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대면 온라인 수업 방식을 적용한 시 창작 교육 수업의 실제 : zoom을 활용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업을 중심으로 = A Case of poetry creation education class applying contactless online class method : Focusing on free semester classes in middle school using Zo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03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의 실시간 화상 강의를 적용한 시 창작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천적 방법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중학교 대상 자유학기제 시 창작 교육에 대한 실제 사례를 ...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의 실시간 화상 강의를 적용한 시 창작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실천적 방법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중학교 대상 자유학기제 시 창작 교육에 대한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학습계획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사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J중학교 1학년 학생 4개의 반 총 99명으로, 주 1회 총 16차시의 자유학기 주제선택 활동으로 시 창작 교육을 시행하였다. 코로나 19사태로 인해 2020년 9월부터 Zoom을 활용한 실시간 화상 강의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줌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채팅창 및 마이크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토의 및 토론, 모둠 시 창작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줌 수업에서 강사는 학습자들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셋째, 줌 수업에서 강사는 정확한 수업 내용의 전달을 위해 학습자들에게 최대한 천천히 수업내용을 설명해야 한다. 넷째, 줌 수업 전에 강사는 데스크탑과 아이패드, 개인 휴대폰 등과 같은 장비에 노이즈가 발생하는지 점검하고 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Zoom을 활용한 실시간 화상 강의 방식에서 시 창작 교육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사는 줌의 화이트보드 공유 및 문서 공유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자와 과제가 수행되는 과정을 함께 공유할 수 있다. 이는 학습자들의 수업 이해도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은 줌의 채팅창을 활용하여 토의 및 토론을 할 수 있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과제해결뿐만 아니라 협동심을 배울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는 친목 교류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셋째, 강사는 동시 카메라의 동시화면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 열성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넷째, 줌 수업 참여의 용이성은 강사와 학습자들에게 수업 환경과 학습 내용을 점검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direction of poetry creation education applying real-time lecturing system in the contactless era, and find out the practical method. To this end, it intends to provide concrete and practical learning plan th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direction of poetry creation education applying real-time lecturing system in the contactless era, and find out the practical method. To this end, it intends to provide concrete and practical learning plan through the actual cases on free semester poetry writing class in middle school. As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case study have been us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otal 99 students from 4 classes in the first grade of J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16 times of poetry creation education held once a week were conducted as free semester theme selection activity. Due to Covid 19 situation, study have been proceed in real time lecturing system by utilizing ‘Zoom’ since September 2020 due to coron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learners can carry out discussion, debate and group poetry creation by utilizing tools such as chatting window and microphone, Second, the lecturer should devise the method that can enhance the concentration of learners in Zoon class. Third, the lecturer should explain the contents of class to learners as slow as possible to deliver the contents accurately. Fourth, before Zoon class, the lecturer should check any noises of devices such as desk top, eye pad and personal cell phone and minimize them.
      The educational effects of poetry creation education in the real-time video lecture method using Zoom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 can share the process of the assignment with the learner by using Zoom's whiteboard sharing and document sharing Second, students can discuss using Zoom's chat window. Students can learn a sense of cooperation as well as problem solving in this way. Furthermore, this can lead to social exchange activities. Third, the instructor can specifically examine the learner's class participation and enthusiasm by using the simultaneous screen of the simultaneous camera. Fourth, the ease of participation in ZOOM classes provides lecturers and learners with a spare time to check the class environment and learning cont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상,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39-57, 2020

      2 정현철, "코로나 19 펜데믹 상황에서 중등학교 온라인 체육수업 사례 및 과제 연구" 학교체육연구소 8 (8): 159-175, 2020

      3 박혜원, "창작 체험의 공유를 통한 시 창작 교육 연구" 아주대학교 2015

      4 최예지,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가정교과 의생활 자유학기제 주제선택활동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2020

      5 장혜진,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인문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7 (37): 261-272, 2019

      6 장다예,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과학교과 운영 형태 및 수업 방법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15

      7 김주원, "중학교 자유학기제에서의 자아정체성 발달을 위한 미술교과 프로그램 사례 연구" 충북대학교 2019

      8 이승복, "중등학교 시교육과 융합교과 연구-자유학기제의 사례로서 통합적 소통의 시교육-"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57) : 193-221, 2018

      9 박주영, "전환기 중학생의 고전시가 다시 쓰기 양상: 자유학기제 수업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23 (23): 377-385, 2019

      10 김경희, "자유학기제 활용 역사교과 중심 창의·융합 교육 연구" 아주대학교 2018

      1 이용상,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39-57, 2020

      2 정현철, "코로나 19 펜데믹 상황에서 중등학교 온라인 체육수업 사례 및 과제 연구" 학교체육연구소 8 (8): 159-175, 2020

      3 박혜원, "창작 체험의 공유를 통한 시 창작 교육 연구" 아주대학교 2015

      4 최예지,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가정교과 의생활 자유학기제 주제선택활동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2020

