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고대사의 계보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37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역사의 3요소는 시간, 공간, 인간이다. 한국사에서 이 삼요소가 무엇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고대사다. 한국 고대사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한국사의 시작은 언제며, 한국사의 영...

      역사의 3요소는 시간, 공간, 인간이다. 한국사에서 이 삼요소가 무엇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고대사다. 한국 고대사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한국사의 시작은 언제며, 한국사의 영역은 어디고 한국인의 조상은 누구인가가 정해진다. 시간, 공간, 인간의 조합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한국 고대사의 구성과 체계가 달라진다. 한국 고대사의 계보학이란 삼국사기 이래의 正史로부터 근대 ‘국사’로 이어지는 한국사학사에서 고대사를 구성하는 방식의 변화에 대한 메타역사적 성찰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탈근대 역사이론은 과거에 대한 역사를 쓰는 것이 아니라 역사로 서술됨으로써 과거가 존재했던 것으로 인식된다는 전제 아래 ‘과거로서 역사(thehistory-as-past)’가 아니라 ‘역사로서 과거’(the-past-as-history)로의 ‘인식론적 전환(epistemological turn)’을 주장한다. 실제로 한국 민족이라는 정체성이 없었던 시대의 역사까지를 포괄해서 한국고대사를 쓰는 것은 이 같은 ‘인식론적 전환’을 이미 성취한 셈이다. 사실상 ‘국사’라는 역사서술 패러다임도 이 같은 ‘인식론적 전환’에 입각해서 성립했다. 다시 말해 한국이라는 과거가 있어서 한국사라는 ‘국사’를 쓰는 것이 아니라, 한국사라는 ‘국사’가 한국이라는 과거를 만들어냈던 것이다.
      ‘국사’ 패러다임에 입각한 한국 고대사의 체계는 오늘날 다음 두 가지 이유로 수정돼야 한다. 첫째로 이제는 민족사가 아니라 문명 교섭사로 방향전환해야 한다. ‘국사’에 의해 망각된 고대 동아시아 역사세계를 복원하는 동아시아사를 서술하는 것이 문명 교섭사의 출발점이다. 둘째로 한국사회가 앞으로 점점 더 다문화사회로 변하고 있다면, 이제 한국인이란 누구인가의 정체성을 단일민족과 같은 혈통을 코드로 해서가 아니라 인류 보편적 가치에 입각해서 재정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컨대 弘益人間과 같은 민족 고유의 가치를 인류 보편적 가치로 승화시킬 수 있는 한국사 서술이 나와야 한다. 이 같은 新韓國人 정체성 형성 프로젝트의 시작에 한국 고대사가 있다. 나는 한국 고대사학자들이 어떤 역사를 쓰느냐는 바로 우리의 미래가 걸린 문제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ree elements of history are time, space and human beings. In Korean history, it is especially ancient history which can define these three elements. The questions about when Korean history starts, what the space of Korean history is, and who the...

      The three elements of history are time, space and human beings. In Korean history, it is especially ancient history which can define these three elements. The questions about when Korean history starts, what the space of Korean history is, and who the ancestors of Koreans are, can be answered based upon how one writes ancient Korean history. The composition and system of ancient Korean history depends on how time, space and human beings are put together. The genealogy of ancient Korean history is the meta-historical reflection upon the change in reconstructing ancient history in Korean historiography from ‘the canonical history(正史)’ since the “Three Kingdom's history” to the “National History(國史).”
      Presuming that history is not written about the past, but instead the past is perceived to have existed only by being written as history, postmodern history theory suggests an “epistemological turn” from “the-history-as-past” to “the-past-as-history.” This art of epistemological turn is already achieved when the Korean ancient history includes even the periods in which the identity as Korean nation was not formed yet. Actually, the paradigm of “National History” has set its foundation upon this epistemological turn. In other words, writing the national history of Korea was possible not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 past of Korea, but instead, because the national history of Korea created the past of Korea.
      Now, the system of ancient Korean history needs to be corrected for two reasons. Firstly, we should turn around towards civilizational interchange history(=transfer history) from National History. It can begin with restoring ancient East-Asian history which was erased by National History. Secondly, Koreans need to redefine the Korean identity not by the code of blood, but based upon universal human value, in this time that Korean society is more and more becoming multi-cultural. This redefinition demands a historiography which is able to transform such a national value as “Hongik human being” into a universal human value. Ancient Korean history is standing in the first row of this project to form a new Korean identity. Our future depends on what kind of history that the ancient Korean historians wri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민족의 역사인가, 역사의 민족인가
      • Ⅱ. ‘국사’의 해체와 계보학적 역사
      • Ⅲ. 한국 고대사 출발점의 계보학적 재구성
      • Ⅳ. 신채호의『조선상고사』와 ‘국사’
      • 국문초록
      • Ⅰ. 민족의 역사인가, 역사의 민족인가
      • Ⅱ. ‘국사’의 해체와 계보학적 역사
      • Ⅲ. 한국 고대사 출발점의 계보학적 재구성
      • Ⅳ. 신채호의『조선상고사』와 ‘국사’
      • Ⅴ. 탈근대에서 다시 쓰는 한국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태돈, "한국사를 통해 본 우리와 세계에 대한 인식" 풀빛 1998

