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니산 참성단 도교의례 음식의 역사적 맥락과 형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393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 전통의 큰 축을 담당하였던 도교문화가 의례 음식 분야에서 주목받지 못하였던 한계를 조금이나마 극복하고자 마니산 참성단 초례를 중심으로 도교의례 음식의 역...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 전통의 큰 축을 담당하였던 도교문화가 의례 음식 분야에서 주목받지 못하였던 한계를 조금이나마 극복하고자 마니산 참성단 초례를 중심으로 도교의례 음식의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 형태를 유추하였다.
      먼저 마니산 참성단 초제 음식으로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던 역대시조, 영성, 산천제사 음식을 적용할 수 있을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역대 시조묘와 영성 제사는 중국의 유교적 틀 안에 일찍부터 들어가 있던 제사로서, 조선 내부에서도 참성단 제사와는 달리 중국의 제도에서 의례적 근거가 분명하다고 차이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비교의 대상으로는 적절치 못하였다. 그리고 마니산은 인조 대에 산천 제사에 편입된 듯하나, 산천제단과 참성단은 서로 다른 위치에 있었고, 참성단은 제천의례의 맥락을 가지고 있었기에 이 두 제사 또한 직접적으로 비교될 수 없다. 따라서 이와는 다른 도교의례의 측면에 주목해야 한다.
      이에 중국의 도교의례 음식과 비교해보았는데, 속례(俗禮)를 수용한 제수품이 초례에 사용된 것으로 유추되며, 송대 국가도교의례 음식에서는 소찬(素饌)의 맥락을 짚어볼 수 있었다. 이를 참고하여 마니산 참성단 음식의 형태를 추론하면, 참성단 초제에 ‘차(茶)·탕(湯)·술(酒)’을 올린다는 기록과, 유교식 제사와는 맥락을 달리한다는 점에서 조선시대 국가제사의 속제(俗祭)와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참성단 제사는 현재까지도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도교의례는 유교의 례에 비해 자료가 많거나 자세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으나, 이 연구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의례를 구현하는 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table setting of Taoist food and the historical context, focusing on the rituals of Chamseongdan[塹星壇], Mt. Mani. Although Taoism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cultural tradition in Korea,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d...

      This paper examined the table setting of Taoist food and the historical context, focusing on the rituals of Chamseongdan[塹星壇], Mt. Mani. Although Taoism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cultural tradition in Korea,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did not receive attention in the field of ritual food, and this paper attempted to develop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First, it was reviewed whether the food used in the rituals for Previous Country"s Founders[歷代始祖], Rituals for Stars[靈星], and Rituals for Mountain and Rivers[山川], which were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could be applied as a ritual food for Chamseongdan of Mt. Mani. As a result, Rituals for Previous Country"s Founders[歷代始祖] or Rituals for Stars[靈星] were not appropriate for comparison because they were Confucian rituals and were in a different context from Chamseongdan rituals. In addition, Mt. Mani seems to be included in the rituals for mountain and rivers[山川] in King Injo"s reign, but the alter of Rituals for Mountain and Rivers was in different were in different locations with Chamseongdan and Chamseongdan was different in that it was a place for the heaven-worship ritual. Therefore, the aspect of Taoism rituals should be considered rather than the above rituals.
      In Chinese Taoist rituals, food was prepared according to folk customs, and in national Taoist rites of Song Dynasty, vegetarian food was offered. These examples can give clues to restoring the ritual food of Chamseongdan.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tea[茶], soup [湯], alcohol (酒)’ were served in the Chamseongdan ritual, and the table setting was different from that of Confucian rituals. In this respect, there is a similarity to the national ancestral rites(俗祭)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can be applied to the restoration direction of the Chamseongdan ritu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역대시조·영성·명산대천 제사와의 관계성 검토
      • 3. 중국 문헌에 나타난 도교의례 음식의 형태
      • 4. 마니산 참성단 제례 음식 형태와 복원안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역대시조·영성·명산대천 제사와의 관계성 검토
      • 3. 중국 문헌에 나타난 도교의례 음식의 형태
      • 4. 마니산 참성단 제례 음식 형태와 복원안
      • 5. 마치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술, "한민족 제천의례와 國朝祀典의 통시적 연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2 이용범, "참성단에서 행해진 의례의 유형과 성격" 동아시아고대학회 (23) : 53-77, 2010

