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ddha, the Incarnation of Truth communicates the uncertain truth.” This is the precept that Subhūti was told repeatedly by his master. The question of what is the uncertain truth must be explained. But this thesis focused on the means of commun...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ddha, the Incarnation of Truth communicates the uncertain truth.” This is the precept that Subhūti was told repeatedly by his master. The question of what is the uncertain truth must be explained. But this thesis focused on the means of commun...
“Buddha, the Incarnation of Truth communicates the uncertain truth.” This is the precept that Subhūti was told repeatedly by his master. The question of what is the uncertain truth must be explained. But this thesis focused on the means of communication of such truth. Buddha communicates the uncertain truth by phrasing infinite negation. Indeed, the uncertain truth can not be transferred as an individual element or a tangible element of meaning, but in its own nature, must be transferred infinitely. The very thing that Buddha tries to communicate is ‘Prajñā’, the wisdom of an insight into true nature of reality of things and phenomena, which indicates the process and the condition of bringing buddhahood into being. That is, Buddha intends to communicate not empirical knowledge or thoughts, but mind itself which is represented as undiscriminating knowledge.
Therefore,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ze the processes or situations of communicating the mind, Prajñā, and to explain the status of the language and the concepts in relation to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n the processes of communicating, infinite negation is comprehended as an expedience for experiencing the mind, Prajñā practically, not conceptually. In other word, infinite negation is comprehended as a special means of communication which drives language and concepts into being practiced. And the Buddha’s activities of communicating mind with words, his activities of communicating the uncertain truth call up transforming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 teacher’s activities are not merely teaching knowledges as the world of objectivity, but also communicating mind as the world of subjectivity. In this respect, a teacher should teach subject matter as the uncertain truth and the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can be such dynamic activities as communicating living speculation. Mind is not such thing as can be communicated as a certain truth.
국문 초록 (Abstract)
“여래는 확정되지 않는 진리를 전달한다.” 이것은 세존이 수보리에게 재차 확인하는 말이다. 불확정적 진리가 무엇인지는 설명되어야 할 문제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그러한 진리가 어떻...
“여래는 확정되지 않는 진리를 전달한다.” 이것은 세존이 수보리에게 재차 확인하는 말이다. 불확정적 진리가 무엇인지는 설명되어야 할 문제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그러한 진리가 어떻게 전달되는지 파악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세존은 무한부정의 어법을 구사하며 확정되지 않는 진리를 전달한다. 그도 그럴 것이, 확정되지 않는 진리는 개별적 의미 요소로서, 혹은 실체적 의미요소로서 전달될 수 없다. 하지만 확정되지 않는 진리는 그것의 성격상 끝없이 전달되어야 한다. 여기서, 세존이 전달하려는 것은 반야—즉, 무분별지에서 모든 사물과 현상의 ‘참다운 모습’을 통찰하는 지혜—이며, 그것은 ‘깨달음의 마음이 일으키는 작용과 양상’을 가리킨다. 아닌 게 아니라, 세존은 분별지를 일으키는 경험적 마음이 아니라 무분별지로 표현되는 마음 그 자체를 전달하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로써 마음—또는, 반야—을 전달하는 사태를 분석하고 교과교육과 관련하여 언어와 개념의 지위에 대하여 논의한다. 여기서, 무한부정은 마음—또는, 반야—을 개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체험하게 하는 방편으로 파악된다. 즉, 무한부정은 언어와 개념에 ‘실천’의 힘을 추동하는 특별한 전달방법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말로써 마음을 전달하는 세존의 행위, 달리 말하여 불확정적 진리를 전달하는 세존의 행위는 교과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요청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사가 교과를 가르치는 행위는 비단, (객관적 대상 세계로서의)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 대상 세계로서의) 마음을 전달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교사는 교과를 불확정적 진리로 전달해야 하며 그때 비로소 교과교육은 살아있는 사유를 전달하는 역동적인 활동이 된다. 마음은 확정된 진리로 전달되는 그 무엇일 수 없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호영, "「금강경」의 卽非의 논리" 25 : 151-167, 2002
2 정호영, "金剛般若經의 四想에 關한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1
3 고익진, "현대한국불교의 방향" 이바지 1998
4 박석, "의식과 본질" 위즈덤하우스 2013
5 김윤수, "육조단경 읽기" 마고북스 2003
6 나카가와 다카, "육조단경" 김영사 1993
7 고익진, "불교의 체계적 이해" 광륵사 2010
8 한상하, "불교용어사전 下" 경인문화사 1998
9 김윤수, "반야심경·금강경" 한산암 2009
10 안성두, "대승불교의 보살" 씨아이알 2008
1 정호영, "「금강경」의 卽非의 논리" 25 : 151-167, 2002
2 정호영, "金剛般若經의 四想에 關한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1
3 고익진, "현대한국불교의 방향" 이바지 1998
4 박석, "의식과 본질" 위즈덤하우스 2013
5 김윤수, "육조단경 읽기" 마고북스 2003
6 나카가와 다카, "육조단경" 김영사 1993
7 고익진, "불교의 체계적 이해" 광륵사 2010
8 한상하, "불교용어사전 下" 경인문화사 1998
9 김윤수, "반야심경·금강경" 한산암 2009
10 안성두, "대승불교의 보살" 씨아이알 2008
11 이홍우, "대승기신론통석" 김영사 2006
12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금강반야바라밀경" 조계종출판사 2009
13 정호영, "금강반야경" 민족사 2003
14 金剛般若波羅密經각묵, "금강경역해" 불광출판부 2002
15 성열, "금강경공부" 현암사 2005
16 이홍우, "교육의 개념" 문음사 2009
17 김경민, "교사와 보살: 세속적 삶과 진리의 전달자" 한국도덕교육학회 26 (26): 145-169, 2014
성리학과 덕윤리학: ‘수기’(修己)와 ‘사적(私的) 윤리’의 대비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10-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교육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6 | 1.316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