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2009 개정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기술과 발명’ 단원 교육 내용 적정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86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기술과 발명’ 단원 교육 내용 적정화 실태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 방법으로는 내용량 분석과 난이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량 분석 결과 2007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 비해 2009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는 페이지 수 53.5%, 중단원 수 45,4%, 소단원 수 30.7%, 주제 수 37.8%의 감소하였다. 둘째, 난이도 분석 결과 2007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 비해 2009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는 내용 요 소가 8.5%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기술과 발명 단원을 대단원으로 편성하고 중단원으로 ‘기술의 이해’, ‘발명’으로 조 직하고, 중단원인 발명은 ‘발명의 이해’, ‘발명과 특허’, ‘발명과 사고’, ‘발명 체험활동’으로 내용을 구성해야 하며, 발명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를 통해 핵심이 되는 주제를 도출하고 이를 12종 교과서 모두에 적용하여 심도 있는 발명 교육 내 용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기술과 발명’ 단원 교육 내용 적정화 실태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 방법으로는 내용량 분석과 난이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

      이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기술과 발명’ 단원 교육 내용 적정화 실태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 방법으로는 내용량 분석과 난이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량 분석 결과 2007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 비해 2009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는 페이지 수 53.5%, 중단원 수 45,4%, 소단원 수 30.7%, 주제 수 37.8%의 감소하였다. 둘째, 난이도 분석 결과 2007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 비해 2009개정교육과정 기술과 발명 단원에서는 내용 요 소가 8.5%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기술과 발명 단원을 대단원으로 편성하고 중단원으로 ‘기술의 이해’, ‘발명’으로 조 직하고, 중단원인 발명은 ‘발명의 이해’, ‘발명과 특허’, ‘발명과 사고’, ‘발명 체험활동’으로 내용을 구성해야 하며, 발명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를 통해 핵심이 되는 주제를 도출하고 이를 12종 교과서 모두에 적용하여 심도 있는 발명 교육 내 용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 contents of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s for the analysis, the total amount of the content and the difficulty of the content have been analyzed,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total amount of the content indicates that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shows decreases of 53.5% in total pages, 45.4% in the number of middle units, 30.7% in the number of small units, and 37.8% in the number of topics compared to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of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difficulty of the content indicates that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have been reduced by 8.5% in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of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propose the following: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should be reorganized as a broader unit and the ‘Understanding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s should be under-categorized as the sub- sections of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And the ‘Invention’ unit should include the contents such as ‘Understanding Inventions’, ‘Inventions and Patents’, ‘Inventions and Considerations’, and ‘Hand-on Activities of Inventions.’ Further, through the studies of systematic contents of the invention education, the core themes should be emerged out and applied to all 12 types of current textbooks so that the in-depth analysis of invention contents could take pla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 contents of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s for the analysis, the total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 contents of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s for the analysis, the total amount of the content and the difficulty of the content have been analyzed,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total amount of the content indicates that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shows decreases of 53.5% in total pages, 45.4% in the number of middle units, 30.7% in the number of small units, and 37.8% in the number of topics compared to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of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difficulty of the content indicates that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have been reduced by 8.5% in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of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propose the following: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should be reorganized as a broader unit and the ‘Understanding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s should be under-categorized as the sub- sections of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And the ‘Invention’ unit should include the contents such as ‘Understanding Inventions’, ‘Inventions and Patents’, ‘Inventions and Considerations’, and ‘Hand-on Activities of Inventions.’ Further, through the studies of systematic contents of the invention education, the core themes should be emerged out and applied to all 12 types of current textbooks so that the in-depth analysis of invention contents could take pl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내용
      • II. 이론적 배경
      • 요약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내용
      • II. 이론적 배경
      • 1. ‘기술과 발명’ 단원 내용 체계
      • 2. 발명 교육 내용 체계
      • 3. 교육 내용 적정화
      • III. 연구 방법 및 도구
      • 1. 분석 대상
      • 2. 분석 도구
      • 3. 분석 방법
      • IV. 연구 결과
      • 1. 내용량 분석
      • 2. 난이도 분석
      • 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유현,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육 내용 표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2 (12): 148-168, 2012

      2 강혜경, "중학교 기술ㆍ가정 1 교과서에서 ‘기술과 발명’ 단원의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0 (10): 78-103, 2010

      3 정성봉, "중학교 기술․가정 1" 교학사 2009

      4 권영출, "중학교 기술․가정 1" 금성출판사 2009

      5 이승신, "중학교 기술․가정 1" 천재교육 2009

      6 정철영, "중학교 기술․가정 1" 두산동아 2009

      7 윤인경, "중학교 기술․가정 1" 교학사 2009

      8 김종명, "중학교 기술․가정 1" 지학사 2009

      9 박인옥, "중등 사회과 '사회문제'내용의 적정화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7 (37): 41-72, 2005

      10 이정훈, "중등 기술교과교육에서 발명교육 내용의 구성 체계 구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275-294, 2009

      1 최유현,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육 내용 표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2 (12): 148-168, 2012

      2 강혜경, "중학교 기술ㆍ가정 1 교과서에서 ‘기술과 발명’ 단원의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0 (10): 78-103, 2010

      3 정성봉, "중학교 기술․가정 1" 교학사 2009

      4 권영출, "중학교 기술․가정 1" 금성출판사 2009

      5 이승신, "중학교 기술․가정 1" 천재교육 2009

      6 정철영, "중학교 기술․가정 1" 두산동아 2009

      7 윤인경, "중학교 기술․가정 1" 교학사 2009

      8 김종명, "중학교 기술․가정 1" 지학사 2009

      9 박인옥, "중등 사회과 '사회문제'내용의 적정화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7 (37): 41-72, 2005

      10 이정훈, "중등 기술교과교육에서 발명교육 내용의 구성 체계 구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275-294, 2009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실과(기술‧가정)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2004

      12 우관화, "실과 교과에서 발명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67-86, 2009

      13 김왕근,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의 적정화에 관한 비교 연구" 31 : 41-82, 2000

      14 정진우, "발명능력 지표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2 (12): 192-212, 2012

      15 특허청, "발명교육이론" 2007

      16 한국교육개발원, "발명교육내용표준(개관)"

      17 정영근,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내용 적정화 담론 고찰" 한국교육사상연구회 19 (19): 119-144, 2006

      18 김재춘, "국가 교육과정 개정 담론의 비교 분석(Ⅰ):제 4차에서 제 7차에 걸친 ‘교육내용의 적정화’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105-122, 2003

      19 황규호, "교육내용의 적정화 기준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25, 2004

      20 구원회, "교육내용 적정화의 쟁점 분석을 통한 교육내용 적정화의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285-305, 2013

      21 양미경, "교육내용 적정화의 방법 및 제약 요인의 탐색 -교과서 내용 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49-71, 2004

      22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정 교과서 정보 서비스"

      23 소경희, "교육 내용의 적정화- 체육, 미술, 음악, 실과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의 적정화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8-176, 2004

      24 김재춘, "교과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화 방향, 제7차 교과 교육과정 지침 상세화 자료"

      25 홍후조, "교과 교육과정 내용 연계와 적정화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26 김영순,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적정화 연구 - 7∼10학년 일반사회과를 중심으로 -"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9 (59): 185-209, 2011

      27 이철현,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의 발명 관련 내용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9 (19): 23-43,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