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白頭山定界碑 設置의 숨겨진 實相 = Concealed Truth of the Boundary Monument at Mount Baekd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540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oundary monument at Mount Baekdu, which was erected by Mok Kuk Dong(穆克登) under the edict of the Kangxi Emperor in 1712, failed to serve as a border. Rather, as many Koreans immigrated to areas near the Amnok and Duman Rivers by the end of t...

      The boundary monument at Mount Baekdu, which was erected by Mok Kuk Dong(穆克登) under the edict of the Kangxi Emperor in 1712, failed to serve as a border. Rather, as many Koreans immigrated to areas near the Amnok and Duman Rivers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Joseon dynasty dispatched its officials, Sang-mu Seo and Beom-yun Lee, in order to protect Korean immigrants. Further, Jean-Baptiste Régis, a French missionary, said in his memoir, … to the East of this City [Fong hoang tching] is the Western Boundary of Corea under the now reigning Family. This border line is called Regis’s Line, to the north of which is situatedthe uninhabited region, the neutral area between the Qing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The Mount Baekdu surveys of the Qing dynasty started from Huanren(桓仁) and Tonghua(通化) regions in the first place by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he mountain Manchurians called Mount Changbai, or Jangbaek, is referred to as Jilin Hada Ridge in the upper area of Huifa He(輝勃河). This is evidenced by western ancient maps where Huifa He is written as Tumen He. The Tongga River, or the Hon River, which is the main stream of the Amnok River, flows across the Huanren region and beyond mountains Huifa He joinsthe Songhua River. Therefore, Manchurians forcedand intimidated the then representatives of the Joseon dynasty, Gown Park and Seon-bu Lee, into building the boundary monument at Mount Baekdu, although it was supposed to be erected in Jilin HadaRidge, andfurther started to call Wudaobai He(五道白河) the Tomun River.
      In western ancient maps, the border line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is not the Amnok and Duman Rivers line, but other three lines, i.e. Regis’s Line D’Anville’s Line and Bonne’s Line. Eventually, Manchurians, who became fully acquainted with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Mount Baekdu and the Huanren and Tonghua regions after several rounds of surveys, deceived Joseon officials with no geographical knowledge of such areas into agreeing with the erection of the boundary monument at Mount Baekdu. During the Japanese rule, Imperial Japan and Qing China executed the Gando Convention in 1909, which determined that the Korea-China border line was the Amnok and Duman Rivers line. Since the Gando Convention is an invalid treaty by international laws, that decision is wrongful and ineffective. Nevertheless, the Korean government has not claimed the non-effectiveness of the Gando Convention. As a result, even as more than 70 years has passed after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colonialism, China still illegally occupies the Gando area, the territory of Korea, due to the incompetence of Korean government offic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712년 목극등이 세운 백두산정계비는 국경비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19세기 말부터 이주한 간도 한인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서상무, 이범윤을 관리사를 파견하였다. 심지어 ...

      1712년 목극등이 세운 백두산정계비는 국경비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19세기 말부터 이주한 간도 한인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서상무, 이범윤을 관리사를 파견하였다. 심지어 레지(Regis)의 비망록에도 “봉황성의 동쪽에 조선국의 국경선이 있다”고 하였다. 17세기 말에 시작한 청의 백두산 일대 탐사는 처음부터 삼도구 지역인 환인~통화 일대에서 시작하였다. 청인들이 장백산이라는 부르는 산은 휘발하 상류의 계림합달령이다. 왜냐하면 휘발하를 서양 고지도에 ‘토문하’로 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환인에는 압록강의 주류인 동가강이, 산 너며 휘발하는 송화강으로 흐른다. 따라서 그들은 계림합달령에 세워야 할 비를 조선의 대표인 박권·이선부를 강박하여 계림합달령과 비슷한 백두산에 세우고, 오도백하를 ‘토문강’으로 개칭하였다. 서양 고지도에는 조선의 국경선을 레지선, 당빌선, 본느선으로 세 종류로 구분하여 그려져 있다. 결국 당시 백두산과 삼도구 일대의 수차례 답사를 통해 지세를 익힌 그들은 영토 확장을 위해 지리정보에 어두운 조선의 관리들을 속여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이미 청의 강희제는 정계비 설치를 위해 성경지도 등을 변조하였으며, 심지어 서양신부들이 측량하여 만든 황여전람도마저 변조하였다. 결국 1909년 간도협약으로 인해 한 중의 국경선은 압록강~두만강선으로 결정되어 지금까지 표기되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결정이었다. 간도협약이 국제법상 무효조약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는 간도협약의 무효를 주장하지 않았다. 그 결과 광복 후 70년이 지나도록 중국이 간도지역을 불법점유한 상태다. 이는 우리 정부의 역대 위정자들의 무능으로 인해 초래한 결과이지만 애초 강희제의 영토 확장 전략으로 세운 백두산정계비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중립지대의 형성
      • Ⅲ. 백두산정계비의 “西爲鴨綠 東爲土門”의 분석
      • Ⅳ. 백두산과 장백산의 위치 변화 분석과 강희제의 지도 변조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중립지대의 형성
      • Ⅲ. 백두산정계비의 “西爲鴨綠 東爲土門”의 분석
      • Ⅳ. 백두산과 장백산의 위치 변화 분석과 강희제의 지도 변조
      • Ⅴ. 결론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畢恭, "遼海叢書(二集)" 右文閣 1934

