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빠니샤드의 ‘범아일여’(梵我一如)라는 가르침은 후대에 샹까라에 의해 확립된 것이라고 인정되는 편이다. 그럼에도 그가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BSBh)과 같은 텍스트에서 일반적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52932
2020
-
샹까라 ; 범아일여 ; 아뜨만 ; 개별자아 ; 동일성의 논리 ; 유일성의 논리 ; śaṅkara ; brahma-ātma-ekatva ; ātman ; the individual ; the logic of identity ; the logic of oneness
KCI등재
학술저널
75-108(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빠니샤드의 ‘범아일여’(梵我一如)라는 가르침은 후대에 샹까라에 의해 확립된 것이라고 인정되는 편이다. 그럼에도 그가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BSBh)과 같은 텍스트에서 일반적으로...
우빠니샤드의 ‘범아일여’(梵我一如)라는 가르침은 후대에 샹까라에 의해 확립된 것이라고 인정되는 편이다. 그럼에도 그가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BSBh)과 같은 텍스트에서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우주의 궁극적인 실재인 브라흐만과 개인의 진정한 자아인 아뜨만 사이의 동일성’이라는 의미의 범아일여를 제시하는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BSBh에서 범아일여와 관련된 채로 등장하는 복합어들은 ‘A와 B는 같다’는 뜻보다 ‘오직 A=B만이 존재한다’는 뜻으로서 ‘동일성의 논리’보다 ‘유일성의 논리’를 따른다고 이해된다. 둘째, BSBh에서는, ‘본질의 동일성’이 즉 개별자아의 본질이 오직 브라흐만/아뜨만이라는 것이 핵심 가르침으로 알려지고 ‘본질의 동일성’이 ‘아뜨만의 유일성’과 다르지 않고 또 ‘아뜨만의 유일성’과 같은 표현이 범아일여와 관련된 표현들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미의 범아일여가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는다. 셋째, 결국 BSBh의 범아일여는 유일성의 논리에 따라 ‘개별자아는 유일한 브라흐만/아뜨만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라는 뜻이다. 넷째, 이 범아일여는 ‘명시적으로’ 두 가지 양상으로 제시되는데, 그것은 해탈의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본질의 동일성으로서 범아일여’와 해탈의 결과라는 관점에서 ‘유일성으로서 범아일여’이다. 다섯째, 범아일여의 명시적인 두 양상에는 ‘대우주적 실재인 브라흐만과 소우주적 실재인 아뜨만의 동일성으로서 범아일여’(범아일여의 일반적인 의미)라는 또 하나의 양상이 ‘암시적으로’ 가정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BSBh에서는 범아일여의 이와 같은 세 가지 양상들이 미묘하게 혼합된 채로 제시된다고 말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aching of Upaniṣads known as ‘brahma-ātma-ekatva/ aikya’ (梵我一如) is more than accepted as being established by Śaṅkara in the later. However, it is worth examining whether he presents the generally known meaning of ‘brahm a-ā...
The teaching of Upaniṣads known as ‘brahma-ātma-ekatva/ aikya’ (梵我一如) is more than accepted as being established by Śaṅkara in the later. However, it is worth examining whether he presents the generally known meaning of ‘brahm a-ātma-ekatva/aikya’ that Brahman i.e., the ultimate reality of the universe and Ātman i.e., the true self of the individual are the same in text such as Brahmasūtra-bhāṣya (BSBh).
As a result, the following several points can be confirmed.
First, in BSBh, compound words related to ‘brahma- ātma-ekatva/aikya’ are understood to follow ‘the logic of oneness’ rather than ‘the logic of identity’ meaning ‘only A=B exists’ rather than ‘A and B are the same’.
Second, in BSBh, since ‘the identity of nature’ that the essence of an individual self is nothing but Brahman/Ātman is known as the core teaching, the ‘the identity of nature’ is not different from ‘the oneness of Ātman’, and the expression ‘the oneness of Ātman’ (ātma-ekatva) is as important as the expressions related to ‘brahma-ātma-ekatva/ aikya’, as a result, the general meaning of ‘brahma-ātma-ekatva/aikya’ is not explicitly suggested.