      2 김동욱, "한국 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7

      3 김기봉, "탈근대에서 국사와 동아시아사" 196 : 2007

      4 이성규, "중화제국의 팽창과 축소: 그 이념과 실제" 186 : 2005

      5 신채호, "조선상고사" 단재 신채호 전집 편찬위원회 1 : 2007

      6 김기봉, "역사교과서 논쟁 어떻게 할 것인가: ‘역사의 정치화’에서 ‘정치의 역사화’로의 전환을 위하여" 198 : 2008

      7 "세종실록.125권, 31년 7월 4일"

      8 김기봉, "세계화시대에서 근대 사학사 서술을 어떻게 할 것인가―서구중심주의와 민족주의를 넘어서기 위한 하나의 시론―" 호서사학회 45 (45): 199-234, 2006

      9 김태식, "삼국시대에서 사국시대로.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사 2006

      10 정구복, "삼국사기의 현대적 이해" 서울대출판부. 2004

      1 노태돈, "한국사를 통해 본 우리와 세계에 대한 인식" 풀빛 1998

      2 김동욱, "한국 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7

      3 김기봉, "탈근대에서 국사와 동아시아사" 196 : 2007

      4 이성규, "중화제국의 팽창과 축소: 그 이념과 실제" 186 : 2005

      5 신채호, "조선상고사" 단재 신채호 전집 편찬위원회 1 : 2007

      6 김기봉, "역사교과서 논쟁 어떻게 할 것인가: ‘역사의 정치화’에서 ‘정치의 역사화’로의 전환을 위하여" 198 : 2008

      7 "세종실록.125권, 31년 7월 4일"

      8 김기봉, "세계화시대에서 근대 사학사 서술을 어떻게 할 것인가―서구중심주의와 민족주의를 넘어서기 위한 하나의 시론―" 호서사학회 45 (45): 199-234, 2006

      9 김태식, "삼국시대에서 사국시대로.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사 2006

      10 정구복, "삼국사기의 현대적 이해" 서울대출판부. 2004

      11 이종욱, "민족인가, 국가인가? 신라 내물왕 이전에 역사에 답이 있다" 소나무 2006

      12 신채호, "독사신론" 단재 신채호 전집 편찬위원회 3 : 2007

      13 교과서포럼, "대안교과서 한국 근ㆍ현대사" 기파랑 2008

      14 박찬승, "고려ㆍ조선시대의 역사의식과 문화정체성론" 한국사학사학회 10 (10): 5-35, 2004

      15 박종기, "고려 전기 주민 구성과 국가체제: 來投 문제를 중심으로.동아시아 민족문제와 ‘단일민족론'."

      16 국사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 교육인적자원부 2004

      17 신채호, "朝鮮歷史上 一千年來 第一大事件" 단재 신채호 전집 편찬위원회 2 : 2007

      18 일연, "三國遺事" 한길사 2006

      19 김부식, "三國史記 下" 신서원 2004

      20 황종연, "‘하나의 국문학을 넘어서-국문학 연구와 문학 이론" 2 : 2002

      21 A.Munslow, "The Routledge Companion to Historical Studies, London and New York"

      22 M. Foucault, "Nietzsche, die Genealogie, die Historie" Von der Subversion des Wissens, Frankfurt/M. 1987

      23 김문식, "18세기 후반 순암 안정복의 기자인식" 2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