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 · 중 고소설의 상상적 조경과 서사적 원림 의경 = 『홍루몽』, 「이생규장전」, 『구운몽』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76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한중 소설에 구성된 서사적 원림의 양상과 의미를 고찰했다. 원림은 자연을 인간의 생활 영역 안에 구현한 공간이다. 소설 속에서 상상으로 조영된 원림은 실경과 허경의 경계역...

      본고에서는 한중 소설에 구성된 서사적 원림의 양상과 의미를 고찰했다. 원림은 자연을 인간의 생활 영역 안에 구현한 공간이다. 소설 속에서 상상으로 조영된 원림은 실경과 허경의 경계역으로, ‘서사적 원림’이라 부를 수 있다. ‘서사적 원림’ 에 주목하는 것은 ‘그곳’을 설계한 당대인의 삶에 대한 소망을 읽어내는 과정이다. 동아시아의 원림 의경을 잘 드러내는 작품은 중국의 『홍루몽』과 한국의 「이생규장전」, 『구운몽』이다. 『홍루몽』의 대관원은 위계적 질서에 구속되지 않는 평등과 자유의 공간이고, 그 안에서의 삶은 자연의 윤리관 안에서 영위된다. 「이생규장전」의 별원은 부모 세계를 지배하는 질서에서 독립된 자유와 해방과 성장의 공간이다. 『구운몽』의 공주궁과 낙유원은 평등하고 자유로운 이치를 수용하면서도, 세속의 문화를 배척하지 않는다.『구운몽』의 원림은 현실과 구분되는 이상 공간이 아니라 현실을 바탕으로 한 이상 공간인 것이다.
      소설은 현실과 대립하면서도 현실의 결핍을 충족시키는 공간으로 조영된 원림공간에 대한 경험을 전유하여 서사적 원림을 상상하였다. ‘서사적 원림’은 소설속 인물과 공동체가 꿈꾸는 세상을 설계하고 조성하는 공간이다. 『홍루몽』은 인간과 자연을 대립적 관계로 보고, 대관원에서의 삶을 외부 세계의 질서와 문화에 대한 도피처 내지 치유 공간으로 그린다. 「이생규장전」은 유교적 조직 질서가 강화되고 강조되기 시작하는 15세기에, 개인 특히 전대 왕조에 비해 점점 소외되고 소멸되어가는 여성이 하나의 개체로 성장할 수 있는 해방의 공간으로 서사적 원림을 조성하였다. 『구운몽』은 원림의 조성 원리 그대로, 인간적 세계 질서 안에 자연적 질서가 조화될 수 있다는 마음을 담았다. 『구운몽』은 가부장적 제도가 안착된 후 점차 경직되기 시작하는 17세기 말에, 사회적 신분질서를 흔들지 않으면서도 조금은 더 유연하고 상하 간의 활발한 소통이 가능한 ‘어진 가부장제’를 소망하며, 배려와 개별 가치를 인정하는 공동체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서사적 원림을 설계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narrative forest constructed in Korean and Chinese novels. It is Wŏllim(園林, a classical garden) that introduced a naturalistic composition into a space of life. Wŏllim(園林) in the novel ...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narrative forest constructed in Korean and Chinese novels. It is Wŏllim(園林, a classical garden) that introduced a naturalistic composition into a space of life. Wŏllim(園林) in the novel is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 and the real, we can call it “narrative forest.” Through literary Wŏllim, it is possible to identify ‘Wŏllim Ŭkyŏng(意境, Poetic Imagery)’. that is, human emotional reaction on natural scenery. It may reveal an aspect of the ideal life culture pursued by those days` people. The works showing the traditional Wŏllim Ŭkyŏng of the East Asia are Chinese 〈Hongloumeng〉 and Korean 〈Yisaengkyujangjeon〉, 〈Kuunmong〉. Daguanyuan (大觀園) in 〈Hongloumeng〉 is a space of equality and freedom that is not bound by hierarchical order. Byeolyuan(別園) is a space of freedom, liberation and growth independent of the order that rules the parent world. Nakyuyuan(樂遊園) embraces equality and freedom, but does not reject secular culture.
      The ‘narrative forest’ is a space designed and created for the world dreamed by characters and communities in novels. 〈Hongloumeng〉 sees humanity as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nature, and draws life as a refuge or healing space for the order and culture of the outside world. 〈Yisaengkyujangjeon〉created an narrative forest as a space of liberation where women can grow into a single entity. 〈Kuunmong〉 embodies the idea that the natural order can be harmonized in the human world order. It is the design of the epic landscapes as a space where the community that cares and cares about individual valu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시작하며: 고소설의 서사적 원림
      • 2. 세속과 구분되는 아문화(雅文化) 공간:『홍루몽』의 대관원
      • 3. 개인의 해방과 성장의 공간: 「이생규장전」의 별원
      • 4. 아속(雅俗)의 합일과 공동체적 지향 공간 : 『구운몽』의 낙유원
      • 국문초록
      • 1. 시작하며: 고소설의 서사적 원림
      • 2. 세속과 구분되는 아문화(雅文化) 공간:『홍루몽』의 대관원
      • 3. 개인의 해방과 성장의 공간: 「이생규장전」의 별원
      • 4. 아속(雅俗)의 합일과 공동체적 지향 공간 : 『구운몽』의 낙유원
      • 5. 나가며: 서사적 원림 의경의 문화적 의미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邊雨赫, "李朝時代 庭園의 樹木과 配置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1976