      2 방동인, "한국의 지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6

      3 이한기, "한국의 영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9

      4 양태진, "한국의 국경연구" 동화출판공사 1981

      5 노계현, "한국외교사연구" 갑인출판사 1983

      6 노계현, "한국외교사론" 대왕사 1984

      7 한국도서관학연구회, "한국고지도"

      8 양태진, "한국 변경사연구" 법경출판사 1989

      9 소일산, "청대통사(상)" 중화서국 1986

      10 장옥흥, "청대적변강정책" 사회과학출판사 1994

      1 畢恭, "遼海叢書(二集)" 右文閣 1934

      2 방동인, "한국의 지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6

      3 이한기, "한국의 영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9

      4 양태진, "한국의 국경연구" 동화출판공사 1981

      5 노계현, "한국외교사연구" 갑인출판사 1983

      6 노계현, "한국외교사론" 대왕사 1984

      7 한국도서관학연구회, "한국고지도"

      8 양태진, "한국 변경사연구" 법경출판사 1989

      9 소일산, "청대통사(상)" 중화서국 1986

      10 장옥흥, "청대적변강정책" 사회과학출판사 1994

      11 양소전, "중조변계사" 길림문사출판사 1993

      12 양소전, "중조관계사논문집" 세계지식출판사 1988

      13 신기석, "중앙대학교 30주년기념논문집" 1955

      14 고영일, "중국조선족역사연구(참고자료회편)" 연변대학출판사 1989

      15 담기양, "중국역사지도집(석문회편·동북권)" 중앙민족학원출판사 1988

      16 김경춘, "조선조 후기의 국경선에 대한 일고" 29 : 1984

      17 이일걸, "조선의 대 간도정책" (창간) : 2004

      18 이돈수, "외국고지도에 나타난 토문강을 통해본 조 청국경 연구, 간도영유권 분쟁의 제 분석" 2013

      19 김노규, "영토문제연구(자료편)"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83

      20 김춘선, "압록 두만강 국경문제에 관한 한 중 양국의 연구동향" 고려사학회 12 : 2002

      21 이홍렬, "백두산정계비와 간도영유권" 백산자료원 2000

      22 김득황, "백두산과 북방강계" 사사연 1987

      23 阿桂, "만주원류고"

      24 왕화륭, "동북지리총론" 상무인서관 1935

      25 유병화, "국제법 Ⅰ" 진성사 1992

      26 이일걸, "간도협약의 무효를 중국에 통보하지 않은 이유 분석, 간도영유권 분쟁의 제 분석" 2013

      27 오록정, "간도의 영유권문제" 외무부 외교안보연구원 1990

      28 육낙현, "간도영유권관계자료집(1, 2)" 백산자료원 1993

      29 국회도서관, "간도영유권관계발췌문서" 국회도서관 1975

      30 육낙현, "간도가 왜 우리 땅인가?" 백산자료원 2013

      31 篠田治策, "間島問題の 回顧" 곡강상점 1930

      32 이일걸, "間島協約 締結 100년의 回顧와 展望" 백산학회 (85) : 203-267, 2009

      33 "金史"

      34 "英祖實錄"

      35 김덕형, "自由" 1981

      36 "肅宗實錄"

      37 "盛京通志"

      38 篠田治策, "白頭山定界碑" 낙랑서원 1938

      39 "欽定盛京通志"

      40 "新增東國輿地勝覽"

      41 申珏秀, "國境紛爭의 國際法的 解決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42 李輔, "全遼志"

      43 "仁祖實錄"

      44 尹輝鐸, "中國의 東北 文化疆域 認識 考察 - “長白山文化論”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학회 (55) : 285-313, 2007

      45 조법종, "‘장백산문화론’의 비판적 검토" 백산학회 (79) : 397-418, 2007

      46 Du Pere Regis, "Description de L'Empire de la Chine" P.G. Le Mercier 1735

      47 이돈수, "18세기 서양고지도 속에 나타난 북방영토" 한국간도학회 (창간)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