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은퇴부부의 부부관계 만족도, 심리적 건강, 은퇴적응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단기 종단연구 = An Explor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Relationship, Psychological Health, and Retirement Adjustment of Retired Couples: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88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d the effects of marital relationship, psychological health, couple’s retirement context, and couple’s interdependency on the change of couples’ retirement adjustment with short-term longitudinal data. For this purp...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d the effects of marital relationship, psychological health, couple’s retirement context, and couple’s interdependency on the change of couples’ retirement adjustment with short-term longitudinal data. For this purpose, data were drawn from 2 waves(2nd wave, 3rd wave)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he analytic sample included 1190 older couples who experienced the transition into retirement of one of the partner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s(models with lagged endogenous variables-lagged effect model) are used to explain adjustment to retirement by both part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ist, marital relationship, psychological health, and retirement adjustment of couples’ were influenced by soci-demographic variables(subjective 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as well as resources variables. Second, couples’ retirement adjustment, marit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tates were influenced by leisure satisfaction and marit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health were influenced by adul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husbands. Third, the extent to which partners influence each other in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states, but process of adjusting to retirement appears to be limited. Specifically, the most powerful variables affecting husbands’ retirement adjustment were leisure satisfaction, subjective economic status, wives’ retirement adjustment and, adul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the most powerful variables affecting wives’ retirement adjustment were subjective economic status, leisure satisfaction, adul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ir own psychological health. Based on the study find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to improve couples’ retirement adjustment with time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은퇴부부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심리적 건강 및 부부의 은퇴상황과 부부의 상호의존성이 은퇴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의 2...

      본 연구는 은퇴부부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심리적 건강 및 부부의 은퇴상황과 부부의 상호의존성이 은퇴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의 2-3차년 자료를 사용하여 1190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종단적 연구설계인 시차내생변수를 포함하는 모델 중 시차효과모델에 기초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부부의 부부관계 만족도, 심리적 건강, 은퇴적응에 부부 모두 통제변인의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고, 통제변인 다음으로 은퇴관련 변인보다 자원변인의 설명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부부 모두의 은퇴적응에 자원변인 중 여가활동 만족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남편의 경우 자녀관계 만족도가 부부관계 만족도, 심리적 건강, 은퇴적응에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은퇴부부는 부부관계 만족도와 심리적 건강에서 부부간 서로 상호영향을 미쳤으나, 은퇴적응에서는 남편만이 부인의 은퇴적응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인은 남편의 경우 여가활동 만족도, 주관적 경제수준, 부인의 은퇴적응, 자녀관계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고, 부인의 경우 주관적 경제수준, 여가활동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 심리적 건강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은퇴부부의 은퇴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서로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부부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연진, "한국판 은퇴 준비 척도(Korea-The Process of Retirement Planning Scale: K-PRePS)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3 (13): 2099-2117, 2012

      2 안지선, "중년기 은퇴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65-85, 2012

      3 변선아, "중년기 남성의 부부친밀감이 생활만족도 및 아버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김경신,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아정체감 및 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9 (39): 105-118, 2001

      5 성지미, "중고령자의 은퇴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75-212, 2011

      6 김지경, "중고령 은퇴자들의 은퇴 후 경과기간별 은퇴생활적응의 영향요인" 대한가정학회 48 (48): 83-101, 2010

      7 이승원, "중ㆍ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2 (12): 107-125, 2008

      8 장지연, "중․고령자의 경력이동: 대안적 은퇴과정으로서의 근로시간 단축과 자영업 창업의 비중" 37 (37): 95-121, 2003

      9 김미령, "준고령자와 고령자의 은퇴만족도 영향요인 비교분석" 한국노년학회 33 (33): 617-636, 2013

      10 김지경, "조기은퇴남성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31-44, 2009

      1 김연진, "한국판 은퇴 준비 척도(Korea-The Process of Retirement Planning Scale: K-PRePS)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3 (13): 2099-2117, 2012

