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고용특성과 시설장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 인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Impact of Care Workers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Facility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Quality of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47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고용특성과 시설장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 인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선형모형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고용특성과 시설장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 인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선형모형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45개의 노인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 240명과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고, SPSS 26.0과 HLM 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설장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 인식은 서비스 질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요양보호사의 고용특성 중 고용형태와 근무시간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가 정규직인 경우,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요양보호사들이 인식하는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금, 총경력, 근속기간은 서비스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요양보호사의 시급제 비정규직의 지위를 월급제 정규직화하기 위한 인센티브제 활용 및 급여체계 개편과 관련예산 확보, 나아가 전문성 강화를 바탕으로 근본적인 직업적 가치 인정을 통한 고용안정 강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장기요양의 공공성 강화 및 거점 공공장기요양시설 설립을 통한 지향 모델 제시 또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근로기준법상 요양보호사의 근로시간, 휴게시간, 연차사용 등을 준수하는 등 적정 근로시간 유지 및 야간 근무자에 대한 수당 강화와 근무시간 감소 노력이 필요하다. 세 번째,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 고취를 위한 교육과 개입이 필요하며, 시설장의 자격 기준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요양보호사의 고용안정 및 근무시간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 증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은 정책 입안자들뿐만 아니라 현장의 종사자들이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 workers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facility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quality of service through a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this aim, survey data w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 workers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facility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quality of service through a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this aim, survey data were collected amongst 240 lder adults and 200 care workers who are affiliated within 45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eoul, and analyzed using SPSS 26.0 and HLM 8.0. As a result, one’s percep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whereas, among employment characteristics, employment type and working hours had negative effects on quality of service. Regular workers with fewer working hours and higher awarenes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ward the director provided higher quality of service. But wage, total experience and tenure didn t meaningfully affect it.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incentive, salary systems and budgets, changing the status of temporary workers hourly wage system into that of regular workers’ monthly one in order to strengthen employment security with acknowledging fundamental professional values through reinforcement of expertise. Reinforcement of long-term care’s publicness and establishment of base facilities are also suggested. Second, maintaining appropriate hours of work and rest including annual leave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is needed. Also, increasing the salary of and decreasing working hours for night shift workers are required. Third, education and intervention for inspir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directors and strengthening qualification standards of them are re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성, "종합복지관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서비스 질에 관한 연구 : 리더신뢰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4

      2 강신규, "조직행동론" 형설출판사 2003

      3 임혁, "조직문화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5-34, 2012

      4 이윤경, "제2차 장기요양 기본계획 수립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5 김명숙, "재가방문요양시설장의 리더십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신뢰의 조절역할: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27-337, 2010

      6 김동기,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인권감수성과 자기효능감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기관장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5 (45): 115-136, 2019

      7 김두영,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관리자의 리더십이 직무태도 및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2 (22): 93-114, 2018

      8 전병유, "우리나라 노인요양사 인력 문제와 대안적인 요양인력모델의 모색"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67-91, 2010

      9 김영태, "요양시설과 재가시설의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6) : 53-76, 2009

      10 장윤정, "요양서비스 질 결정요인에 대한 관리자의 의식구조 퍼지분석"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3 (23): 232-237, 2013

      1 이재성, "종합복지관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서비스 질에 관한 연구 : 리더신뢰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4

      2 강신규, "조직행동론" 형설출판사 2003

      3 임혁, "조직문화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5-34, 2012

      4 이윤경, "제2차 장기요양 기본계획 수립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5 김명숙, "재가방문요양시설장의 리더십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신뢰의 조절역할: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27-337, 2010

      6 김동기,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인권감수성과 자기효능감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기관장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45 (45): 115-136, 2019

      7 김두영,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관리자의 리더십이 직무태도 및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2 (22): 93-114, 2018

      8 전병유, "우리나라 노인요양사 인력 문제와 대안적인 요양인력모델의 모색"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67-91, 2010

      9 김영태, "요양시설과 재가시설의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6) : 53-76, 2009

      10 장윤정, "요양서비스 질 결정요인에 대한 관리자의 의식구조 퍼지분석"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3 (23): 232-237, 2013

      11 남연희,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요양보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링 리더십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제3섹터연구소 12 (12): 229-259, 2014

      12 임정도,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25-235, 2011

      13 김선희,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82-291, 2012

      14 김혜영,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35-59, 2011

      15 이영선,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회 24 (24): 179-198, 2010

      16 서보람,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직무소진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1 (11): 23-33, 2019

      17 신태휴,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인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6 (16): 297-307, 2016

      18 하석철, "요양보호사의 임금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6 (46): 83-105, 2019

      19 강창범, "요양보호사의 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54) : 193-209, 2011

      20 이여진,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1 (21): 145-153, 2012

      21 이문재,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회 39 (39): 531-548, 2019

      22 이혜자,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51) : 125-144, 2011

      23 김정엽, "요양보호사의 근무현황과 정책적 제안에 관한 연구-재가⋅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비교-"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7) : 133-165, 2018

      24 서보준,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의 이중매개효과"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31) : 53-81, 2019

      25 이용갑, "요양보호사 처우개선 및 수급 안정을 위한 정책과제 개발" 인천발전연구원 2015

      26 김수정, "시설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에서 돌봄노동 평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8-70, 2018

      27 신경희, "서울시 요양보호사 노동실태와 개선방안" 서울연구원 2013

      28 국미애, "서울시 사회서비스 종사자 근로조건 개선방안 -재가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2018

      29 권현정, "서비스 질의 측면에서 고찰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공급구조에 대한 시장화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289-313, 2014

      30 김춘희, "서비스 질의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 보육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145-164, 2013

