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도인의 삶을 통해본 한국근 현대사 = Modern History of Korea in View of Judo 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474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minutely how Judo men lived as an athlete i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regimes by looking through their individual lives.
      This study shows what consciousness and contribution Judo men have formed living in the regimes, after looking at Korea's recent and contemporary athletic history though a life of a Judo family.
      Interviews about their lives, participant observations, interviews using pictures, apparatus criticus, various personal histories were collected, analyzed and interpreted in terms of contextualized categories.
      First, to live as a Judo man was not free from discrimination, oppression and inequality from Japanese rulers.
      To these men, who were practicing Judo in a colonial education system of 1940 being dominated by militarism, unhappiness was an expected thing.
      After Korea regained independence in 1945, the government destroyed these men's family.
      He participated in subjugation of red guerrillas in Jili mountain and made a considerable achievement. He got a Hwa lang Order of Military Merit for it later, but he couldn't have restored the spiritual wounds from Korean war.
      He must have played a great role from 1939 to 1960s as a Judo athlete in Gangwon province and of police.
      He also became a sufferer between the boundary of police Judo and private Judo.
      After all, he couldn't be a Judo man as he had dreamt.
      Infelicity of Korean r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 might disregard a person's life
      On the other hand, a chronology of police Judo could be newly made using Cho je-guk's pictures and related materials - competition materials, personal life materials, documentary records and interviews - about police Judo and private Judo from 1947 to 1950, right after Korean war.
      Second, in a macroscopic perspective, Cho je-guk's activities were made because those were in accordance with policies of the third republic of Korea.
      Educational policies of the third republic based on ruling principles invoked from the May 16 military coup in 1961.
      The father's life in r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 have collided with himself in inconsistency of Korean regimes after the colonial period. His son also became a Judo man but sometimes the father restricted his son to do it. This shows that it was partly from interventions and participations of national system.
      The progress of transfer from a father to his son formed a consistent rhythm chained with social structure and meaning of life history related by Cho je-guk's identity from his activities in the late 1970s.
      This affected his son as absolute power. After becoming a normal father, Cho je-guk started a new Judo life as instructor of his son.
      Third, the Judo which has started in his life by his father led him to middle school as the selected student of sports and continued till his highschool and started to refract during highschool.
      The refract was caused by the microscopic perspective ideology which arouse from the consanguinity not by the macroscopic perspective ideology his father had gone through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The basic reason of this comes from the necessary intervention of contradicted nations education system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Forth, activities which were related with Judo were identified positively in his life. But during his school days, memory of Judo was regarded negativel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father by the failure to higher level of education as the selected student of the sports. But in the reality reperception of the domain of Judo arouse as well as the retroaction of the new challenge of Judo.
      The contemporary process and system of Judo men which has transisted from his father was the fact of his life. This is again expressed as the reversing procession in reality. Here, the 'new challenge' means the retroaction of the domain of Judo. From Min-joong's words, we can contract the old problems of the Korean Judo.
      First, an particular school oriented and unified identity by sticking to regionalism.
      Second, academical persons, players, and administration are isolated each other due to the lack of human infra
      Third, a lack of intention and will to change the wrong concept the actual result of play is the development of Judo.
      Fourth, the problem of administration that is oriented to the only conservative concepts which ignored the reality of Judo a lack of living physical exercises and the layer of elite players.
      These general problems caused the backward step in study and this is the reason why the studies of Judo were not developed.
      Min-joong's ego that was shown through his life is reflected on his father's mirror, who was a Judo man.
      As the challenge to the Judo World, the procedure of re-identifying is the human's inner act, that is, he tried to be a Judo man through his consciousness flow.
      If we just try to consider their statement as a old history thing, we are not able to get anything from this study.
      Because the life of father and his son as a police officer life in Japan's colonial rule is very universal and the history can reappear.
      It's not common relationship between Judo man father and son, which is complicated as well as basic like every human history.
      However the age and its history can be influenced by how to form that relationship.
      If son can succeed to father's meaningful role and activities, they will become sports history even if they are called with the different names.
      In Min-Joong's life, to protect his father as a being of absolute virtue is not always true when an absolute power as an expression of passive counter memory compares with it.