      2 안지선, "중년기 은퇴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65-85, 2012

      3 변선아, "중년기 남성의 부부친밀감이 생활만족도 및 아버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김경신,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아정체감 및 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9 (39): 105-118, 2001

      5 성지미, "중고령자의 은퇴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75-212, 2011

      6 김지경, "중고령 은퇴자들의 은퇴 후 경과기간별 은퇴생활적응의 영향요인" 대한가정학회 48 (48): 83-101, 2010

      7 이승원, "중ㆍ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2 (12): 107-125, 2008

      8 장지연, "중․고령자의 경력이동: 대안적 은퇴과정으로서의 근로시간 단축과 자영업 창업의 비중" 37 (37): 95-121, 2003

      9 김미령, "준고령자와 고령자의 은퇴만족도 영향요인 비교분석" 한국노년학회 33 (33): 617-636, 2013

      10 김지경, "조기은퇴남성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31-44, 2009

      11 주용국, "전문직 은퇴자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75-97, 2011

      12 정순둘,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고령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9 (49): 31-50, 2010

      13 조병은,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고령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49 : 31-50, 1999

      14 정순둘,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고령 여성의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137-155, 2011

      15 권은비, "은퇴한 남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은퇴관련변인과 부부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5 (15): 73-92, 2011

      16 백은영, "은퇴자의 은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44 (44): 345-372, 2009

      17 매일신문, "은퇴자 3명 중 1명은 비자발적 퇴직"

      18 김봉환, "은퇴상담의 현황과 전망" 한국상담학회 15 (15): 301-320, 2014

      19 윤현숙, "은퇴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 노인의 성과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18, 2006

      20 성미애, "은퇴 후 생활만족도 변화에 관한 단기 종단적 분석" 한국가족학회 24 (24): 82-102, 2012

      21 성미애, "여성 퇴직자의 퇴직 후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교직·공무원직 퇴직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16 (16): 55-91, 2004

      22 조규영, "부양자 역할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117-141, 2011

      23 전혜정, "미국노인의 사회적 지원제공과 정신건강: 종단적 자료분석" 한국노년학회 24 (24): 89-105, 2004

      24 한경혜, "라이프코스 관점에서 본 은퇴경험의 남녀차이" 한국사회학회 42 (42): 86-118, 2008

      25 신성일,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변인들의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4 (14): 3673-3690, 2013

      26 문아람, "노년기 가족관계 특성이 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2008

      27 박영희, "남편은퇴 후 가족관계변화가 노년기부부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탐라대학교 2008

      28 김나연, "남성노인의 은퇴 후 삶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찾아서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1 (21): 253-288, 2007

      29 성미애, "남녀 은퇴자의 은퇴전이 경험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8 (48): 13-25, 2010

      30 한국경제신문, "기업정년퇴직 이제는 옛말, 10명 중 2명만"

      31 Lawton, M. P., "The course of later life. Research and reflections" Springer 15-23, 1989

      32 Kim, J. E., "Retirement transitions, gend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A life-course, ecological model" 57 (57): 212-222, 2002

      33 Belgrave, L. L., "Retirement transition and adaptation: Are health and finances losing their effects?" 37 : 122-147, 1995

      34 Mattews, N. A., "Retirement as a critical life event" 9 : 548-557, 1987

      35 Gall, T. L., "Pre-retirement expectations and the quality of life of male retirees in later retirement" 32 : 187-197, 2000

      36 Gallo, W. T., "Health effects of involuntary job loss among older workers: Findings from the health and retirement survey" 585 : 131-140, 2000

      37 Atchley, R. C., "Families and Retirement" Sage publication 145-158, 1992

      38 Davey, A., "Dimension of Marital Quality and Retirement" 25 : 431-464, 2004

      39 Moen, P., "Couple’s work/retirement transitions, Gender, and Marital Quality" 64 (64): 55-71, 2001

      40 김지경, "Analysis of RetiredWomen’s Income Sourceand the Amount of Income in Korea :Focus onComparing Voluntary Retirees to InvoluntaryRetirees"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2): 121-144, 2006

      41 국민연금관리공단, "2, 3차년도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