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종자산업 현황분석 및 산업연관분석(Input-Output Analysis) 모형을 활용하여 2020년을 기준으로 종자산업이 우리나라 국민경제와 농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13715
2024
-
300
학술저널
141-156(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종자산업 현황분석 및 산업연관분석(Input-Output Analysis) 모형을 활용하여 2020년을 기준으로 종자산업이 우리나라 국민경제와 농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산...
본 연구에서는 종자산업 현황분석 및 산업연관분석(Input-Output Analysis) 모형을 활용하여 2020년을 기준으로 종자산업이 우리나라 국민경제와 농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산업적 위치를 도출하여 정부의 정책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국내 종자산업 시장규모는 ’22년 기준 8,754억 원으로 전세계 종자시장에 차지하는 비중은 1~2% 수준이었다. 종자 판매액은 ’22년 기준 6,757억 원이고 채소 종자가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2,000여개 종자기업 중 매출액 5억 미만의 기업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영세성이 심각하다. 기업당 육종인력은 0.8명이고, 생명공학 인력은 0.2명으로 전문인력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종자기업의 R&D 투자 금액은 2017년 821억 원이었지만 2020년에 695억 원으로 2017년 대비 15.3% 감소하였다.
산업연관분석 결과 국민경제와 농산업에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소득유발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타 산업부문의 종자에 대한 수요가 매우 낮았고, 종자생산을 위해 타 산업을 중간재로 사용하는 순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가치 유발이나 소득유발도 국민경제 34개 부문 중 30위 이하였고, 농산업 14개 부분 중 8위 이하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노동유발계수는 가장 높게 도출되어 매우 노동집약적인 산업이고, 이는 산업현장에 첨단 설비나 시스템 도입 등이 부족하여 노동생산성을 높이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종자산업을 외생화(exogenous)하여 분석한 결과, 종자 1억 생산 시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2억 2,600만원의 생산유발과 9,500만원의 부가가치를 유발하였다. 또한 종자산업에 10억 원 투입 시 타 산업에 약 7.5명의 고용이 유발되었다. 한편 종자산업은 연구개발 투자대비 약 1.6배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업 외국인 근로자 정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총보상이론을 중심으로-
날씨 조건이 맥주 판매에 미치는 영향: 라거와 에일 소비 패턴에 대한 시계열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