      Finally, Min-Joong as the father's son, has to find a way to be a genuine judo man in the history and the life of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minutely how Judo men lived as an athlete i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regimes by looking through their individual lives. This study shows what consciousness and contribution Judo men have formed living in the reg...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minutely how Judo men lived as an athlete i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regimes by looking through their individual lives.
      This study shows what consciousness and contribution Judo men have formed living in the regimes, after looking at Korea's recent and contemporary athletic history though a life of a Judo family.
      Interviews about their lives, participant observations, interviews using pictures, apparatus criticus, various personal histories were collected, analyzed and interpreted in terms of contextualized categories.
      First, to live as a Judo man was not free from discrimination, oppression and inequality from Japanese rulers.
      To these men, who were practicing Judo in a colonial education system of 1940 being dominated by militarism, unhappiness was an expected thing.
      After Korea regained independence in 1945, the government destroyed these men's family.
      He participated in subjugation of red guerrillas in Jili mountain and made a considerable achievement. He got a Hwa lang Order of Military Merit for it later, but he couldn't have restored the spiritual wounds from Korean war.
      He must have played a great role from 1939 to 1960s as a Judo athlete in Gangwon province and of police.
      He also became a sufferer between the boundary of police Judo and private Judo.
      After all, he couldn't be a Judo man as he had dreamt.
      Infelicity of Korean r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 might disregard a person's life
      On the other hand, a chronology of police Judo could be newly made using Cho je-guk's pictures and related materials - competition materials, personal life materials, documentary records and interviews - about police Judo and private Judo from 1947 to 1950, right after Korean war.
      Second, in a macroscopic perspective, Cho je-guk's activities were made because those were in accordance with policies of the third republic of Korea.
      Educational policies of the third republic based on ruling principles invoked from the May 16 military coup in 1961.
      The father's life in r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 have collided with himself in inconsistency of Korean regimes after the colonial period. His son also became a Judo man but sometimes the father restricted his son to do it. This shows that it was partly from interventions and participations of national system.
      The progress of transfer from a father to his son formed a consistent rhythm chained with social structure and meaning of life history related by Cho je-guk's identity from his activities in the late 1970s.
      This affected his son as absolute power. After becoming a normal father, Cho je-guk started a new Judo life as instructor of his son.
      Third, the Judo which has started in his life by his father led him to middle school as the selected student of sports and continued till his highschool and started to refract during highschool.
      The refract was caused by the microscopic perspective ideology which arouse from the consanguinity not by the macroscopic perspective ideology his father had gone through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The basic reason of this comes from the necessary intervention of contradicted nations education system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 Forth, activities which were related with Judo were identified positively in his life. But during his school days, memory of Judo was regarded negativel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father by the failure to higher level of education as the selected student of the sports. But in the reality reperception of the domain of Judo arouse as well as the retroaction of the new challenge of Judo.
      The contemporary process and system of Judo men which has transisted from his father was the fact of his life. This is again expressed as the reversing procession in reality. Here, the 'new challenge' means the retroaction of the domain of Judo. From Min-joong's words, we can contract the old problems of the Korean Judo.
      First, an particular school oriented and unified identity by sticking to regionalism.
      Second, academical persons, players, and administration are isolated each other due to the lack of human infra
      Third, a lack of intention and will to change the wrong concept the actual result of play is the development of Judo.
      Fourth, the problem of administration that is oriented to the only conservative concepts which ignored the reality of Judo a lack of living physical exercises and the layer of elite players.
      These general problems caused the backward step in study and this is the reason why the studies of Judo were not developed.
      Min-joong's ego that was shown through his life is reflected on his father's mirror, who was a Judo man.
      As the challenge to the Judo World, the procedure of re-identifying is the human's inner act, that is, he tried to be a Judo man through his consciousness flow.
      If we just try to consider their statement as a old history thing, we are not able to get anything from this study.
      Because the life of father and his son as a police officer life in Japan's colonial rule is very universal and the history can reappear.
      It's not common relationship between Judo man father and son, which is complicated as well as basic like every human history.
      However the age and its history can be influenced by how to form that relationship.
      If son can succeed to father's meaningful role and activities, they will become sports history even if they are called with the different names.
      In Min-Joong's life, to protect his father as a being of absolute virtue is not always true when an absolute power as an expression of passive counter memory compares with it.
