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진엽, 하선규, "『미학』", 책세상, 2007
2 고은, "『이상평전』", 민음사, 1974
3 이상문학회, "『이상소설작품론』", 역락, 2007
4 정주아, 정주아, "『이상의 사상과 예술』", 신구문화사, 2007
5 김주현, "『정본 이상 전집 1,2,3』", 소명출판, 2005
6 김유중, 김주현,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7 이원도, "「이상 문학의 해체성 연구」", 동의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2007
8 이시은, "「이상의 도시와 시공간 의식」", 『현대문학의 연구』17호, 2001
9 나병철, 나병철, 나병철, "「1930년대 후반 도시소설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1990, 1990
10 서준섭,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88, 1988
1 김진엽, 하선규, "『미학』", 책세상, 2007
2 고은, "『이상평전』", 민음사, 1974
3 이상문학회, "『이상소설작품론』", 역락, 2007
4 정주아, 정주아, "『이상의 사상과 예술』", 신구문화사, 2007
5 김주현, "『정본 이상 전집 1,2,3』", 소명출판, 2005
6 김유중, 김주현,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7 이원도, "「이상 문학의 해체성 연구」", 동의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2007
8 이시은, "「이상의 도시와 시공간 의식」", 『현대문학의 연구』17호, 2001
9 나병철, 나병철, 나병철, "「1930년대 후반 도시소설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1990, 1990
10 서준섭,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88, 1988
11 명형대,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공간구조 연구」", 부산대 박사논문, 1991, 1991
12 권성우, 권성우,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 연구-반영 이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모더니 티와 타자의현상학』, 솔, 1999, 1999
13 임화, "「사상은 신념화, 방황하는 시대정신」, 《동아일보》, ,12", 12일자, 1937
14 한상규,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에 나타난 미적 자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89, 1989
15 이재선, "「전통과 반역-사실주의와 이상문학의 시간」, 『인문연구논집』6", 서강 대 인문과학연구소,년 7월, 1976
16 최학출, "「1930년대 한국모더니즘의 근대성과 주체의 욕망체계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논문, 1995
17 정하늬, "「이상 소설에 나타난 모조이미지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25호", 한국현대문학회, 2008
18 정하늬, "「이상(李箱)의〈失花〉에 나타난 도시 ‘동경(東京)’의 의미 연구」", 『현 대문학연구』26, 2008
19 문흥술,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난 언술 주체의 분열 양태 연 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8, 1998
20 조영복,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근대성의 담론 연구-김기림, 이상을 중심으 로」", 서울대 박사논문, 1996, 1996
21 신형철, "「이상의 텍스트에 새겨진 1930년대 초 동아시아 정세의 흔적들 : 이상 문학의 정치성 해명을 위한 시론(試論)」", 『인문학연구』, 201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