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에 성폭력을 경험하고 그 사실을 폭로하지 못한 상태로 성인이 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아동기 성폭력의 비폭로 요인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44664
천안 :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특수심리치료 , 2016. 2
2016
한국어
충청남도
26 cm
지도교수: 김태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에 성폭력을 경험하고 그 사실을 폭로하지 못한 상태로 성인이 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아동기 성폭력의 비폭로 요인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국문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에 성폭력을 경험하고 그 사실을 폭로하지 못한 상태로 성인이 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아동기 성폭력의 비폭로 요인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만13세 이전에 접촉성 성폭력을 경험하고 성인이 될 때까지 그 사실을 폭로하지 않은 성인 여성 4명을 심층 면담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질적 사례분석 결과, 성폭력 피해를 입은 아동이 폭로를 어렵게 하는 요인을 개인내적, 관계적, 그리고 사회적 요인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범주인 개인내적 요인에는 발생 당시의 인지 발달적 제한, 내재된 자기비난, 자기보호 메커니즘이 포함되었다. 아동의 인지적 제한은 아동의 사건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함으로써 폭로를 어렵게 하였다. 나이들 때까지 성폭력이 반복된 경우 뒤늦게나마 자신에게 일어난 일이 무엇인지를 인식할 수 있었는데, 사건에 자신이 너무 깊숙이 연루된 상태이므로 폭로해도 사람들이 자신을 믿어주지 않고 비난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폭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된 자기 비난은 사건이 자기 탓이라고 생각하게 만듦으로써 죄책감과 수치심, 부끄러움 등을 유발하였다. 또한 성폭력이 반복될 경우 아동은 자신에게 성적인 아이라는 꼬리표를 붙인 뒤 성폭력을 즐긴 것은 아닌지 혹은 자신이 가해자를 유혹한 것은 아닌지 혼란스러워하였으며 이것이 폭로를 어렵게 하였다. 그러면서 기억을 축소시키거나 회피하였고 마치 일어나지 않은 일처럼 기억을 억압하는 경향이 생겼고, 이 역시 폭로를 어렵게 만들었다.
두 번째 범주인 관계적 요인에는 가족 내 어려움, 보호자 태도, 폭로 시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 네트워크 부족이 포함되었다. 사건 이전부터 가족 내 어려움이 존재하는 경우 아동은 가족 해체에 대한 두려움을 지니고 있었으며, 사건 후 자신의 성폭력이 알려지면 진짜로 가족이 해체될 것이라는 두려움을 가짐으로써 폭로를 어렵게 하였다. 특히, 보호자의 태도가 비지지적이고 비양육적일 때 아동은 가족의 해체뿐 아니라 폭로로 인한 비난과 처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폭로를 어려워하였다. 가해자가 친족인 경우 자신의 폭로로 인해 가해자가 가족 내에서 배척되어 더욱 부적응해질 것에 대한 염려를 가짐으로써 폭로의 어려움이 가중 되었다. 가족 뿐 아니라 세상 사람들의 비난에 대한 두려움도 상당해서, 자신의 성폭력 피해가 세상에 알려지면 사람들로부터 배척되고 비난받을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며, 이것이 아동을 관계에서 위축되도록 만들었다.
세 번째 범주인 사회적 요인에는 사회적 통념과 매체가 포함되었다. 아동은 사회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들로 자신의 사건을 해석함으로써 폭로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게 되었다. 아동은 자신이 더 이상 순결하지 않고 더렵혀졌다고 생각하였으며 사건 당시 자신이 노력했다면 피해를 면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자신이 그러한 노력하지 않았다는 것을 자신도 성폭력을 원했다는 증거로 해서하였다. 언론매체를 통해 성에 대한 잘못된 가치관이 보도되고 성폭력을 폭로한 뒤에 피해자가 감당해야할 다양한 어려움들이 폭넓게 보도됨으로써 아동이 폭로의 결과에 대한 두려움을 키웠고, 결국 폭로하지 못하게 되었기도 하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과 대동소이 했으나, 다른 나라보다 가족 내 어려움과 보호자 요인이 비폭로에 미치는 영향력이 훨씬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혈연 중심적 문화적 특성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성폭력 피해아동의 폭로율이 낮은 이유와 지연된 폭로의 원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중요한 기본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