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한기계·금속 교사의 직무 분석 = Job/Occupational Analysis of Secondary Mechanical and Metallurgical Education Teachers Using the DACUM Method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898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chanical and metallurgical education (MME) teachers’ job using the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methodolog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MME teachers’ job/occup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steps: “Planning the DACUM workshop,” “Recruiting/Constructing the DACUM committee members,” “Providing the DACUM orientation,” “Holding the DACUM workshop,” “Verifying the DACUM result,” and “Refining the DACUM chart based on verification data.” The DACUM job/occup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fifteen DACUM committee members in the DACUM workshop in January, 2015; moreover, the DACUM chart of the MME teachers was verified by the group of subject matter exper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fined the MME teachers who taught mechanical and metallurgical-related subjects to students with the secondary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and performed work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career guidance, life guidance, and other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the Meister high school. Second, this study determined 16 duties and 199 tasks for fulfilling the MME teachers’ job; moreover, the study extracted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each task and demand for the entry-level workforce.
      Third, this study provides the DACUM research chart based on the job/occupational analysis results of the MME teac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chanical and metallurgical education (MME) teachers’ job using the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methodolog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MME teachers’ job/occupational analysis w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chanical and metallurgical education (MME) teachers’ job using the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methodolog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MME teachers’ job/occup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steps: “Planning the DACUM workshop,” “Recruiting/Constructing the DACUM committee members,” “Providing the DACUM orientation,” “Holding the DACUM workshop,” “Verifying the DACUM result,” and “Refining the DACUM chart based on verification data.” The DACUM job/occup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fifteen DACUM committee members in the DACUM workshop in January, 2015; moreover, the DACUM chart of the MME teachers was verified by the group of subject matter exper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fined the MME teachers who taught mechanical and metallurgical-related subjects to students with the secondary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and performed work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career guidance, life guidance, and other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the Meister high school. Second, this study determined 16 duties and 199 tasks for fulfilling the MME teachers’ job; moreover, the study extracted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each task and demand for the entry-level workforce.
      Third, this study provides the DACUM research chart based on the job/occupational analysis results of the MME teac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하여 기계‧금속 교사의 직무(job)를 분석하는 것이다. 데이컴 직무 분석은 15명으로 구성된 데이컴 위원회를 중심으로 2015 년 1월에 데이컴 워크샵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데이컴 워크샵을 통해 도출된 기계‧ 금속 교사의 데이컴 차트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검증위원들의 검증을 받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금속 교사는 중등 교원 자격을 가지고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 등에서 학생들에게 기계‧금속 관련 전문 교과목을 가르치고, 인성교육, 진로지도, 생활지도 등의 업무를 기획하고 수행하는 자로 정의하였다.
      둘째, 기계‧금속 교사의 직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16개의 책무(전문교과교육준비, 전문교과교수활동, 학생생활지도, 취업진로지도, 교무행정업무수행, 자기계발, 기계제도, 범용공작기계가공, 수치제어공작기계가공, 자동화설비제작, 산업설비제작, 금속소재가공, 금속재료시험, 금속재질개선처리, 자동차정비, 자동차차체수리)와 199개의 과업을 도출한 후, 각 과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 및 특정 과업의 입직 초기 요구를 구명하였다.
      셋째, 기계‧금속 교사 직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컴 차트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하여 기계‧금속 교사의 직무(job)를 분석하는 것이다. 데이컴 직무 분석은 15명으로 구성된 데이컴 위원회를 중심으로 2015 년 1월에 데이컴 워크샵을 통하...

