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1운동 100주년, 역사전쟁과 고종 독시(毒弑) =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History War and the Poisoning of Emperor Goj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01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specially focuses on the hypothesis of poisoning Emperor Gojong, because the intensity of the ideological rejection of poisoning of Emperor Gojong on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3⋅1 movement.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historical war ...

      This paper especially focuses on the hypothesis of poisoning Emperor Gojong, because the intensity of the ideological rejection of poisoning of Emperor Gojong on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3⋅1 movement.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historical war that makes history a tool for certain ideologies. The ideological denial of the poisoning of Gojong is likely to extend to the exclusion of Gojong and the Korean Empire i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political modernizatio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dual purpose, the one is to watch out for the concern that the hypothesis of poisoning Emperor Gojong will be instrumentalized as part of the ‘historical war’. The other is to examine the controversy over the political necessity of Japan to assassinate Gojong, the actual issue of the poisoning of Gojong, the point of time of death of Gojong and the cause of death, and to overcome the contributing to the elimination of exhaustion controvers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이 특히 고종 독살설에 주목한 것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유독 고종 독살설에 대한 부정의 강도가 실체적 진실이 아닌 이념적 강도를 더해가며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다. 자칫 특정...

      이 논문이 특히 고종 독살설에 주목한 것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유독 고종 독살설에 대한 부정의 강도가 실체적 진실이 아닌 이념적 강도를 더해가며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다. 자칫 특정 이념에 역사를 도구화하는 역사전쟁의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고종 독살설에 대한 이념적 부정은 한국의 정치적 근대화 해석과 관련하여 고종과 대한제국에 대한 배제로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연구목적은 이중적인 데 하나는 역사가들의 이념에 따라 역사적 사실을 주조하는 근현대사 ‘역사전쟁’의 일환으로 고종독살설이 도구화될 우려를 경계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고종독살설의 실체적 쟁점인 고종을 암살해야 할 일본의 정치적 필요성, 고종의 사망시점 및 사망원인 등에 대한 논란을 검토해 고종 독살설의 실체에 다가감으로써 최근 ‘야사’로까지 치부되고 있는 고종 독살설과 관련한 소모적 논란을 해소하는데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경향신문, "「이방자 여사 회고록: 세월이여 왕조여(7)」 ‘高宗 승하’ 「國民會報」 三月二日,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2 연합뉴스, "「朝鮮獨立新聞」 第二號(건국 4252년 3월 2일) ‘우리 황제를시해한 역적’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3 李昇燁, "李太王(高宗)毒殺說の檢討" (10) : 2010

      4 정상우, "현행 역사 교과서 한국 근·현대사 서술의 학습 내용 계열성 검토 - 중단원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47) : 121-155, 2018

      5 최병택, "해방 후 역사 교과서의 3·1운동 관련 서술 경향" 한국역사연구회 (74) : 265-297, 2009

      6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1992

      7 "한국일보. 2019/2/26"

      8 "한겨레신문. 2019/1/23"

      9 윤소영, "한ㆍ일 언론 자료를 통한 고종독살설 검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6) : 179-224, 2011

      10 김인걸, "조선후기 공론정치의 새로운 전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1 경향신문, "「이방자 여사 회고록: 세월이여 왕조여(7)」 ‘高宗 승하’ 「國民會報」 三月二日,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2 연합뉴스, "「朝鮮獨立新聞」 第二號(건국 4252년 3월 2일) ‘우리 황제를시해한 역적’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3 李昇燁, "李太王(高宗)毒殺說の檢討" (10) : 2010

      4 정상우, "현행 역사 교과서 한국 근·현대사 서술의 학습 내용 계열성 검토 - 중단원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47) : 121-155, 2018

      5 최병택, "해방 후 역사 교과서의 3·1운동 관련 서술 경향" 한국역사연구회 (74) : 265-297, 2009

      6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1992

      7 "한국일보. 2019/2/26"

      8 "한겨레신문. 2019/1/23"

      9 윤소영, "한ㆍ일 언론 자료를 통한 고종독살설 검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6) : 179-224, 2011

      10 김인걸, "조선후기 공론정치의 새로운 전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11 김명섭, "자유를 위해 투쟁한 아나키스트" 역사공간 2008

      12 오제연, "이승만 정권기 3.1운동의 정치적 소환과 경합" 한국사연구회 (183) : 357-388, 2018

      13 이규창, "운명의 여진" 클레버 2004

      14 이관직, "우당 이회영 실기" 을유문화사 1985

      15 박혁, "왜 ‘3·1혁명’인가? 3가지 근거"

      16 심용환, "역사전쟁 : 권력은 왜 역사를 장악하려 하는가?" 생각정원 2015

      17 김정인, "역사전쟁 :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책세상 2016

      18 윤명철, "역사전쟁" 안그라픽스 2004

      19 Carr, E. H.,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 2011

      20 고원,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민주주의" 책세상 2012

      21 "순종실록부록"

      22 강대영, "법의학" 정문각 2012

      23 윤치호, "물 수 없다면 짖지도 마라" 산처럼 2013

      24 "동아일보. 1951/3/1"

      25 곤도시로스케, "대한제국황실비사" 이마고 2007

      26 이인철, "대고구려역사 중국에는 없다 : 한·중 역사전쟁의 시작" 예문당 2004

      27 한영우, "다시 찾는 우리역사" 경세원 2015

      28 김명길, "낙선재주변"

      29 강용자, "나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 이마사코입니다" 지식공작소 2013

      30 최덕규, "고종황제의 독립운동과 러시아 상하이 정보국(1904~1909)"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1) : 43-84, 2014

      31 이태진, "고종황제의 毒殺과 일본정부 首腦部" 역사학회 (204) : 431-457, 2009

      32 "고종실록"

      33 윤소영, "고종 독살설과 3·1운동" (74) : 46-61, 2019

      34 김종수,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2014

      35 한철호, "고등학교 한국사" 미래엔 2018

      36 황태연, "갑진왜란과 국민전쟁" 청계 2017

      37 윤중진, "法醫學" 고려의학 2013

      38 조규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3ㆍ1운동 서술의 체계와 내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9) : 375-408, 2011

      39 Yŏng-ho Ch’oe, "The Mystery of Emperor Kojong’s Sudden Death in 1919: Were the Highest Japanese officials Responsible?" 35 : 122-151, 2011

      40 "Allgemeine Zeitung. 25/7/1907(Nr.341)"

      41 김정인, "3・1운동과 기억 : 교과서로 익힌 상식을 짚어보다" 한국역사교육학회 (32) : 157-192, 2018

      42 도면회, "3・1운동 원인론에 관한 성찰과 제언" 한국역사연구회 (109) : 453-491, 2018

      43 정용욱, "3·1운동사 연구의 최근 동향과 방향성" 한국역사연구회 (110) : 269-304, 2018

      44 이정은, "3·1운동 연구 100년" (20) : 11-33, 2015

      45 신용하, "3·1독립운동의 역사적 동인과 내인·외인론의 제문제" (58) : 2-42,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76 1.2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