      Finally, Min-Joong as the father's son, has to find a way to be a genuine judo man in the history and the life of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柔道人의 삶을 통해 본 한국 근현대사
      김 명 권
      강원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과
      본 연구는 체육인의 삶을 연구하기 위해 구술사 방법을 활용하여 유도인의 삶에 나타난 근현대(광복전·후)의 제도와 사회적 규범 속에서 어떻게 체육인으로 살아 왔는지를 개인에 주목하여 세밀하게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체육인의 삶 속에서 유도인 아버지와 아들을 통해 한국의 근현대 체육사의 단면을 살펴 본 후, 제도권 내에서 생활하고 그 속에서 형성된 의식과 기여도는 어떠한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생애사면담, 관찰자로서의 참여관찰, 사진유도면담, 문헌자료, 각종개인사 자료를 수집하여, 전사한 후, 맥락에 따라 영역별분류분석을 통하여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도인으로서의 삶은, 식민지 조선인으로서 차별과 억압, 불평등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학창시절 군국주의로 치닫는 1940년대 일제의 교육제도 안에서 유도를 하게 됨으로써 불행은 예고되어 있었다. 광복 후 1945년 분단된 조국은 참여자의 가정을 파멸시켰다. 그가 부모님과 자신을 위한 복수라는 명분으로 경찰에 투신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게 된다. 경찰로서 지리산 공비 토벌에 참전하여 괄목할만한 전과를 올리고, 화랑무공훈장까지 수여 받지만, 그는 후일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지 못한 채 회한의 세월을 보내야했다. 참여자는 1939년부터 1960년대까지 강원유도와 경찰유도 선수로서, 행정가로서 효시적인 역할을 한 사실이 분명하다. 그는 광복 후, 경찰유도와 민간유도의 경계에서 또 다른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었다. 결국 그가 꿈꾸었던 진정한 유도인으로 거듭날 수는 없었다. 그 원인은 한국사회의 근현대의 압축적인 불행한 역사가 한 개인의 삶을 주변화 하였다고 할 수 있다.
      1947년부터 1950년 한국전쟁 직후까지 경찰무도와 유도종목에서 당시 조제국의 사진자료, 대회 관련물, 개인사자료, 문헌 및 구술증언을 통하여 경찰유도의 역사적인 연표를 새롭게 확인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둘째, 거시적 관점에서 조제국의 활동은 당시 학교체육활성화라는 제3공화국의 정책과 맞물려있었기에 가능할 수 있었다. 제3공화국의 교육정책을 살펴보면 5.16 군사혁명에서 내세운 지배이념을 바탕으로 하였다.
      근현대에 활동한 아버지의 삶은 일제강점기를 기점으로 한 국가제도의 모순 속에서 그 자신과 끊임없이 충돌하였고, 부자유친(父子有親)속에 시작된 유도는 한 시절 그 아들을 속박(束縛)하는 형태로 출현한다. 이는 국가제도의 개입과 관여정도가 내포된 것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진 스포츠 전이과정은 1970년대 후반 조제국의 활동에서 그 아들의 정체성과 관련된 생활사적 의미와 사회적 구조와 연계되어 일관된 리듬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그 아들에게 절대적 권력으로서 영향을 미친 것이다. 조제국은 평범한 아버지로 회기한 후, 혈연적 상호관계를 넘어 스승과 제자로서 지역사회를 거점으로 새로운 유도인의 삶을 시작했다. 전이과정 속에서 아들 민중은 국가제도의 개입과 유도선수출신 아버지를 통해 힘든 생애과정으로 표출된 것이다.
      셋째, 민중의 삶에서 아버지에 의해 시작된 유도는 체육특기자로 중학교에 입학한 이후, 고교시절까지 유도를 지속하면서 굴절되기 시작한다.
      일제강점기 아버지가 체험한 거시적 차원의 제도나 대립을 통한 이데올로기의 문제가 아닌 혈연적인 관계에서 나타난 미시적 차원의 이데올로기가 작동되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근원적 원인에는 한국의 근대화과정에서 나타난 모순된 국가교육제도의 필연적 개입에서 비롯된 상황이었다.
