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의 관절조직에서부터 정제된 제 2형 콜라겐을 면역원으로 사용하여 루이스 랫에서 콜라겐 관절염을 유도하였다. 또한 정제된 콜라겐이 도포된 효소면역측정용 플라스틱 판과 퍼옥시다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569607
KIM, Ik-Jung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CHUNG, Jun-Ho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1993
English
237.000
학술저널
509-521(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소의 관절조직에서부터 정제된 제 2형 콜라겐을 면역원으로 사용하여 루이스 랫에서 콜라겐 관절염을 유도하였다. 또한 정제된 콜라겐이 도포된 효소면역측정용 플라스틱 판과 퍼옥시다제...
소의 관절조직에서부터 정제된 제 2형 콜라겐을 면역원으로 사용하여 루이스 랫에서 콜라겐 관절염을 유도하였다. 또한 정제된 콜라겐이 도포된 효소면역측정용 플라스틱 판과 퍼옥시다제가 결합된 항 랫 Ig G, Ig M 항체를 이용하여, 혈청내 항 콜라겐 항체의 역가를 측정하기위한 효소면역측정법을 개발하였다. Ig M 항체는 Ig G 항체보다 일찍 그 역가의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Ig G 항체 역가의 최고치에 도달하는 시점과 관절염이 제 증상이 발현되는 시간은 거의 일치하였다. 면역원 주사후 관절염이 발생한 랫의 항체 역가가 관절염이 발생하지 않은 랫의 역가보다 약간 높았고, 모든 관절염이 발생하지 않은 랫의 혈청에서도 항 제 2형 콜라겐항체가 발견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llagen arthritis was induced in Lewis rats using purified bovine articular collagen as immunogen. And an EIA system was developed using the purified type Ⅱ collagen coated plate and Horseradish peroxidase labelled anti-rat Ig G and Ig M antibodies...
Collagen arthritis was induced in Lewis rats using purified bovine articular collagen as immunogen. And an EIA system was developed using the purified type Ⅱ collagen coated plate and Horseradish peroxidase labelled anti-rat Ig G and Ig M antibodies to determine the serum titers of anti-type Ⅱ collagen antibodies in the sera of immunized rats. The Ig M antibodies reached their peaks earlier than Ig G as expected. And the rise of Ig G titers coincided with that of arthritic signs. The titers of both isotypes at their peaks were only slightly higher in the sera of arthritic rats than in those of non-arthritic rats. And all the non-arthritic rats examined had anti-type Ⅱ collagen antibodies in their sera.
목차 (Table of Contents)
The Basis of Metal Ion Permeability Through Membranes
Absolute Configuration of the Major Carbinol Derived from (-)-α-Narcotine
Causal Boundary for Relativistic Space-times
동국대학경주병원에서 분리된 각종 병원성 세균 및 항생제 감수성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