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Hello, Modern!” 군산시간여행축제 포스터를 매개로 나타나는 근대의 이미지와 의미 = “Hello, Modern!” The Modern Image and Meaning of Gunsan Time Travel Festival Pos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00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consume so many images in our daily lives and we call it as the age of images. As it is an age of images, many cities have differentiated image strategies to symbolize and attract people. This study began with interest in these images and tried to examine the image of Gunsan, which is construct an image as a modern cultural city. Gunsan, which opened in Japanese colonial era, constructs image as a modern cultural city using many of the remaining modern architectures and places. The poster of Gunsan Time Travel Festival, a representative festival in Gunsan, strengthens the meaning of modern times by utilizing modern cultural images. Images work as a consume element, and consumers ttake the meanings and change or expand by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Modern”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is recognized and accepted as modern meaning, includ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even culture in the 1960s and 1970s, which is largely influenced by images imprinted by various media and cultural phenomena of “retro newtro.” Places such as modern architecture were recognized as places and spaces with exotic scenery, and historically painful and deprived places were consumed as a tourism product through the Time Travel Festival. “Modern” is recognized as historically painful and deprived places of colonial history, but on the other hand, it is recognized and accepted as a “modern” that experiences a strange culture of the past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Therefore, this study noted changes in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meaning of‘modern’ according to media,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s a medium for poster images of the festival.
      번역하기

      We consume so many images in our daily lives and we call it as the age of images. As it is an age of images, many cities have differentiated image strategies to symbolize and attract people. This study began with interest in these images and tried to ...

      We consume so many images in our daily lives and we call it as the age of images. As it is an age of images, many cities have differentiated image strategies to symbolize and attract people. This study began with interest in these images and tried to examine the image of Gunsan, which is construct an image as a modern cultural city. Gunsan, which opened in Japanese colonial era, constructs image as a modern cultural city using many of the remaining modern architectures and places. The poster of Gunsan Time Travel Festival, a representative festival in Gunsan, strengthens the meaning of modern times by utilizing modern cultural images. Images work as a consume element, and consumers ttake the meanings and change or expand by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Modern”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is recognized and accepted as modern meaning, includ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even culture in the 1960s and 1970s, which is largely influenced by images imprinted by various media and cultural phenomena of “retro newtro.” Places such as modern architecture were recognized as places and spaces with exotic scenery, and historically painful and deprived places were consumed as a tourism product through the Time Travel Festival. “Modern” is recognized as historically painful and deprived places of colonial history, but on the other hand, it is recognized and accepted as a “modern” that experiences a strange culture of the past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Therefore, this study noted changes in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meaning of‘modern’ according to media,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s a medium for poster images of the festiv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일보, "화려했던 그 시절… 도시 전체 ‘일제~70년대’로 변신"

      2 Ken Goffman, "카운터 컬쳐" 텍스트 2004

      3 이미혜, "축제 체험프로그램 참가자의 몰입경험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20 (20): 191-210, 2013

      4 이장주, "지역축제의 이미지 특성화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 6대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한국관광학회 24 (24): 205-225, 2000

      5 류웅걸,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이미지 간 관련성 연구" 동북아관광학회 8 (8): 61-80, 2012

      6 이정덕, "전북의 축제" 신아출판사 2000

      7 최인택,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를 통해서 본 조선의 풍속 기억"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31-149, 2017

      8 이용숙, "인류학 민족지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일조각 2016

      9 多田 治, "오키나와 이미지의 탄생" 패러다임 2020

      10 임창호, "역사공간 및 건축물의 보존에 의한 도시이미지 창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30 (30): 42-54, 1995

      1 문화일보, "화려했던 그 시절… 도시 전체 ‘일제~70년대’로 변신"

      2 Ken Goffman, "카운터 컬쳐" 텍스트 2004

      3 이미혜, "축제 체험프로그램 참가자의 몰입경험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20 (20): 191-210, 2013

      4 이장주, "지역축제의 이미지 특성화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 6대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한국관광학회 24 (24): 205-225, 2000

      5 류웅걸,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이미지 간 관련성 연구" 동북아관광학회 8 (8): 61-80, 2012

      6 이정덕, "전북의 축제" 신아출판사 2000

      7 최인택,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를 통해서 본 조선의 풍속 기억"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31-149, 2017

      8 이용숙, "인류학 민족지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일조각 2016

      9 多田 治, "오키나와 이미지의 탄생" 패러다임 2020

      10 임창호, "역사공간 및 건축물의 보존에 의한 도시이미지 창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30 (30): 42-54, 1995

      11 김창수, "식민지기 인천의 사진엽서와 시선들" 도시사학회 2 : 7-29, 2009

      12 김진송, "서울에 딴스홀을 許하라" 현실문화 2019

      13 최윤영, "색채심리학적 접근을 통한 배색교육에 관한 연구 : 색채의 감정반응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 심혜련, "새로운 놀이 공간으로서의 대도시와 새로운 예술 체험 - 발터 벤야민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4 (14): 62-76, 2003

      15 김선희, "사진그림엽서를 통해 본 근대 서울의 관광 이미지와 표상" 대한지리학회 53 (53): 569-583, 2018

      16 이오현,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힘과 그 한계 :일일드라마 <보고 또 보고> 의 사례 분석" 한국방송학회 16 (16): 206-245, 2002

      17 Simon Reynolds, "레트로 마니아" 작업실유령 2014

      18 김민채, "레트로 디자인에 나타난 노스탤지어의 기호화" 디자인연구소 18 (18): 109-126, 2019

      19 신동규, "대한제국기 사진그림엽서로 본 한일병탄의 서막과 일본 제국주의 선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51-169, 2017

      20 마정미, "근대의 상품광고와 소비, 그리고 일상성" 문화과학사 45 : 209-223, 2006

      21 전북도민일보, "근대와 현대, 미래가 소통하는 군산시간여행축제"

      22 "군산시청"

      23 뉴시니어, "군산시, 모던걸 모던보이와 함께하는 ‘영화동 스캔들 1930’패션쇼 개최"

      24 이영란, "광주 기억문화의 이미지화를 통한 구도심 재생 방안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225-248, 2018

      25 김지혜, "광고로 만나는 경성의 미인, 모던걸 모던보이" 한국미술연구소 (43) : 207-227, 2016

      26 민웅기, "공공성 기반 관광상품 소비문화에 내재한 상징적 경계에 대한 관광사회학적 고찰 - 융합적 관광정책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문화융합학회 39 (39): 203-240, 2017

      27 최보경, "‘낯설게 하기’를 통해 살펴본 ‘뉴트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46) : 1-14, 2021

      28 뉴스IN전북, "2019군산시간여행축제, 전라북도 최우수 축제 선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