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구동호회의 하위문화적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69464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92.3695.1 판사항(5)

      • 발행국(도시)

        부산

      • 기타서명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sketball club

      • 형태사항

        iv, 77장: 삽화;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 수록
        국문, 영문초록 수록
        지도교수: 김인형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21020-200000301738

      • 소장기관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sketball club member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3X3 basketball as a new subculture of basketball. Using purposive sampling, eight basketball club members from B metropolitan city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who have more than five years of basketball experience and have been regularly participating in a basketball club for more than three years. The data a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Collected data are transformed to texts to conduct categorization and 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sketball club,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asketball club exhibit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exclusiveness. There were high entry barriers to entry into the basketball club, and closed purebredism and hierarchy, like the sports club, emerged to maintain their own culture and emphasize their sense of belonging.
      Seco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lub members have emerged the characteristics of triumphalism by the club members. The basketball club was characterized by its official competition culture, where winning is the top priority, and its practice game culture, which causes excessive competitive desire.
      Third, the society's social interac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expanding social relations and conflicts. Through the society, both positive aspects of expanding social networks and frequent conflicts of forced food culture have emerged.
      Next on, After examining the basis and characteristics of 3X3 basketball as a new basketball subculture, First, as a basketball subculture, the 3X3 basketball culture confirmed that the culture of youth was an anti-culture. Also, it is also a transformative sub-culture since the rules and court in 3X3 basketball is transformed from the regular 5-on-5 basketball.
      Second, when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3X3 basketball as a subculture, there were features that emerged as new cultural contents, sports that reveal individual skills, a starting lineup for all team member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rom a club member to a professiona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sketball club member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3X3 basketball as a new subculture of basketball. Using purposive sampling, eight basketball club members from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sketball club member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3X3 basketball as a new subculture of basketball. Using purposive sampling, eight basketball club members from B metropolitan city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who have more than five years of basketball experience and have been regularly participating in a basketball club for more than three years. The data a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Collected data are transformed to texts to conduct categorization and 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sketball club,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asketball club exhibit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exclusiveness. There were high entry barriers to entry into the basketball club, and closed purebredism and hierarchy, like the sports club, emerged to maintain their own culture and emphasize their sense of belonging.
      Seco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lub members have emerged the characteristics of triumphalism by the club members. The basketball club was characterized by its official competition culture, where winning is the top priority, and its practice game culture, which causes excessive competitive desire.
      Third, the society's social interac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expanding social relations and conflicts. Through the society, both positive aspects of expanding social networks and frequent conflicts of forced food culture have emerged.
      Next on, After examining the basis and characteristics of 3X3 basketball as a new basketball subculture, First, as a basketball subculture, the 3X3 basketball culture confirmed that the culture of youth was an anti-culture. Also, it is also a transformative sub-culture since the rules and court in 3X3 basketball is transformed from the regular 5-on-5 basketball.
      Second, when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3X3 basketball as a subculture, there were features that emerged as new cultural contents, sports that reveal individual skills, a starting lineup for all team member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rom a club member to a profession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농구동호회의 하위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농구 하위문화로써 3X3 농구의 근거와 특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법을 사용하여 B 광역시에서 농구경력 5년 이상, 농구동호회에 3년 이상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 면담과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작업을 통해 텍스트 자료로 변환하였으며, 의미의 범주화와 개념화의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농구동호회의 하위문화적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동호회의 구조적 특성은 팀의 수직적 구조와 배타성으로 분석되었다. 농구동호회로 진입하기에는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하였으며 자신들만의 문화를 지속하고 소속감을 강조하기 위한 폐쇄적 순혈주의 또 운동부같은 위계질서가 나타났다.
      둘째, 동호회의 문화적 특성은 동호인들의 승리 지상주의 추구로 분석되었다. 농구동호회는 승리가 최우선인 공식 대회 문화와 과도한 승부욕을 야기하는 연습경기 문화라는 특징이 나타났다.
      셋째, 동호회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으로 사회적 관계의 확장과 갈등으로 분석되었다. 동호인들은 동호회를 통해 사회적 관계망 확장의 장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강제성을 띤 잦은 회식문화로 인한 관계 갈등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다.
      다음 농구 하위문화로써 3X3 농구의 근거와 특성을 살펴본 결과로 첫째, 농구 하위문화로써 3X3 농구 문화는 청소년의 문화가 기성세대에 반(反)하여 생겨난 반발적 하위문화라는 것을 확인했고 기존의 5대5 농구에서 변형되어 이루어진 변형 하위문화라고 볼 수 있었다.
      둘째, 하위문화로써 3X3 농구의 특성을 살펴봤을 때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부각, 개인기량이 드러나는 스포츠, 모든 팀원의 주전화, 동호인에서 전문 직업인으로서 발전 가능성이라는 특징들이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농구동호회의 하위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농구 하위문화로써 3X3 농구의 근거와 특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법을 사용하여 B 광역시에서 농구...