      3 서영대, "참성단(塹城壇)의 역사와 의의" 고조선단군학회 19 : 121-150, 2008

      4 김성환, "참성단 天祭儀禮의 복원에 대한 시론 -祀靈星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23) : 3-52, 2010

      5 김철웅, "조선전기의 塹城醮禮" 한국도교문화학회 (28) : 267-294, 2008

      6 김상보, "조선왕조 혼례연향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2003

      7 김해인, "조선시대 왕실 혼례 음식의 제례적 성격과 혼례의 의미 고찰" 한국여성사학회 (25) : 29-52, 2016

      8 김해인, "조선시대 국가의례의 음식문화 연구 –길·가례 음식구조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21

      9 김성환, "조선시대 강화도 단군전승 자료의 검토" 2007

      10 윤내현, "이은봉 교수님의 「단군의 참성단과 홍익인간 사상」을 읽고" 5 : 1999

      1 김인술, "한민족 제천의례와 國朝祀典의 통시적 연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2 이용범, "참성단에서 행해진 의례의 유형과 성격" 동아시아고대학회 (23) : 53-77, 2010

      3 서영대, "참성단(塹城壇)의 역사와 의의" 고조선단군학회 19 : 121-150, 2008

      4 김성환, "참성단 天祭儀禮의 복원에 대한 시론 -祀靈星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23) : 3-52, 2010

      5 김철웅, "조선전기의 塹城醮禮" 한국도교문화학회 (28) : 267-294, 2008

      6 김상보, "조선왕조 혼례연향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2003

      7 김해인, "조선시대 왕실 혼례 음식의 제례적 성격과 혼례의 의미 고찰" 한국여성사학회 (25) : 29-52, 2016

      8 김해인, "조선시대 국가의례의 음식문화 연구 –길·가례 음식구조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21

      9 김성환, "조선시대 강화도 단군전승 자료의 검토" 2007

      10 윤내현, "이은봉 교수님의 「단군의 참성단과 홍익인간 사상」을 읽고" 5 : 1999

      11 복기대, "시론 강화도 塹城壇 유적을 통해 본 단군관련 제사유적" 동아시아고대학회 (23) : 127-167, 2010

      12 정경일, "마리산 참성단 연구" 1 : 1997

      13 이성동, "마니산 참성단의 제천례와 향교의 석전례 시 제수와 제례과정비교" 32 (32): 2006

      14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예문서원 2007

      15 김해인, "대한예전 「찬실준뢰도설」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6

      16 이은봉, "단군의 참성단과 홍익인간사상" 5 : 1999

      17 허흥식, "고려의 문화전통과 사회사상" 2004

      18 김일권, "고려시대의 다원적 至高神 관념과 그 의례사상사적 배경"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9) : 117-148, 2002

      19 김성환, "고려시대 氈城과 摩利山塹城의 제천단" 한국사학사학회 (30) : 45-79, 2014

      20 김성환, "고려 원종의 摩利山塹城 親醮와 壇君" 민족문화연구소 (59) : 3-36, 2015

      21 서영대, "개천절과 강화도 참성단" 동아시아고대학회 (23) : 169-194, 2010

      22 서영대, "강화도의 참성단에 대하여" 41-42 : 1999

      23 김용환, "강화도의 단군신앙 연구" 고조선단군학회 25 (25): 91-116, 2011

      24 김철웅, "강화도 참성 의례의 추이와 醮禮 靑詞의 분석" 동아시아고대학회 (27) : 131-160, 2012

      25 김정욱,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의 기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0

      26 김성환, "강화도 단군전승의 성격" 한국역사민속학회 (39) : 7-40, 2012

      27 박채린, "강화 참성단 초례상의 도교적 재구성과 유교적 변용" 동아시아고대학회 (27) : 161-197, 2012

      28 김성환, "강화 단군전승유적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제언" 동아시아고대학회 (27) : 99-130, 2012

      29 "高麗史"

      30 "江華府志"

      31 "明史"

      32 "新增東國輿地勝覽"

      33 "政和五禮新儀"

      34 "常變通攷"

      35 "宋史"

      36 김도현,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동아시아고대학회 (23) : 79-126, 2010

      37 "太常誌"

      38 "太常志"

      39 "增補文獻備考"

      40 "五洲衍文長箋散稿"

      41 김성환, "1358년(공민왕 7) 李穡의 摩尼山 紀行과 塹城壇 醮禮" 한국역사민속학회 (42) : 7-35,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66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