      이 연구는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하여 기계‧금속 교사의 직무(job)를 분석하는 것이다. 데이컴 직무 분석은 15명으로 구성된 데이컴 위원회를 중심으로 2015 년 1월에 데이컴 워크샵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데이컴 워크샵을 통해 도출된 기계‧ 금속 교사의 데이컴 차트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검증위원들의 검증을 받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금속 교사는 중등 교원 자격을 가지고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 등에서 학생들에게 기계‧금속 관련 전문 교과목을 가르치고, 인성교육, 진로지도, 생활지도 등의 업무를 기획하고 수행하는 자로 정의하였다.
      둘째, 기계‧금속 교사의 직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16개의 책무(전문교과교육준비, 전문교과교수활동, 학생생활지도, 취업진로지도, 교무행정업무수행, 자기계발, 기계제도, 범용공작기계가공, 수치제어공작기계가공, 자동화설비제작, 산업설비제작, 금속소재가공, 금속재료시험, 금속재질개선처리, 자동차정비, 자동차차체수리)와 199개의 과업을 도출한 후, 각 과업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 및 특정 과업의 입직 초기 요구를 구명하였다.
      셋째, 기계‧금속 교사 직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컴 차트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상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직무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21 (21): 97-125, 1997

      2 김판욱, "체계적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핸드북"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2004

      3 한상근,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18 (18): 1-18, 2005

      4 김판욱, "직무분석을 통한 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 15 (15): 87-98, 1990

      5 주인중, "직무분석 활용실태 및 분석기법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6 조동헌, "조선소 설비공의 직무 분석을 통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19 (19): 219-228, 2007

      7 류창열, "새로운 기술 혁신에 따른 직업‧기술계 교사에게 필요한 자질" 18 (18): 86-93, 1993

      8 김판욱, "데이컴 핸드북"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2006

      9 박영숙, "능력 중심의 교사 직무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10 김판욱, "능력 중심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양서원 2010

      1 송상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직무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21 (21): 97-125, 1997

      2 김판욱, "체계적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핸드북"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2004

      3 한상근,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18 (18): 1-18, 2005

      4 김판욱, "직무분석을 통한 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 15 (15): 87-98, 1990

      5 주인중, "직무분석 활용실태 및 분석기법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6 조동헌, "조선소 설비공의 직무 분석을 통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19 (19): 219-228, 2007

      7 류창열, "새로운 기술 혁신에 따른 직업‧기술계 교사에게 필요한 자질" 18 (18): 86-93, 1993

      8 김판욱, "데이컴 핸드북"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2006

      9 박영숙, "능력 중심의 교사 직무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10 김판욱, "능력 중심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양서원 2010

      11 윤동열, "국내 직무분석 연구에서 DACUM 활용 현황과 비판" 교육연구소 17 (17): 87-115, 2011

      12 김이경, "교원의 직무 수행 실태 분석 및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13 Sinnett, W. E., "The Application of DACUM in Retraining and Post–Secondary Curriculum Development" Humber College of Applied Arts & Technology 1976

      14 Bureau of Labor Statistics,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15 Zhao, Z.,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eachers and Lecturers in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Springer 55-75, 2007

      16 Chinien, C., "Informing Enhanced Standards Formats for the Red Seal Program" WDM-Consultant 2012

      17 Manley, K., "Embracing Change Through an Innovative Collaboration: The AMTEC Model"

      18 박성종, "Duty, Task, Step 분석을 통한 전기·컴퓨터 분야의 DACUM Chart 활용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6): 65-92, 2003

      19 정정란, "DACUM기법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직무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213-240, 2013

      20 김희필, "DACUM 법에 의한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55-77, 2006

      21 김용익, "DACUM 기법을 활용한 발명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45-66, 2013

      22 DeHoyos, D., "DACUM Research Chart for Workforce Development Support Specialist" Alamo Colleges 2012

      23 Norton, R. E., "DACUM Handbook Second Edition (Leadership Training Series No. 67)"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College of Educ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1997

      24 O*NET Resource Center, "Career/Techn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ary School"

      25 Ho, C. P., "An Occupational Analysis : DACUM Job Analysis and Its Outcome Charts—A Case Study for Digital Media Designers in Taiwan" 10 : 882-893, 2013

      26 Norton, R. E., "Administrator Competency Study: A National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Competencies Important to Secondary and Postsecondary Administrators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in Vocational Education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4 1.17 1.46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