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폐글라스울이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Waste Glass Wool on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81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lass wool is a material that has been used as a heat insulator in various fields including construction industry.
      Since it is a nonflammable material, it does not generate toxic gases on fire, and thus public agencies recommendusing glass wool as a heat insulator instead of other organic materials. However, repeated drying and wetting cyclescan deteriorate thermal property of glass wool due to the shrinkage and reduction in pore size. For this reason, itneeds to be replaced periodically, and waste materials are generated. This research aims to utilize waste glass woolas additives for increasing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glass wool has weak pozzolanic activity, and beneficial effect on both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The optimumamount found in this experimental work was 0.5% volumetric addition to the concrete.
      번역하기

      Glass wool is a material that has been used as a heat insulator in various fields including construction industry. Since it is a nonflammable material, it does not generate toxic gases on fire, and thus public agencies recommendusing glass wool as a ...

      Glass wool is a material that has been used as a heat insulator in various fields including construction industry.
      Since it is a nonflammable material, it does not generate toxic gases on fire, and thus public agencies recommendusing glass wool as a heat insulator instead of other organic materials. However, repeated drying and wetting cyclescan deteriorate thermal property of glass wool due to the shrinkage and reduction in pore size. For this reason, itneeds to be replaced periodically, and waste materials are generated. This research aims to utilize waste glass woolas additives for increasing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glass wool has weak pozzolanic activity, and beneficial effect on both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The optimumamount found in this experimental work was 0.5% volumetric addition to the concre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글라스울(Glass Wool)은 건설 현장 및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단열재로 사용되고 있다. 글라스울의 경우 불연재료이며 화재시 유해한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단열재로서의 사용이 더욱 권고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글라스울이 반복적인 습윤 건조의 싸이클에 노출되면, 공극의 감소및 수축이 발생하여 단열성능을 잃게 되므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폐글라스울을 콘크리트용 첨가재료로 활용하여 역학적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폐글라스울은 약한 포졸란 반응성을 가지며, 압축강도 및 휨강도의증가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한 최적의 폐글라스울 혼입량은 콘크리트 체적의 0.5%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글라스울(Glass Wool)은 건설 현장 및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단열재로 사용되고 있다. 글라스울의 경우 불연재료이며 화재시 유해한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단열재로서의 사용이 더욱 권...

      글라스울(Glass Wool)은 건설 현장 및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단열재로 사용되고 있다. 글라스울의 경우 불연재료이며 화재시 유해한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단열재로서의 사용이 더욱 권고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글라스울이 반복적인 습윤 건조의 싸이클에 노출되면, 공극의 감소및 수축이 발생하여 단열성능을 잃게 되므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폐글라스울을 콘크리트용 첨가재료로 활용하여 역학적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폐글라스울은 약한 포졸란 반응성을 가지며, 압축강도 및 휨강도의증가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한 최적의 폐글라스울 혼입량은 콘크리트 체적의 0.5%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승범, "폐유리를 혼입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14 (14): 1032-1039, 2002

      2 Luxán MP, "Rapid evaluation of pozzolanic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by conductivity measurement" 19 (19): 63-68, 1989

      3 Polley C, "Potential for using waste glass in portland cement concrete" 10 (10): 210-219, 1998

      4 Shi C, "Characteristics and pozzolanic reactivity of glass powders" 35 (35): 987-993, 2005

      5 Park SH, "Characteristics and Use of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2 (2): 26-33, 1990

      1 박승범, "폐유리를 혼입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14 (14): 1032-1039, 2002

      2 Luxán MP, "Rapid evaluation of pozzolanic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by conductivity measurement" 19 (19): 63-68, 1989

      3 Polley C, "Potential for using waste glass in portland cement concrete" 10 (10): 210-219, 1998

      4 Shi C, "Characteristics and pozzolanic reactivity of glass powders" 35 (35): 987-993, 2005

      5 Park SH, "Characteristics and Use of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2 (2): 26-33,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6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