      넷째, 민중의 삶에서 유도와 관련한 활동은 긍정적으로 동일시하고 있다. 그러나 학창시절 유도에 대한 기억은 체육특기자로, 진학이 무산되면서, 아버지와의 관계 등을 반동일시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 속에서 유도계에 대한 문제를 재인식하면서 새로운 도전으로서 역동일시하기에 이른다.
      아버지로부터 전이된 유도인의 삶에 나타난 근현대의 과정과 제도는 아들의 삶에서 피할 수 없었던 현실이었으며, 이는 다시 현실 속에서 역동일시 하는 과정으로 표출된다. 여기서 ‘새로운 도전’이란 기존 유도계를 역동일시 하는 과정으로서 민중의 구술을 통하여 한국 유도계의 뿌리내린 전통적인 문제점을 다음과 축약할 수 있다.
      첫째, 학연, 지연이 연결된 특정학교 중심체제에서 비롯된 획일화된 정체성의 문제점, 둘째, 인적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한 학자층, 선수층, 행정력 등이 고립된 문화, 셋째, 경기실적=유도 발전이라는 그릇된 도식을 우선한 체제개선 의지의 결여, 넷째, 무도계의 현재성을 부정하는 행정체계로서 전통적 개념만을 중시한 생활체육 연계마련의 부족, 즉 엘리트스포츠 선수층 확보 및 충원부족의 원인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총체적인 문제들은 크게는 학문적 퇴보로 이어졌으며 이는 여타 무도의 학문적 발전을 앞서가지 못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아들의 삶에 비추어진 정체성형성 과정에 나타난 민중의 자아는 유도인 아버지의 거울에 비추어져 형성되었다. 유도계에 대한 도전으로 역동일시 하는 과정은 인간의 내재적 행위, 즉 의식의 흐름만은 유도인으로 거듭나고자 한 것이다.
      결국 동질적인 아버지와 아들의 구술사를 과거의 것으로만 돌린다면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말하고자하는 역사에서 그 어떤 것도 얻을 수 없다. 이는 일제강점기 아버지로부터 시작된 경찰유도 활동과 그 아들인 민중의 삶이 시대와 장소를 넘어 보편적인 면이 있기에 더욱 그렇고 지난 과거의 일도 현실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삶 속에서 인간사의 단면이 어느 경우이건 그렇겠지만 유도인 아버지와 아들처럼 기본적이면서도 복잡한 관계는 흔치 않다. 그러나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그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느냐에 따라 시대와 역사의 방향도 극복될 수 있다.
      아버지의 의미 있는 역할과 활동을 올바로 이어받아 계승시킬 수 있다면 아버지와 아들은 한 남자로서, 그 생애에서 주어지는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려진다 할지라도 스포츠 역사로서 기억될 수 있는 것이다.
      민중의 삶에서 소극적 대항기억으로 표출한 절대 권력인 국가와 대비하여 본 아버지를 절대선의 존재처럼 옹호하는 것이 반드시 옳다고는 할 수 없다. 결국 아버지의 아들 민중은 미래의 삶과 역사 속에서 진정 유도인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있어야만 한다.
      번역하기

      柔道人의 삶을 통해 본 한국 근현대사 김 명 권 강원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과 본 연구는 체육인의 삶을 연구하기 위해 구술사 방법을 활용하여 유도인의 삶에 나타난 근현대(광복전·�...

      柔道人의 삶을 통해 본 한국 근현대사
      김 명 권
      강원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과
      본 연구는 체육인의 삶을 연구하기 위해 구술사 방법을 활용하여 유도인의 삶에 나타난 근현대(광복전·후)의 제도와 사회적 규범 속에서 어떻게 체육인으로 살아 왔는지를 개인에 주목하여 세밀하게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체육인의 삶 속에서 유도인 아버지와 아들을 통해 한국의 근현대 체육사의 단면을 살펴 본 후, 제도권 내에서 생활하고 그 속에서 형성된 의식과 기여도는 어떠한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생애사면담, 관찰자로서의 참여관찰, 사진유도면담, 문헌자료, 각종개인사 자료를 수집하여, 전사한 후, 맥락에 따라 영역별분류분석을 통하여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도인으로서의 삶은, 식민지 조선인으로서 차별과 억압, 불평등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학창시절 군국주의로 치닫는 1940년대 일제의 교육제도 안에서 유도를 하게 됨으로써 불행은 예고되어 있었다. 광복 후 1945년 분단된 조국은 참여자의 가정을 파멸시켰다. 그가 부모님과 자신을 위한 복수라는 명분으로 경찰에 투신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게 된다. 경찰로서 지리산 공비 토벌에 참전하여 괄목할만한 전과를 올리고, 화랑무공훈장까지 수여 받지만, 그는 후일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지 못한 채 회한의 세월을 보내야했다. 참여자는 1939년부터 1960년대까지 강원유도와 경찰유도 선수로서, 행정가로서 효시적인 역할을 한 사실이 분명하다. 그는 광복 후, 경찰유도와 민간유도의 경계에서 또 다른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었다. 결국 그가 꿈꾸었던 진정한 유도인으로 거듭날 수는 없었다. 그 원인은 한국사회의 근현대의 압축적인 불행한 역사가 한 개인의 삶을 주변화 하였다고 할 수 있다.
