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유형별 조직혁신의 조절효과 분석- = The Effect of Firm-specific Skills on Product Innovation: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Typ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firm-specific skil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on product innovation,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pecific skill characte...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firm-specific skil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on product innovation,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pecific skill characteristics and product innovation. As a result of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2009-2017), it was found that firm-specific skills had a negativ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ctivities that introduced the changes in the way work is done, in the knowledge management method, and in relationship with external organizatio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Also, Changes in knowledge management method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pecific skill characteristics and product innovation. Companies with firm-specific skills can reduce the negativ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by changing the knowledge management meth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for general skills, and to pay attention to organizational innovation methods related to sharing learning the knowled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 및 조직혁신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과 제품혁신 간 관계에서 유형별 조직혁신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 및 조직혁신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과 제품혁신 간 관계에서 유형별 조직혁신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2009~2017년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회귀분석을 한 결과,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은 제품혁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수행방식의 변화, 지식관리방식의 변화, 외부 조직과의 관계 변화와 같은 조직혁신 활동은 제품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 가지 조직혁신 활동 중에서 지식관리방식의 변화는 기업특수적 숙련 특성과 제품혁신 간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작용하였다. 이는 기업특수적 숙련을 가진 기업은 지식관리방식의 변화를 통해 제품혁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혁신을 위해서는 기업특수적 숙련보다는 일반 숙련(general skills)에 대한 교육훈련 투자를 늘리고 정보와 지식 공유 및 학습 방식과 관련된 조직혁신 방법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상종 ; 도상호, "지식경영, 종합적 품질경영(TQM), 혁신성과 간의 관계" 한국회계정보학회 11 (11): 81-97, 2011

      2 조남문 ; 오상진, "조직 내 구성원의 흡수역량 및 폐기역량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창출과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3 (33): 261-289, 2018

      3 정도범 ; 김병일, "제조업체의 R&D 협력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혁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0 (20): 1192-1211, 2017

      4 임은천, "전략적 제휴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본(Human Capital)의 조절역할"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39-46, 2019

      5 이연희, "자본주의 다양성 관점에서한국과 독일의 혁신클러스터정책 비교 연구" 한독경상학회 37 (37): 1-19, 2019

      6 송보화, "인적자원관리시스템과 조직성과의 연계에 대한실증적고찰-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5 (35): 331-363, 2006

      7 문성배, "비기술적 혁신이 제품혁신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21 (21): 331-353, 2018

      8 류기락, "디지털 전환 시대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재편 방안" 노동문제연구소 43 : 45-73, 2021

      9 김재성 ; 최상옥, "기업의 노동 유연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50 (50): 1435-1467, 2021

      10 정도범 ; 장혜정 ; 김병일, "기업들은 언제 공동 R&D를 수행하는가? : 조직혁신과 보호수단의 역할" 산업경영연구소 42 (42): 3-27, 2019

      1 임상종 ; 도상호, "지식경영, 종합적 품질경영(TQM), 혁신성과 간의 관계" 한국회계정보학회 11 (11): 81-97, 2011

      2 조남문 ; 오상진, "조직 내 구성원의 흡수역량 및 폐기역량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창출과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3 (33): 261-289, 2018

      3 정도범 ; 김병일, "제조업체의 R&D 협력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혁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0 (20): 1192-1211, 2017

      4 임은천, "전략적 제휴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본(Human Capital)의 조절역할"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39-46, 2019

      5 이연희, "자본주의 다양성 관점에서한국과 독일의 혁신클러스터정책 비교 연구" 한독경상학회 37 (37): 1-19, 2019

      6 송보화, "인적자원관리시스템과 조직성과의 연계에 대한실증적고찰-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5 (35): 331-363, 2006

      7 문성배, "비기술적 혁신이 제품혁신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21 (21): 331-353, 2018

      8 류기락, "디지털 전환 시대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재편 방안" 노동문제연구소 43 : 45-73, 2021

      9 김재성 ; 최상옥, "기업의 노동 유연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50 (50): 1435-1467, 2021

      10 정도범 ; 장혜정 ; 김병일, "기업들은 언제 공동 R&D를 수행하는가? : 조직혁신과 보호수단의 역할" 산업경영연구소 42 (42): 3-27, 2019

      11 박찬웅, "기업 혁신 유형과 조직 특성" 26 : 27-56, 2008

      12 노용진, "기업 내 교육훈련의 영향요인에 관한 미시적 접근 -생산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9 (19): 27-55, 2009

