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응문성 작 정읍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 연구 = A Study on the Clay seated Avalokitesvara of Boneung Munseong in Yaksuam, Jeonge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16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전라북도 정읍 약수암 대웅전에 봉안된 소조관음보살좌상을 제작한 보응문성에 관한 내용이다.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의 문화재 지정신청을 위해 복장 조사 중에 조성발원문 ...

      본 논문은 전라북도 정읍 약수암 대웅전에 봉안된 소조관음보살좌상을 제작한 보응문성에 관한 내용이다.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의 문화재 지정신청을 위해 복장 조사 중에 조성발원문 등이 발견되었다. 발원문에 의하면 약수암 보살상은 전북 익산 숭림사에서 시왕상 중수와 나한상 개채 시에 임실 성조암에 봉안하기 위해 1928년 5월 10일에 제작되었다. 이후 한국전쟁 중에 성조암이 소각되면서 읍내로 이운되어 약수사에 봉안되었다가 2006년에 현 위치인 정읍 약수암으로 다시 옮겨졌다.
      소조관음보살좌상은 높이가 49㎝, 무릎 폭이 35㎝의 중소형으로, 내부에 머리 부터 바닥까지 사각형의 긴 나무로 뼈대를 만들고, 어깨와 무릎 등에 얇은 나무 조각으로 형태를 잡아 그 위에 흙을 붙여 모양을 만든 후에 금박을 붙인 소조불이 다. 보살상의 머리와 가슴 내부에는 사각형의 공간이 있어 복장을 위한 공간일 것으로 추정된다.
      보살상은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상반신에 결가부좌한 자세를 하고 있다. 계란 형의 얼굴은 턱선이 둥글고, 눈꼬리가 올라간 작은 눈, 콧등이 둥근 긴 코, 살짝 올라간 작은 입술을 표현하여 자비로운 인상이다. 머리부터 다리까지 숄을 걸치 고, 어깨에 보발(寶髮)이 길게 늘어져 있다. 양 어깨를 감싼 숄은 배 부분에서 꽃무늬 장식으로 여미고, 가슴 부분에 상단을 평평하게 접은 승각기를 입고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자연스럽게 촉지인을 결하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여 배앞에 올려놓았다. 왼손 바닥에 작은 구멍이 있는 것을 보면 원래 지물인 정병이 꽂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양 무릎을 덮은 대의 자락은 자연스럽게 높낮이가 있는 옷주름이 펼쳐져 있다.
      보응문성과 관련된 활동 중에서 불상 관련 기록은 19건이다. 이 가운데 불상의 개금과 중수는 12건이고, 불상의 조성은 10건이다. 대부분 불화의 조성과 불상의 중수․조성이 동시에 이루어졌다. 보응 스님은 1899년에 태안사 성기암 관음원불 조성에 참여하고, 1903년 11월에 관하종인과 나주 다보사 지장보살을 개금하였 다. 그 후 1926년 8월 19일부터 9월 7일까지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을 보수한 후개채하고, 1927년 5월에 수화승으로 대구 은해사 운부암 관음상을 개금(改金)하 였다. 또한 스님은 1928년 4월 5일부터 6월 2일까지 익산 숭림사 시왕을 보결하면서 나한상을 개채하고, 임실 성조암에 봉안할 소조관음보살좌상을 조성하였으 며, 1930년 11월에 충남 공주 계룡산 갑사 대성암 불사를 하면서 신흥암 16나한상 중 10구를 새로 만들었다. 그리고 12월에 익산 숭림사 지장보살을 개금하면서 여래입상과 독성상을 조성하였다. 또한 스님은 1934년 2월 갑사 신흥암(나한토 굴)의 16나한상 중 11구를 새로 조성한 후, 1935년 7월에 김제 금산사 미륵불입상 모형 제작에 작품을 출품했지만,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스님은 1936년 4 월에 서울 종로 안양암 삼존상을 조성하고, 약사여래를 중수하고 도분(塗粉)하였 으며, 8월 9일부터 12월 4일까지 평북 영변 묘향산 보현사 사천왕을 조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님은 1951년에 충남 부여 해광사 소조관음보살좌상을 제작하였다. 스님의 불상 제작 관련 내용은 주로 1920년대 후반부터 남아 있다.
      이와 같이 보응문성은 근・현대 불상의 조성과 중수 등에 많이 참여한 스님으 로, 불상을 조성할 때는 전통적인 양식의 불상을 만들었지만, 전신에 장포를 두른 정읍 약수암 소조보살좌상 ...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bout the BoneungMunseong, who produced the Clay seated Avalokitesvara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of Yaksuam in Jeongeup, Jeollabukdo province. The votive inscription was revealed during survey Bokjang for the application of cultural a...

