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교과서 한자 병기 문제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확실하게 다지고자 작성되었다. 교과서 한자 병기 방안은 2014년 9월 24일에 교육부가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안)’을 발표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4357
2015
Korean
한자 ; 한자어 ; 초등학교 ; 교과서 ; 한자 병기 ; 한자 교육 ; 한글 ; Hanja ; Chinese letters ; Korean ; hangeul ; hanja-eo ; Sino-Korean words ; elementary school ; textbook ; use of hanja with Korean
001
KCI등재
학술저널
317-353(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교과서 한자 병기 문제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확실하게 다지고자 작성되었다. 교과서 한자 병기 방안은 2014년 9월 24일에 교육부가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안)’을 발표한 ...
이 논문은 교과서 한자 병기 문제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확실하게 다지고자 작성되었다. 교과서 한자 병기 방안은 2014년 9월 24일에 교육부가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안)’을 발표한 후 1년간 찬반양론이격렬하게 벌어졌다. 2015년 9월 22일에 교육과정을 확정 발표 하면서 한자 병기 문제는 2016년 연말까지 연기됨에 따라 앞으로도 논쟁이 계속될전망이다. 교과서 한자어에 대한 한자 병기 확대 방안이 지니는 이론적기초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말미암아 반대 의견이 끊임없이 제기 되고있기 때문에 이를 세 가지 면으로 나누어 집중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문제의 발단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논의해본다. 한자 병기를 흔히 한자 문제로 오인함으로써 문제의 본질을 잘못 파악하고 있다. 교과서에 쓰인 수많은 한자어에 대하여 중요도가 높은 것을 선별하여 한자로병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자가 아니라 한자어에 대한 중요성과 그 위상을 심도 있게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심도 있게 검토해본다. 교육의 첫단추라는 점에서 초등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초등학교 3학년은 평생 교육의 가장 큰 분수령이다. 독서 학습(Learning to read)에서 학습독서(Reading to learn)으로 전환되는 것이 바로 초등학교 3학년이기 때문이다. 한자병기를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부터 실시하려는 교육부 방안은 이런 점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점에 입각하여 한자 병기가 지니는 3대 의의를 추론해 본다. 셋째, 한글과 한자의 관계에 대한 정확한 인식 및 참다운 한글 사랑방안에 대하여 깊이 있게 분석해본다. 한자 병기에 대한 찬반양론은 한글과 한자의 관계에 대한 인식 차이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상호 보완적으로 보는 찬성론과 상호 배타적으로 보는 반대론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깊이 있게 분석해 본다. 아울러 한자 배척이 아니라 문맹 민족에 대한 한글 보급이 참다운 한글 사랑임을 밝혀두고 싶다. 한자병기와 관련된 오해와 편견 그리고 반대는 위와 같은 세 가지 기초 이론을 올바로 인식하게 된다면 불식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에서는한자병기를 통하여 기대할 수 있는 효과와 바람직한 방안을 (1) 우리나라의 현실에 부합하는 한자 교육 방안, (2) 창의적인 인재 양성에 부합하는한자 교육 방안, (3) 국어사전 활용 교육에 의한 저(低)비용 고(高)효과의한자어 중심 한자 교육 방안, 이상 세 가지 면에서 고찰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written to offer some theoretical bases for the use of hanja (Chinese letters) along with Korean (or hangeul) in school textbooks.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2015 draft curriculums combining liberal arts and science courses by the M...
This article is written to offer some theoretical bases for the use of hanja (Chinese letters) along with Korean (or hangeul) in school textbooks.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2015 draft curriculums combining liberal arts and science cours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September 24, 2014, there had been heated year-long debates both for and against the use of hanja along with Korean. Although the curriculums were confirmed on September 22, 2015, the original plan for using hanja with Korean in textbooks was postponed until the end of 2016. Under the notion that the boycott against the use of hanja mainly derived from a poor theoretical bassis on this issue, this article aims to offer some explanations on it in three different aspects. First, this study will discuss the starting point of the debate in depth. Many are likely to understand the use of hanja as a matter of using Chinese letters only, which is misleading and lets them miss the true nature of the problem. The new curriculum was planned to select some major Sino-Korean (hanja-eo) referring to a set of words in the Korean language vocabulary that originated from or were influenced by hanja) used in textbooks and write them down in hanja along with Korean. So it is a matter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ino-Korean words, not the Chinese letters themselves. Second,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hould be further examined in-depth. Primary school educ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as the first step for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Especially the third grade year in elementary schools is a watershed period when “learning to read” shifts to “reading to learn.” Therefore, the ministry`s plan to let the students learn hanja from the third graders is highly meaningful. In this respect, this study will examine the three important meanings of the policy. Third, this study will discuss in depth the correct recognition of the relation between Korean and hanja, and appropriate ways to express our love of Korean as well. The pros and cons opinions of the use of hanja came from a gap in terms of perceiving the relation between these two writing systems. I will try to discuss different opinions of both the advocates and opponents in a more theoretical way. A boycott against hanja does not reflect the real love of Korean. People should show their love of Korean by introducing this writing system to the illiterate people. Misunderstanding of, prejudice against and opposition to the use of hanja in textbooks can be resolved by understanding the three basic ideas mentioned above. In conclusion, there are three advisable ways which we can expect from the use of hanja: 1) a proper hanja education plan that copes with the situation of Korean society; 2) a proper hanja education plan that meets the needs of cultivating creative future leaders; and 3) a low-cost, high-efficient hanja education plan based on the active utilization of Korean dictionary.