      2 조설근, "홍루몽 1-6" 나남 2009

      3 이상은, "한한대자전(漢韓大字典)" 민중서림 1966

      4 송희경, "조선후기 아회도" 다할미디어 2008

      5 탁원정, "조선후기 고전소설의 공간 미학" 보고사 2013

      6 최종덕, "조선의 참 궁궐, 창덕궁" 눌와 2006

      7 이승훈, "조선시대 민화에 나타난 조경요소에 관한 연구 : 조경 식물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2001

      8 하태일, "전통조경분야의 정원 명칭 사용에 대한 고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4 : 2014

      9 왕롱주, "읽어버린 낙원, 원명원" 한숲 2015

      10 김수연, "유의 미학, 금오신화" 소명 2015

      1 邊雨赫, "李朝時代 庭園의 樹木과 配置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1976

      2 조설근, "홍루몽 1-6" 나남 2009

      3 이상은, "한한대자전(漢韓大字典)" 민중서림 1966

      4 송희경, "조선후기 아회도" 다할미디어 2008

      5 탁원정, "조선후기 고전소설의 공간 미학" 보고사 2013

      6 최종덕, "조선의 참 궁궐, 창덕궁" 눌와 2006

      7 이승훈, "조선시대 민화에 나타난 조경요소에 관한 연구 : 조경 식물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2001

      8 하태일, "전통조경분야의 정원 명칭 사용에 대한 고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4 : 2014

      9 왕롱주, "읽어버린 낙원, 원명원" 한숲 2015

      10 김수연, "유의 미학, 금오신화" 소명 2015

      11 윤혜린, "여성주의 리더십-새로운 길 찾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12 윤혜린, "여성 리더십의 공간과 철학" 철학과현실사 2009

      13 임의제, "아회도(雅會圖)에 나타난 조선후기 원림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 32 (32): 46-57, 2014

      14 김시습, "금오신화 전등신화" 미다스북스 2010

      15 조규희, "그림에게 물은 사대부의 생활과 풍류" 두산동아 2007

      16 김만중, "구운몽" 민음사 2003

      17 김만중, "구운몽" 문학동네 [파주] 2013

      18 에스터 M. 스턴버그, "공간이 마음을 살린다" 더퀘스트 2013

      19 Brian Elliott, "건축가를 위한 벤야민" 시공문화사 Spacetime 2012

      20 裵常善, "造景植物의 象徵性에 관한 基礎硏究" 高麗大學校 食糧開發大學院 1990

      21 張世君, "紅樓夢的園林藝趣與文化意識" 2 (2): 1995

      22 潘富俊, "紅樓夢植物圖鑑" 貓頭鷹出版社 2004

      23 劉暉, "紅樓夢大觀園空間藝術探究" 中南林業科技大學 2011

      24 王文和, "紅樓夢大觀園中的園林植物初考" 24 (24): 2009

      25 汪洋, "紅樓夢中的古典園林藝術" 南京林業大學 2008

      26 張軍, "紅樓夢中植物與植物景觀硏究" 浙江農林大學 2012

      27 邵鋒, "紅樓夢中大觀園的植物造景特色" 23 : 2008

      28 曹雪芹, "淸人繪全本 紅樓夢" 希望出版社 2005

      29 黃雲皓, "圖解紅樓夢建築意象"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6

      30 龍志堅, "園林是首哲理詩-論紅樓夢園林文化審美意蘊" 11 (11): 2010

      31 計成, "園冶" 重慶出版社 2009

      32 윈쟈옌, "『홍루몽』에 나타난 대관원의 意境 분석"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4

      33 박상만, "『구운몽』에 나타난 시공철학관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0

      34 김지선, "《紅樓夢》을 통해 본 중국의 園林文化―大觀園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회 (22) : 127-158, 2006

      35 이원호, "Wonrim-Enjoying Culture of the Gyeonghwasej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Described in Euiwongis" 한국전통조경학회 12 : 32-44, 2014

      36 김수연, "<취유부벽정기>의 ‘경계성’에 대하여"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217-250, 2009

      37 박일용, "<이생규장전>의 결혼과 절사(節死) 장면에 나타난 환상성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1) : 297-326, 2006

      38 조미원, "<紅樓夢>에 描寫된 大觀園의 性格에 관한 연구" 한국중어중문학회 34 : 397-419,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
      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 1.22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