      13 강석민 ; 김대원, "기술협력 네트워크에서의 사회적자본, 지식활용, 제품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15 (15): 207-221, 2014

      14 문창호, "기술혁신과 조직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두 혁신유형의 보완적 효과를 중심으로" KNU 기업경영연구소 11 (11): 73-90, 2020

      15 송위진, "기술혁신과 과학기술정책" 르네상스 2006

      16 봉강호 ; 박준영 ; 박재민, "기계산업의 제품혁신 성과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27-434, 2018

      17 정성문 ; 곽기현 ; 여영준, "공정혁신과 제품혁신이 고용구조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혁신학회 12 (12): 87-117, 2017

      18 정도범 ; 정동덕, "공공연구기관의 성과관리ㆍ활용 역량 및 활동이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경영경제학회 21 (21): 199-224, 2013

      19 Herrmann, A. M., "When ‘national innovation system’meet ‘varieties of capitalism’arguments on labour qualifications: On the skill types and scientific knowledge needed for radical and incremental product innovations" 40 (40): 687-701, 2011

      20 Hall, P. A, "Varieties of Capitalism: The Institutional Foundations of Comparative Advanta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1 Schumpeter, J. A.,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An inquiry into profits, capital, credit, interest, and the business cycle. Vol.55" Transaction publishers 1934

      22 Zhang, J.,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knowledge bas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on technology collaboration" 47 (47): 679-704, 2010

      23 Damanpour, F., "The dynamics of the adoption of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in organizations" 38 (38): 45-65, 2001

      24 Schumpeter, J.,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34

      25 Chandy, R. K., "The Incumbent's Curse? Incumbency, Size and Radical Product Innovation" 64 (64): 1-17, 2000

      26 Freeman, C., "Technology Policy and Economic Performance: Lessons from Japan" Pinter Publishers 1987

      27 Zhou, K. Z., "Technological capability, strategic flexibility, and product innovation" 31 (31): 547-561, 2010

      28 Schilling. M. A,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5th ed.,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2016. Matrix Organizations: Effect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36 : 106-138, 2016

      29 Dyer, J. H., "Specialized supplier networks as a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Evidence from the auto industry" 271-291, 1996

      30 Gilbert, R., "Preemptive Patenting and the Persistence of Monopoly" 72 (72): 514-526, 1982

      31 OECD, "Oslo Manual: Guidelines for Collecting and Interpreting Innovation Data" OECD 2005

      32 Sapprasert, K. .,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its effects" 21 : 1283-1305, 2012

      33 Ettlie, J. E., "Organizational Policy and Innovation among Suppliers to the Food Processing Sector" 26 (26): 27-44, 1983

      34 Damanpour, F., "Organizational Innovation: Meta-analysis of Effects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s" 34 : 555-590, 1991

      35 Lawrence, P,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Managing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rvard University 1967

      36 Mothe, C., "Non-technological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do Services Differ from Manufacturing? An Empirical Analysis of Luxembourg Firms" 57 (57): 227-244, 2012

      37 Meyer, J.,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s: Formal Structure as Myth and Ceremony" 83 : 340-363, 1977

      38 Zaltman, G., "Innovations and organizations" Wiley 1973

      39 Edquist, C., "Innovation and employment: Process versus product innovation" Edward Elgar Publishing 2001

      40 Becker, G., "Human capita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for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75

      41 Alvarez, S. A., "How entrepreneurial firms can benefit from alliances with large partners" 15 (15): 139-148, 2001

      42 Hall, B. H.,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Innovation, Vol.2" Elsevier 1033-1082, 2010

      43 Barney, J. B.,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17 (17): 99-120, 1991

      44 Damanpour, F., "Combinative effects of innov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of service organizations" 46 (46): 650-675, 2009

      45 Siegel, D. S., "Assessing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Practices on the Relative Productivity of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Offices: An Exploratory Study" 32 (32): 27-48, 2003

      46 Nelson, R., "An Evolutionary Theory of Economic Chan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47 Cohen, W. M., "Absorptive Capacity :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35 (35): 128-152, 1990

      48 Utterback, J. M., "A Dynamic Model of Process and Product Innovation" 3 (3): 639-656, 1975

      4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차(2005년)~7차(2017년)년도 사용자 지침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1.38 1.21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