      This paper is about the BoneungMunseong, who produced the Clay seated Avalokitesvara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of Yaksuam in Jeongeup, Jeollabukdo province. The votive inscription was revealed during survey Bokjang for the application of cultural assets designation. According to the votive inscription, the Clay seated Avalokitesvara of Yaksuam was made for enshrining Seongjoam at Imsil on May 10. 1928 during the repairing Ten kings of hell and repainting Arhats. Later, as the temple was burned during the Korean War, the Avalokitesvara was enshrined in Yaksusa Temple in downtown and moved back to its current location, Yaksuam, in 2006.
      The Clay seated Avalokitesvara is a small and medium-sized statue with a height of 49cm and a width of 35cm. It is made of a rectangular long wooden frame from head to floor, and is shaped by thin pieces of wood on its shoulders and knees, and then attached clay on wooden frame, and then finished by applying gold foil. Inside the head and chest of the Bodhisattva statue, there is a square space, which is presumed to be a space for Bokjang.
      The Bodhisattva has a well-balanced upper body and a lotus position. The Bodhisattva statue is a benevolent impression by expressing an egg-shaped face and jawline, a small eye with a raised eye, a long nose with a rounded ridge, and a slightly raised lip. A shawl from head to leg, with long hair hanging over the shoulder. The shawl, wrapped around both shoulders, is adorned with flower-patterned decorations on the belly, and is worn with the top folded flat on the chest. The right hand with Bhumisparsa-mudra(touching the earth gesture) on the knees, and the left hand placed the palm on the upper hand, in front of the belly. Given that there is a small hole in the bottom of the left hand, it is highly likely that a sacred bottle was inserted. The hem of the garment covered with both knees naturally stretches.
      Among the activities related to BodeungMunseong, there are 20 records related to Buddha statues. Among them, 9 records are about repairing and re-gilding, rest of eleven records are about producing Buddha statues. Most of the Buddhist paintings were created simultaneously with the re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Buddhist statues. Monk Boeung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onggiam Gwaneumwonbul in Taean Temple in 1899, and in November 1903, he re-gilded the Ksitigarbha Bodhisattva with Gwanhajongin in Dabosa temple at Naju. From August 19 to September 7, 1926, he repaired and reconstructed the Four Buddhist Guardian Kings of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in May 1927, and re-gilded the Buddhist Guardian King of Unbuam in Eunhaesa Temple in Daegu as a chief monk sculptor. In addition, he repaired the Ten Kings of hell at Soongrimsa temple of Iksan from April 5 to June 2, 1928, and rebuilt the arhats, which was enshrined in Imsil's Seongjoam, and created 10 of the 16 Arhats statues of Sinheungam, in November 1930, during the Daesungam Temple in Gyeryongsan, Gongju, Chungcheongnam-do. In December, he re-gilded the Ksitigarbha Bodhisattva of Sungnimsa Temple in Iksan and created statues of Buddha and Dokseong statue. In February 1934, he constructed 11 of the 16 arhats of Sinheungam (Nahan Cave) in Gapsa Temple. In July 1935, he submitted his work to create a model for the Maitreya Buddha statue at Geumsansa Temple in Gimje, but it has not been found until now. In April 1936, he created the triad statue of Anyangam in Jongno, Seoul, reconstructed and repainted Bhaisajyaguru Buddha, and built the Four Heavenly Kings of Bohyeonsa Temple at Myohyangsan Mountain in Yongbyon, Pyeongbuk-do, from August 9 to December 4. Finally, in 1951, he produced the clay Avalokitesvara at Haegwangsa Temple in Buyeo,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redords of Buddhist statues produced by BoneungMunseong have remained mostly since the late 1920s. As such, BodeungMunseong was a monk sculptor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modern and c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총독부 관보」 3316호"

      2 "「조선총독부 관보」 2032호"

      3 "「조선총독부 관보」 1047호"

      4 "「새전북신문」 2000년 11월 19일 임실 역사의 향기"

      5 신은미, "화승 김일섭의 불화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787-810, 2006

      6 "한국의 사찰문화재 1-13" 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02

      7 최선일,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 불교회화" 양사재 2008

      8 최선일, "조선후기 彫刻僧과 佛像 硏究" 경인문화사 2011

      9 "제주 불교문화재 자료집" 제주특별자치도 재주문화예술재단 2008

      10 사)불교문화산업기획단, "아름다움과 깨달음" 여시아문 2002

      1 "「조선총독부 관보」 3316호"