      5 장혜진,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인문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7 (37): 261-272, 2019

      6 장다예,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과학교과 운영 형태 및 수업 방법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15

      7 김주원, "중학교 자유학기제에서의 자아정체성 발달을 위한 미술교과 프로그램 사례 연구" 충북대학교 2019

      8 이승복, "중등학교 시교육과 융합교과 연구-자유학기제의 사례로서 통합적 소통의 시교육-"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57) : 193-221, 2018

      9 박주영, "전환기 중학생의 고전시가 다시 쓰기 양상: 자유학기제 수업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23 (23): 377-385, 2019

      10 김경희, "자유학기제 활용 역사교과 중심 창의·융합 교육 연구" 아주대학교 2018

      11 서혜승, "자유학기제 주제선택활동을 위한 중국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2019

      12 노윤숙,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한문과 수업연구" 한국한문고전학회 35 (35): 345-378, 2017

      13 김민채, "자유학기제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교육발전연구소 29 (29): 195-216, 2019

      14 전민,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현대시 교육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2018

      15 임종헌,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활동” 운영 사례 분석 : 주제선택 활동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31-60, 2018

      16 공민정, "자유학기 인성 함양 한문 수업 사례 연구" 한국한문교육학회 52 : 115-136, 2019

      17 유진현, "인공지능 시대의 문학교육을 위한 시론(試論)" 한국문학교육학회 (68) : 119-153, 2020

      18 조연아, "은유의 치유적 특성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법 연구" 부경대학교 2018

      19 김현주, "외국인 학부생의 비대면 한국어 수업 경험에 대한 탐색: 줌(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679-1692, 2020

      20 박부경, "온라인 피아노 레슨의 환경과 교수방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연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1 (21): 121-152, 2020

      21 정현숙, "영상시 제작 수업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26 : 149-187, 2017

      22 이후석, "언어경험접근법 활용 장애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연세대학교 2019

      23 이해영, "실시간 다대면 온라인 한국어 강의에서 모국어 사용 여부와 숙달도에 따른 차이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 수업만족도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129-149, 2020

      24 허란, "시 창작을 통한 문학 생활화 교육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20

      25 임영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중학교 자유학기제용 DT-STEAM 프로그램 개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429-440, 2018

      26 윤도이, "수목원·식물원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 적용 및 분석 - 국립수목원 ‘1일 숲해설가 되어보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4 (24): 41-52, 2020

      27 박치완, "세대론의 르네상스와 ‘디지털 원주민 세대’의 이해"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16) : 7-43, 2019

      28 최원호,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1 (1): 1-28, 2020

      29 신혜원, "반성적 사고와 내러티브의구성주의적 관련성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181-202, 2017

      30 조가영, "미디어와 결합된 융·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젓학교 자유학기제 연계" 한국문화교육학회 15 (15): 75-94, 2020

      31 강호정, "문화콘텐츠로서의 랩의 시창작 교육 활용 가능성 연구-화자와 운율의 효과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3) : 189-220, 2019

      32 박치완, "문화콘텐츠기획과 세대론" 인문콘텐츠학회 (53) : 9-32, 2019

      33 김영선, "문학 텍스트를 통한 국어과 인성교육 프로젝트 수업 모형 개발 연구" 경기대학교 2016

      34 김수현,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교수·학습모형 방안 : 중학교 교과서에 수록 된 시 작품 지도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5 지세나, "매체와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활동 중심 시 교육 연구" 연세대학교 2016

      36 김귀정, "랩(Rap)을 활용한 시 창작 수업 설계 연구" 동국대학교 2019

      37 김지영,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4 (4): 95-104, 2019

      38 천경록, "국어교육 철학의 흐름과 미래 전망" 국어교육학회 54 (54): 179-209, 2019

      39 정지용, "국어·음악 융합 교육을 통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2018

      40 백혜선, "국어 교과서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발표하기’ 단원의 매체 및 복합양식성 교육 내용 분석" 청람어문교육학회 (61) : 181-211, 2017

      41 한상길, "구글 행아웃을 이용하여 원격 화상회의로 진행한 응급의학과 전공의 교육 경험" 대한응급의학회 30 (30): 224-231, 2019

      42 하명정, "구글 미트와 연동한 구글 클래스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223-252, 2020

      43 신봉호, "교육철학 및 교육사" 정민사 2017

      44 "교육부 홈페이지"

      45 윤서진, "각색 활동을 통한 시창작 수업모형 연구" 연세대학교 2016

      46 이효진, "‘빛과 소리’교육을 위한 과학·공학 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211-224,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