      31 김용석, "서비스 질 척도(서브퍼프)의 타당화 연구: 종합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07-135, 2009

      32 이지영, "서비스 관리자가 인식한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에 대한 질적 연구: 서비스의 질 개념, 방해요인 및 질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3) : 27-48, 2011

      33 이주희, "변혁적 리더십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경로분석 - 장애인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8) : 69-94, 2009

      34 김대원, "변혁적 리더십과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이 환자의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Sobel Test를 이용한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206-236, 2011

      35 이상곤, "방문요양센터 요양보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이 요양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0) : 9-30, 2015

      36 이윤형, "말소리 단어재인시 운율특성의 역할 : 서울방언과 대구방언의 비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37 석기현, "리더십이 종업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항공운송산업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38 윤상돈, "리더십유형에 대한 종업원의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39 이윤진, "돌봄서비스 종사자 고용안정성 강화-보육교사와 요양보호사의 근로 환경을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 (20): 149-177, 2018

      40 이선희,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요양병원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39 (39): 409-421, 2009

      41 권현정,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33-57, 2017

      42 신용석, "노인장기요양기관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75-99, 2014

      43 이영균, "노인요양시설장의 리더십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 리더신뢰를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한국공공관리학회 28 (28): 1-33, 2014

      44 이창호, "노인요양시설에서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1-21, 2015

      45 정지나,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의 분석" 한국융합학회 11 (11): 323-332, 2020

      46 이선영,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고용환경이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34) : 91-115, 2020

      47 최영, "노인요양시설 사례관리자가 인지하는 조직 내 의사소통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6 (36): 1025-1036, 2016

      48 심선경, "노인요양시설 리더십 유형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05-116, 2016

      49 이혜승, "노인 요양보호사의 인력운영 현황과 개선방안: 요양보호사와 시설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7 (27): 145-181, 2013

      50 정재명, "공무원 노사분쟁조정제도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정책적 제언: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8 (18): 31-58, 2009

      51 경승구,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요양보호사 근로실태 및 임금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39-350, 2017

      52 Ree, E., "What is the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culture for person-centred care? A cross-sectional study in Norwegian nursing homes and home care services" 7 (7): 1988-1996, 2020

      53 Bass, B. M.,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Manual for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90

      54 Cheng, 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ocial identity as predictors of team climate, perceived quality of car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45 (45): 1200-1216, 2016

      55 Carson, P. P., "Toward understanding the patient's perception of quality" 16 (16): 36-42, 1998

      56 Geron, S. M., "The quality of consumer-directed Long-Term Care" 24 (24): 66-73, 2000

      57 Donabedian, A., "The quality of care : How can it be assessed?" 260 (260): 1743-1748, 1988

      58 March, J. G., "The new institutionalism : Organizational factors in political life" 78 (78): 734-749, 1984

      59 Kouzes, J. M., "The leadership challenge" Jossessy-Bass 1995

      60 Westerberg, K.,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style and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to staff-assessed quality of care : implications for home help services" 22 (22): 461-468, 2014

      61 Daly, M., "The concept of social 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 states" 51 (51): 281-298, 2000

      62 Austin, M. J., "Supervision as collaboration in the human service" Sage Publications 2004

      63 Gellis, Z. D., "Social work perceptions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in health care" 25 (25): 17-25, 2001

      64 Parasuraman, A., "Servqual :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64 : 12-40, 1988

      65 민인식,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2013

      66 Cronin, J. J., "SERVPERF versus SERVQUAL : Reconciling performance-based and perceptionsminus-expectations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58 (58): 125-131, 1994

      67 Bass, B. M., "Research in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JAI Press 1990

      68 Gummer, B., "Organizational identity in a changing environment" 21 (21): 169-187, 1997

      69 Cronin, J. J., "Measuring service quality :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56 (56): 55-68, 1992

      70 Lewis, J. A., "Management of human service programs" Wadsworth Thomson Learning 2001

      71 Ree, E., "Link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atient safety culture and work engagement in home care services" 7 (7): 256-264, 2019

      72 Asif, M., "Link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nurse-assessed adverse patient outcomes and the quality of care : Assessing the role of job satisfaction and structural empowerment" 16 (16): 1-15, 2019

      73 Merrill, K. C., "Leadership style and patient safety : Implications for nurse managers" 45 (45): 319-324, 2015

      74 Bass, B. M.,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Free Press 1985

      75 Clegg, A., "Leadership :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care" 14 (14): 43-45, 2000

      76 Burns, J. M., "Leadership" Harper and Row 1978

      77 Davies, A. R., "Involving consumers in quality of care assessment" 7 : 33-48, 1988

      78 Raudenbush, S. W.,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Sage Publications 2002

      79 Bliese, P. D., "Group size, ICC values, and group-level correlations : A simulation" 1 (1): 355-373, 1998

      80 Donabedian, A., "Explorations in quality assessment and monitoring: The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s assessment" Administration Press 1980

      81 Boamah, S. A.,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outcomes" 66 (66): 180-189, 2018

      82 Zeithaml, V. A.,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52 (52): 2-22, 1988

      83 Daly, M., "Care work : The quest for security"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01

      84 Kreft, I. G. G., "Are multilevel techniques necessary? An overview, including simulation studies"

      85 Yukl, G., "An evaluation of conceptual weaknesses in transformational and charismatic leadership theories" 10 (10): 285-305, 1999

      86 Anderson, L. B., "Achieving high quality throug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A qualitative multilevel analysi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ceived professional quality" 4751-4772, 2018

      87 Parasuraman, A.,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49 : 41-50, 1985

      88 강은나, "2019년 장기요양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