      1947년부터 1950년 한국전쟁 직후까지 경찰무도와 유도종목에서 당시 조제국의 사진자료, 대회 관련물, 개인사자료, 문헌 및 구술증언을 통하여 경찰유도의 역사적인 연표를 새롭게 확인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둘째, 거시적 관점에서 조제국의 활동은 당시 학교체육활성화라는 제3공화국의 정책과 맞물려있었기에 가능할 수 있었다. 제3공화국의 교육정책을 살펴보면 5.16 군사혁명에서 내세운 지배이념을 바탕으로 하였다.
      근현대에 활동한 아버지의 삶은 일제강점기를 기점으로 한 국가제도의 모순 속에서 그 자신과 끊임없이 충돌하였고, 부자유친(父子有親)속에 시작된 유도는 한 시절 그 아들을 속박(束縛)하는 형태로 출현한다. 이는 국가제도의 개입과 관여정도가 내포된 것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진 스포츠 전이과정은 1970년대 후반 조제국의 활동에서 그 아들의 정체성과 관련된 생활사적 의미와 사회적 구조와 연계되어 일관된 리듬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그 아들에게 절대적 권력으로서 영향을 미친 것이다. 조제국은 평범한 아버지로 회기한 후, 혈연적 상호관계를 넘어 스승과 제자로서 지역사회를 거점으로 새로운 유도인의 삶을 시작했다. 전이과정 속에서 아들 민중은 국가제도의 개입과 유도선수출신 아버지를 통해 힘든 생애과정으로 표출된 것이다.
      셋째, 민중의 삶에서 아버지에 의해 시작된 유도는 체육특기자로 중학교에 입학한 이후, 고교시절까지 유도를 지속하면서 굴절되기 시작한다.
      일제강점기 아버지가 체험한 거시적 차원의 제도나 대립을 통한 이데올로기의 문제가 아닌 혈연적인 관계에서 나타난 미시적 차원의 이데올로기가 작동되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근원적 원인에는 한국의 근대화과정에서 나타난 모순된 국가교육제도의 필연적 개입에서 비롯된 상황이었다.
      넷째, 민중의 삶에서 유도와 관련한 활동은 긍정적으로 동일시하고 있다. 그러나 학창시절 유도에 대한 기억은 체육특기자로, 진학이 무산되면서, 아버지와의 관계 등을 반동일시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 속에서 유도계에 대한 문제를 재인식하면서 새로운 도전으로서 역동일시하기에 이른다.
      아버지로부터 전이된 유도인의 삶에 나타난 근현대의 과정과 제도는 아들의 삶에서 피할 수 없었던 현실이었으며, 이는 다시 현실 속에서 역동일시 하는 과정으로 표출된다. 여기서 ‘새로운 도전’이란 기존 유도계를 역동일시 하는 과정으로서 민중의 구술을 통하여 한국 유도계의 뿌리내린 전통적인 문제점을 다음과 축약할 수 있다.