      2 "「조선총독부 관보」 2032호"

      3 "「조선총독부 관보」 1047호"

      4 "「새전북신문」 2000년 11월 19일 임실 역사의 향기"

      5 신은미, "화승 김일섭의 불화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787-810, 2006

      6 "한국의 사찰문화재 1-13" 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02

      7 최선일,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 불교회화" 양사재 2008

      8 최선일, "조선후기 彫刻僧과 佛像 硏究" 경인문화사 2011

      9 "제주 불교문화재 자료집" 제주특별자치도 재주문화예술재단 2008

      10 사)불교문화산업기획단, "아름다움과 깨달음" 여시아문 2002

      11 백선엽, "실록 지리산" 고려원 1992

      12 최 엽, "서울 창신동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 연구" 20 : 2009

      13 차길진, "빨치산 토벌대장 차일혁의 기록, 또 하나의 전쟁" 후아이뎀 2014

      14 "보응・일섭・우일 작품집" 성보문화재연구원 2006

      15 최선일, "보응당 문성 스님의 일지" 한국전통장인연구회・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19

      16 "문성, 보응당 문성 작품집" 성보문화재연구원 2010

      17 이종수, "문성, 보응당 문성 작품집" 2010

      18 김복진, "김복진 전집" 청년사 205-229, 1995

      19 김정희, "금호당 약효와 남방화소 계룡산파-조선후기 화승연구(3)"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711-752, 2006

      20 이숙희, "금용 일섭스님의 조각세계, In 근대 대불모 일섭스님의 작품세계" 사)불교미술일섭문도회 2016

      21 김영희, "금용 일섭(1900-1975)의 불상과 예술관 : 개인 양식 성립기를 중심으로" 9 : 2010

      22 최은령, "금어 일섭의 대구에서 행적 연구" 동아시아문물연구소 32 (32): 99-140, 2017

      23 고경, "금어 김용일섭의 연도" 송광사성보박물관 2016

      24 신은영, "금어 금용일섭의 『연보』 연구" 전남대학교 2016

      25 "근현대문화유산 종교분야(불교) 목록화 조사연구 보고서" 문화재청 2013

      26 최 엽, "근대 서울・경기지역 불화의 화사(畵師)와 화풍" 19 : 2008

      27 고경스님, "韓國의 佛畵 畵記集" 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28 이지관, "韓國高僧碑文總集 : 朝鮮朝.近現代" 伽山佛敎文化硏究院 2000

      29 김영희, "金蓉 日燮(1900-1975)의 後期 佛像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14 : 139-178, 2012

      30 한국학문헌연구소, "金山寺誌" 아세아문화사 1983

      31 조재영, "近代 畵師 竺演의 佛畵硏究 : 安養庵 所藏 佛畵를 中心으로" 4 : 2004

      32 한국학문헌연구소, "泰安寺誌" 아세아문화사 1984

      33 최선일, "朝鮮後期僧匠人名辭典 - 佛敎彫塑" 양사재 2007

      34 최선일, "朝鮮 後期 彫刻僧과 佛像樣式의 변천" 한국미술사학회 261 (261): 41-75, 2009

      35 "崇林寺 財産目錄臺帳"

      36 "寺刹誌" 전라북도 1990

      37 안진호, "安養庵" 1958

      38 이선희, "古山堂 竺演作 安養庵 神衆圖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0) : 139-173, 2008

      39 문년순, "佛母 梁玩虎의 生涯에 대한 再考" 26 : 2010

      40 "『한국의 사지 현황조사보고서-전라북도』 상" 불교문화재연구소 2016

      41 퇴경당권상노박사전서간행위원회, "『退耕堂全書』 권1" 退耕堂權相老博士全書刊行委員會 1998

      42 최엽, "20세기전반佛畵의새로운동향과畵僧의입지: 서울安養庵의佛畵를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266 (266): 189-219, 2010

      43 최선일, "20세기 전반 불교조각의 흐름" 동악미술사학회 (24) : 91-109, 2018

      44 "2008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2008

      45 최선일, "1930년대 후반 정관 김복진의 불상 양식과 사상에 관한 再考" 2006

      46 최선일, "17세기 전반 彫刻僧 守衍의 활동과 佛像 硏究" 동악미술사학회 (8) : 149-171, 2007

      47 "(安養庵에 담긴) 衆生의 念願과 꿈" 한국불교미술박물관 2004

      48 "(安養庵에 담긴) 淨土信仰의 世界" 한국불교미술박물관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8 1.65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