Third, after all, ‘brahma-ātma-ekatva/aikya’ in BSBh means ‘the individual self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only Brahman/Ātman’ in accordance with the logic of oneness.
Fourth, this ‘brahma-ātma-ekatva/aikya’ is explicitly presented in two aspects: ‘brahma-ātma-ekatva/aikya’ as ‘the identity of nature’ from the viewpoint of the process of Liberation and ‘brahma-ātma-ekatva/aikya’ as ‘the oneness’ from the viewpoint of the result of Liberation.
Fifth, the two explicit aspects of ‘brahma-ātma-ekatva/-aikya’ are assumed implicitly to be another aspect of ‘brahma- ātma-ekatva/aikya’ as ‘the identity between Brahman i. e., the macrocosmic reality and Ātman i.e., the microcosmic realit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in BSBh these three aspects of ‘brahma-ātma-ekatva/aikya’ are presented subtly mixed.
참고문헌 (Reference)
1 마에다 센가쿠, "웨단따 철학 : 샹까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출판부 2005
2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3 샹까라, "브라흐마수뜨라 주석(1권~4권)" 세창출판사 2016
4 박효엽,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에서 ‘브라흐만’이라는 말의 일의적 사용과 그 이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7) : 269-293, 2019
5 Grant, Sara, "Śaṅkarācārya’s Concept of Relation"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999
6 De Smet, R., "Śaṅkara and Aquinas on Creation" University of Madras 6 : 112-128, 1970
7 Comans, Michael, "The Method of Early Advaita Vedānt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2000
8 Roy, S. S., "The Heritage of Śaṅkara"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1982
9 Olivelle, Patrick, "The Early Upaniṣad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0 Black, Brian, "The Character of the Self in Ancient India:Priest, Kings, and Women in the Early Upaniṣad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7
1 마에다 센가쿠, "웨단따 철학 : 샹까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출판부 2005
2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3 샹까라, "브라흐마수뜨라 주석(1권~4권)" 세창출판사 2016
4 박효엽,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에서 ‘브라흐만’이라는 말의 일의적 사용과 그 이유"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7) : 269-293, 2019
5 Grant, Sara, "Śaṅkarācārya’s Concept of Relation"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999
6 De Smet, R., "Śaṅkara and Aquinas on Creation" University of Madras 6 : 112-128, 1970
7 Comans, Michael, "The Method of Early Advaita Vedānt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2000
8 Roy, S. S., "The Heritage of Śaṅkara"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1982
9 Olivelle, Patrick, "The Early Upaniṣad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0 Black, Brian, "The Character of the Self in Ancient India:Priest, Kings, and Women in the Early Upaniṣad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7
11 Monier Williams, "SED : Sanskrit-English Dictionary"
12 Hacker, Paul, "Philology and Confron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13 Malkovsky, Bradley J., "New Perspectives on Advaita Vedānta" Brill 2000
14 Grant, Sara, "New Perspectives on Advaita Vedānta" Brill 148-163, 2000
15 "KaU : Kaṭha-upaniṣad"
16 "EB :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 Student and Home Edi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
17 "ChUBh : Chāndogya-upaniṣad-bhāṣya (Complete Works of Sri Sankaracharya, vol. 9)" Samata Books 1983
18 "ChU : Chāndogya-upaniṣad"
19 "BṛU : Bṛhadāraṇyaka-upaniṣad"
20 "Brahma-jñāna-āvalīmālā (in Complete Works of Sri Sankaracharya, Volume II )" Samata Books 1981
21 "BS : Brahma-sūtra"
22 Nakamura, Hajime, "A History of Early Vedānta Philosophy, Part Two"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2004
23 Nakamura, Hajime, "A History of Early Vedānta Philosophy, Part On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983
맹세와 실행으로 완성되는 시(詩)의 논리 __『카비야 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제5장을 중심으로__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4-2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8-10-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Society for Indian Philosophy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4 | 1.2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