      첫째, 학연, 지연이 연결된 특정학교 중심체제에서 비롯된 획일화된 정체성의 문제점, 둘째, 인적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한 학자층, 선수층, 행정력 등이 고립된 문화, 셋째, 경기실적=유도 발전이라는 그릇된 도식을 우선한 체제개선 의지의 결여, 넷째, 무도계의 현재성을 부정하는 행정체계로서 전통적 개념만을 중시한 생활체육 연계마련의 부족, 즉 엘리트스포츠 선수층 확보 및 충원부족의 원인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총체적인 문제들은 크게는 학문적 퇴보로 이어졌으며 이는 여타 무도의 학문적 발전을 앞서가지 못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아들의 삶에 비추어진 정체성형성 과정에 나타난 민중의 자아는 유도인 아버지의 거울에 비추어져 형성되었다. 유도계에 대한 도전으로 역동일시 하는 과정은 인간의 내재적 행위, 즉 의식의 흐름만은 유도인으로 거듭나고자 한 것이다.
      결국 동질적인 아버지와 아들의 구술사를 과거의 것으로만 돌린다면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말하고자하는 역사에서 그 어떤 것도 얻을 수 없다. 이는 일제강점기 아버지로부터 시작된 경찰유도 활동과 그 아들인 민중의 삶이 시대와 장소를 넘어 보편적인 면이 있기에 더욱 그렇고 지난 과거의 일도 현실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삶 속에서 인간사의 단면이 어느 경우이건 그렇겠지만 유도인 아버지와 아들처럼 기본적이면서도 복잡한 관계는 흔치 않다. 그러나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그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느냐에 따라 시대와 역사의 방향도 극복될 수 있다.
      아버지의 의미 있는 역할과 활동을 올바로 이어받아 계승시킬 수 있다면 아버지와 아들은 한 남자로서, 그 생애에서 주어지는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려진다 할지라도 스포츠 역사로서 기억될 수 있는 것이다.
      민중의 삶에서 소극적 대항기억으로 표출한 절대 권력인 국가와 대비하여 본 아버지를 절대선의 존재처럼 옹호하는 것이 반드시 옳다고는 할 수 없다. 결국 아버지의 아들 민중은 미래의 삶과 역사 속에서 진정 유도인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있어야만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8
      • 3. 연구문제 = 9
      • 4. 연구의 한계 = 10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8
      • 3. 연구문제 = 9
      • 4. 연구의 한계 = 10
      • 5. 용어의 정의 = 11
      • Ⅱ. 이론적 배경 = 13
      • 1. 체육인 구술사연구의 의의 = 13
      • 2. 구술사 연구동향 = 18
      • 1) 체육사 연구방법으로서 구술사의 적용과 의미 = 20
      • 2) 체육구술사의 위치 = 26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8
      • 1. 연구방법 = 28
      • 2. 참여자의 선정 및 과정 = 29
      • 3. 자료수집 방법 = 33
      • 1)생애사 면담(lifehistoryinterview) = 34
      • 2)관찰자로서 참여관찰(participantobservation) = 40
      • 3)사진면담(PhotoElicitationinterview) = 41
      • 4) 관련 자료의 수집 = 47
      • 4. 자료처리 = 47
      • 1)전사(傳寫) = 47
      • 2) 주제별 약호화 = 48
      • 5. 자료 분석 = 48
      • 1) 자료분석 방법 = 49
      • 6. 자료의 진실성 확보 = 51
      • 1) 구성원간 검토 = 51
      • 2) 전문가간 협의 = 52
      • 3) 삼각 검증법 = 52
      • 4) 자료의 윤리성 = 53
      • Ⅳ. 근현대에 활동한 柔道人의 삶과 역사이해 = 55
      • 1. 경찰관 유도대회의 역사적 배경 = 56
      • 2. 유년시절 기억과 유도 = 59
      • 1) 소년기의 구술 = 61
      • 2) 청년기의 구술 = 62
      • 3. 분단된 조국의 기억과 유도 = 65
      • 4. 경찰 유도 활동과 그 한계성 = 69
      • Ⅴ. 柔道人 그 아버지의 아들 = 80
      • 1. 유도 그 불가분의 관계 = 80
      • 2. 유도 보급과 그 활동 = 84
      • 3. 대항기억: 나는 유도 왜 하는가 = 89
      • 4. 유도 왜 하는가? 민중이 다시 말하다 = 100
      • 1) 중층적 과정: 동일시와 반동일시 과정 = 100
      • 5. 새로운 도전 = 102
      • 1) 역동일시 과정: 도유도회 실무자로서 = 102
      • Ⅵ. 결론 및 제언 = 106
      • 참고문헌 = 121
      • [부록] = 128
      • Abstract = 1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