 한계지...

      이 논문은 일제 식민지기, 가뭄이 극심할 때 널리 실행되던 시장 옮기기(徙市)풍습의 실행과정을 연구대상으로, 거기서 드러나는 식민권력의 통치전략과 통치기술간 균열, 즉 권력의 한계지점을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삼는다. 사시 기우제는 가뭄이라는 재생산의 위기에서 취하는 최후의 수단 중 하나였지만, 문명과 진보의 실행자를 자임하던 일제의 입장에서는 근절되어야 할 낡은 미신에 불과했다. 일제는 강제합병 초기에 이런 민간신앙 일체를 타파되어야 할 미신으로 비판하였다. 하지만 3ㆍ1운동 이후 일제의 태도는 통치전략의 차원에서 의도적으로 이중화되었다. 기존의 부정적 비판의 태도를 견지하면서도, 민간신앙의 고유성과 뿌리 깊은 정신적 잠재력을 감안하여 이를 잠정적으로 허용하는 신중한 통치전략을 채택한 것이다. 하지만 이런 통치전략은 지역 행정당국 차원에서의 통치기술과 모순을 일으켰다. 농경사회 재생산의 위기는 지역적 차원에서 통치 정당성의 위기를 초래했으며, 이 위기에 대해 행정당국은 어쩔 수 없이 사시를 포함한 기우제의 주관자로 행동하는 통치기술 상의 구조적 제약을 수용해야 했다. 일본 자체가 신도신앙을 비롯한 민간신앙이 극심한 사회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문명의 담당자를 자처하던 일제 식민권력은 식민지 민중의 비문명적 요구에 순응하는 ‘문명의 역행’을 자초했다. 또한 식민지 민중의 집합의식을 고양할 위험이 매우 높은 시장 공간에 대규모의 집합의례를 허용하고 스스로 주관자가 되는 무순 또한 피할 수 없었다. 이 두 가지 자기모순은 ‘의도된 이중성’이라는 통치전략을 통한 봉합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식민권력이 위기의 시기마다 회귀하게 되는 내적 균열, 식민권력의 한계지점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we find widespread folklore of marketplace-move as a rainmaking ritual.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limitations of colonial power over this Korean traditional folklore. As for Japanese colonial power, this folklore was regarded as only a part of primitive superstition which must be eliminated by the name of civilization and progress. However, Japanese governmental strategy was purposely duplicated after the fierc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Along with existing negative attitude, colonial government added an alternative position which recognized mental potential of popular religion. However, there happened the contradiction between this nationwide governmental strategy and governmental techniques of regional authorities. The crises of legitimation of regional authorities were accompanied by serious droughts which entailed the crises of agricultural production. The authorities should accept structural constraints. They played a role of promoter for superstitious rainmaking ritual against their own will. In addition, the fact that Japanese themselves were one of the most superstitious people damaged the legitimacy of colonial power. Consequently, Japanese colonial power confronted two kinds of self-contradiction. First, they had to conform to non-civilizational desire of the colonized. They unwillingly experienced the regression of civilization. Second, they should approve big-sized collective rituals in the marketplace which would take a risk of evoking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colonized. These two self-contradictions show limitations of colonial power, I.e., internal fissures where the colonial power continually returns whenever they confront social crises.
      번역하기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we find widespread folklore of marketplace-move as a rainmaking ritual.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limitations of colonial power over this Korean traditional folklore. As for Japanese colonial power, 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we find widespread folklore of marketplace-move as a rainmaking ritual.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limitations of colonial power over this Korean traditional folklore. As for Japanese colonial power, this folklore was regarded as only a part of primitive superstition which must be eliminated by the name of civilization and progress. However, Japanese governmental strategy was purposely duplicated after the fierc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Along with existing negative attitude, colonial government added an alternative position which recognized mental potential of popular religion. However, there happened the contradiction between this nationwide governmental strategy and governmental techniques of regional authorities. The crises of legitimation of regional authorities were accompanied by serious droughts which entailed the crises of agricultural production. The authorities should accept structural constraints. They played a role of promoter for superstitious rainmaking ritual against their own will. In addition, the fact that Japanese themselves were one of the most superstitious people damaged the legitimacy of colonial power. Consequently, Japanese colonial power confronted two kinds of self-contradiction. First, they had to conform to non-civilizational desire of the colonized. They unwillingly experienced the regression of civilization. Second, they should approve big-sized collective rituals in the marketplace which would take a risk of evoking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colonized. These two self-contradictions show limitations of colonial power, I.e., internal fissures where the colonial power continually returns whenever they confront social cri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택규,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5