      본 연구는 농구동호회의 하위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농구 하위문화로써 3X3 농구의 근거와 특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법을 사용하여 B 광역시에서 농구경력 5년 이상, 농구동호회에 3년 이상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 면담과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작업을 통해 텍스트 자료로 변환하였으며, 의미의 범주화와 개념화의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농구동호회의 하위문화적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동호회의 구조적 특성은 팀의 수직적 구조와 배타성으로 분석되었다. 농구동호회로 진입하기에는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하였으며 자신들만의 문화를 지속하고 소속감을 강조하기 위한 폐쇄적 순혈주의 또 운동부같은 위계질서가 나타났다.
      둘째, 동호회의 문화적 특성은 동호인들의 승리 지상주의 추구로 분석되었다. 농구동호회는 승리가 최우선인 공식 대회 문화와 과도한 승부욕을 야기하는 연습경기 문화라는 특징이 나타났다.
      셋째, 동호회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으로 사회적 관계의 확장과 갈등으로 분석되었다. 동호인들은 동호회를 통해 사회적 관계망 확장의 장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강제성을 띤 잦은 회식문화로 인한 관계 갈등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다.
      다음 농구 하위문화로써 3X3 농구의 근거와 특성을 살펴본 결과로 첫째, 농구 하위문화로써 3X3 농구 문화는 청소년의 문화가 기성세대에 반(反)하여 생겨난 반발적 하위문화라는 것을 확인했고 기존의 5대5 농구에서 변형되어 이루어진 변형 하위문화라고 볼 수 있었다.
      둘째, 하위문화로써 3X3 농구의 특성을 살펴봤을 때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부각, 개인기량이 드러나는 스포츠, 모든 팀원의 주전화, 동호인에서 전문 직업인으로서 발전 가능성이라는 특징들이 나타났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연구의 제한점 5
      • 4. 용어의 정리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연구의 제한점 5
      • 4. 용어의 정리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농구동호회 7
      • 2. 3X3 농구 8
      • 3. 스포츠 하위문화 11
      • Ⅲ. 연구 방법 18
      • 1. 연구참여자 18
      • 2. 자료수집 19
      • 3. 자료분석 21
      • 4. 자료의 진실성 22
      • 5. 연구의 윤리성 24
      • Ⅳ. 농구동호회 하위문화적 특성 25
      • 1. 동호회의 구조적 특성: 수직적 구조와 폐쇄성 25
      • 2. 동호회의 문화적 특성: 승리 지상주의 추구 34
      • 3. 동호회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사회적 관계의 확장과 갈등 40
      • Ⅴ. 새로운 농구 하위문화로써 3X3 농구 45
      • 1. 농구 하위문화로써 3X3 농구의 근거 45
      • 2. 하위문화로써의 3X3 농구 특성 51
      • Ⅵ. 결론 및 제언 63
      • 1. 결론 63
      • 2. 제언 65
      • 참 고 문 헌 66
      • Abstract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