1 전광진, "한자의 특질을 통한 LBH 교수학습법 개발" 중국문학연구 (32) : 419 ~ 443, 2006
2 전광진, "한자의 성질에 관한 제 학설 탐구" 중국언어연구 13 : 257 ~ 277, 2001
3 민현식, "한자어휘교육론" 보고사 : 138 ~ 179, 2012
4 전광진, "한자 병기의 이론 기초 및 기대 효과" 교육부 공청회 발표문, 2015
5 김경자, "한자 교육 활성화와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에 관한 논의" 초등학교 한자교육 활성화를 위한 공청회 주제 발표문 : 3 ~ 19, 2015
6 전광진, "한글과 한자의 관계 : 수저론" 전통문화연구 (37) : 11 ~ 13, 2014
7 구본관,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2" 아카넷 : 365 ~ 410, 2014
8 김창섭,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1" 아카넷 : 189 ~ 245, 2014
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출판사,
10 "초중교과 속뜻학습 국어사전" LBH교육출판사,
1 전광진, "한자의 특질을 통한 LBH 교수학습법 개발" 중국문학연구 (32) : 419 ~ 443, 2006
2 전광진, "한자의 성질에 관한 제 학설 탐구" 중국언어연구 13 : 257 ~ 277, 2001
3 민현식, "한자어휘교육론" 보고사 : 138 ~ 179, 2012
4 전광진, "한자 병기의 이론 기초 및 기대 효과" 교육부 공청회 발표문, 2015
5 김경자, "한자 교육 활성화와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에 관한 논의" 초등학교 한자교육 활성화를 위한 공청회 주제 발표문 : 3 ~ 19, 2015
6 전광진, "한글과 한자의 관계 : 수저론" 전통문화연구 (37) : 11 ~ 13, 2014
7 구본관,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2" 아카넷 : 365 ~ 410, 2014
8 김창섭,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1" 아카넷 : 189 ~ 245, 2014
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출판사,
10 "초중교과 속뜻학습 국어사전" LBH교육출판사,
11 김진숙, "초등학교의 바람직한 한자교육 방안 연구" 2009
12 전광진, "중국 내 소수민족(55)의 서사체계 및 새로운 문자 창제" 중국언어연구 15 : 195 ~ 228, 2002
13 "우리말 한자어 속뜻사전" LBH교육출판사,
14 신명선, "어휘교육론" 사회평론아카데미 : 61 ~ 99, 2014
15 김창원, "어휘교육론" 사회평론아카데미 : 385 ~ 413, 2014
16 "속뜻사전 무료 어플리케이션" (주) 7GNC,
17 전광진, "선생님 한자책" LBH교육출판사, 2013
18 이건범, "명분도 근거도 없는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한자 병기 반대국회 토론회 자료집 : 10 ~ 22, 2015
19 全廣鎭, "로바어와 그 한글서사법" 중국언어연구 (17) : 275 ~ 317, 2003
20 김광해, "국어어휘론 개설" 집문당, 1993
21 김승호, "국어사전 활용교육 : 308 ~ 318" 2015
22 이돈희, "국어사전 활용교육" LBH교육출판사, 2015
23 김승호, "국어사전 활용교육" : 122 ~ 136, 2015
24 심재기, "국어 어휘론 개설" 지식과 교양, 2011
25 신명선, "국어 사고도구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2004
26 전광진, "교과서의 ‘표현⋅표기’ 무엇이 문제인가?" 교과서연구 37 : 70 ~ 73, 2001
27 전광진, "교과서도 정직이 최상의 방책이다" 교과서연구 : 55 ~ 59, 2013
28 박세진, "韓國 初等學校 漢字敎育의 實態와 要求 分析" 동방한문학 (45) : 118 ~ 147, 2010
29 안건상, "漢字 基盤 地球科學 用語의 效用性" 漢字漢文敎育 1 (26) : 633 ~ 656, 2011
30 김진숙, "初等學校 漢字敎育에 대한 要求 調査" 漢字漢文敎育 1 (24) : 301 ~ 351, 2010
31 장호성, "‘初等學校 敎育用 基礎 漢字’ 制定 및 敎科書 漢字 倂記 方案 硏究"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40 : 469 ~ 505, 2015
32 교육부,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시안)" 2014
일반논문 : 희비극의 제 3의 장르로서의특징에 대한 고찰 -셰익스피어 극작품 분류를 중심으로-
일반논문 : 『토끼 아저씨와 멋진 선물』을 통해 본 그림책의 스토리텔링
일반논문 : 근대 중국 영화제작사의 지배구조와 운영 -“실업부(實業部)”와 “경제부(經濟部)” 등기기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