      2 박계홍, "중세사회의 기우의식에 대한 고찰, In 한국민속연구" 형설출판사 1973

      3 박례경, "조선시대 國家典禮에서 社稷祭 儀禮의 분류별 변화와 儀註의 특징" 29 : 2006

      4 이필영, "일제하 민간신앙의 지속과 변화, In 일제의 식민지배와 일상생활" 혜안 2004

      5 임재해, "일의 고난, 일의 신명, In 까치구멍집 많고 도둑 없는 목현마을" 한국학술정보 2002

      6 Said, Edward W.,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1991

      7 조형근, "식민지기 재래시장에서 시장갈등과 사회적 관계의 변동" 서울대 2005

      8 정승모, "시장의 사회사" 웅진출판 1992

      9 정형호, "서천 남산장의 공간적 기능 변화 고찰 - 집단 반보기, 徙市 공간의 의미를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3) : 1996

      10 김재호, "기우제의 지역간 비교와 기우문화의 지역성" 비교민속학회 (33) : 505-533, 2007

      1 김택규,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5

      2 박계홍, "중세사회의 기우의식에 대한 고찰, In 한국민속연구" 형설출판사 1973

      3 박례경, "조선시대 國家典禮에서 社稷祭 儀禮의 분류별 변화와 儀註의 특징" 29 : 2006

      4 이필영, "일제하 민간신앙의 지속과 변화, In 일제의 식민지배와 일상생활" 혜안 2004

      5 임재해, "일의 고난, 일의 신명, In 까치구멍집 많고 도둑 없는 목현마을" 한국학술정보 2002

      6 Said, Edward W.,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1991

      7 조형근, "식민지기 재래시장에서 시장갈등과 사회적 관계의 변동" 서울대 2005

      8 정승모, "시장의 사회사" 웅진출판 1992

      9 정형호, "서천 남산장의 공간적 기능 변화 고찰 - 집단 반보기, 徙市 공간의 의미를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3) : 1996

      10 김재호, "기우제의 지역간 비교와 기우문화의 지역성" 비교민속학회 (33) : 505-533, 2007

      11 임장혁, "기우제와 지역사회" 민속원 1999

      12 계봉우, "과학의 원수" 학민사 2006

      13 一記, "迷信의 감투를 벗으라" (7) : 1921

      14 한 빛, "迷信은 웨 생기는가" 4 (4): 1933

      15 牧田彌禎, "迷信を打破せよ" 昭文館 1921

      16 中村吉崍, "迷信に陷るまで : 擬似宗敎の心理學的批判" 大東出版社 1936

      17 "每日申報"

      18 姜仁, "歷史的으로 본 科學과 迷信(上)" (8) : 1921

      19 "東亞日報"

      20 "木浦申報"

      21 菊池謙讓, "朝鮮雜記" 鷄鳴社 1931

      22 "朝鮮總督府 官報"

      23 "朝鮮王朝實錄"

      24 "朝鮮民報"

      25 村山智順, "朝鮮場市の硏究" 圖書刊行會 1999

      26 "朝鮮中央日報"

      27 村山智順, "朝鮮の陰陽信仰" 朝鮮總督府圖書館 4 (4): 1938

      28 村山智順, "朝鮮の鄕土神祀: 第2部, 釋奠, 祈雨, 安宅" 朝鮮總督府 1938

      29 楢木末實, "朝鮮の迷信と俗傳" 新文社 1913

      30 前野福藏, "朝鮮の文化と迷信" 柳生堂 1930

      31 善生永助, "朝鮮の市場經濟" 朝鮮總督府 1929

      32 村山智順, "朝鮮の巫覡" 朝鮮總督府 1932

      33 "時代日報"

      34 淺田喬二, "日本植民地硏究史論" 未來社 1990

      35 朝鮮總督府, "施政三十年史" 朝鮮總督府 1941

      36 "慵齋叢話"

      37 北見俊夫, "市と行商の民俗" 岩崎美術社 1970

      38 村山智順, "巫覡信仰の影響" 1932

      39 丁七星, "婦人과 迷信" 9 (9): 1937

      40 최종성, "國行 무당 祈雨祭의 歷史的 硏究" 86 : 1998

      41 "京城日報"

      42 "中外日報"

      43 "三國史記"

      44 이수경, "[조선총독부 조사자료]에 나타난 조선의 민간신앙" 일본연구소 (32) : 55-77, 2007

      45 Bourdieu, Pierre, "The Logic of practic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46 Lipietz, Alain, "The Local and the Global: Regional Individuality or Interregionalism?" 18 (18): 8-18, 1993

      47 Durkheim, Emile, "Th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 The Free Press 1965

      48 Kertzer, David I., "Ritual, politics, and power" Yale University Press 1988

      49 Hodges, Richard, "Primitive and Peasant Markets" Basil Blackwell 1988

      50 Bohannan, Paul, "Markets in Africa" Northwestern Univ. Press 1962

      51 Christaller, Walter, "Central Place in Southern Germany" Prentice-Hall 1966

      52 Ruppert, Brian O., "Buddhist Rainmaking in Early Japan: The Dragon King and the Ritual Careers of Esoteric Monks" 42 (42): 143-174, 2002

      53 이지원, "1920~30년대 일제의 조선문화 지배정책" 75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1 1.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