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 사회과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업 연구 =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967512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07.34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 59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 46-47

      • 소장기관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창의성의 핵심적 특성은 독창성과 적절성이다. 즉, 아이디어가 새로워야 하고 그것이 속한 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 가치가 있을 때 창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과에서의 창의성 교육은 학생들을 다양한 문제 해결 상황으로 이끌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사회과학적 사고 활동과 창의성 활동을 결합한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수업안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그 수업의 효과를 질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 및 해석하는 탐구 활동을 통해 사회과학적 사고력과 논리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실험 수업은 사회과학적 사고력의 신장을 바탕으로 다양한 해결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유창성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창의성 활동은 독특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여 독창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요컨대, 본 수업은 사회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성 활동을 결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탐구 학습 태도를 형성하였고, 사회과학적 사고력과 논리적 사고력, 유창성의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창의성 활동은 독창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에서 다양한 정보를 함축하고 있는 그래픽 자료를 활용하여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설계함으로써 사고력과 창의력을 결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서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사회과에서의 창의성 교육은 사회 문제를 매개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학생들은 미래의 사회인으로서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창의성 신장에 적절한 텍스트를 선정하여 사회과 수업에서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훈련이 되어질 수 있도록 교사 자신의 창의성도 계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창의성의 핵심적 특성은 독창성과 적절성이다. 즉, 아이디어가 새로워야 하고 그것이 속한 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 가치가 있을 때 창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과에서의 창의성 교육은 ...

      창의성의 핵심적 특성은 독창성과 적절성이다. 즉, 아이디어가 새로워야 하고 그것이 속한 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 가치가 있을 때 창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과에서의 창의성 교육은 학생들을 다양한 문제 해결 상황으로 이끌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사회과학적 사고 활동과 창의성 활동을 결합한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수업안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그 수업의 효과를 질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 및 해석하는 탐구 활동을 통해 사회과학적 사고력과 논리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실험 수업은 사회과학적 사고력의 신장을 바탕으로 다양한 해결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유창성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창의성 활동은 독특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여 독창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요컨대, 본 수업은 사회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성 활동을 결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탐구 학습 태도를 형성하였고, 사회과학적 사고력과 논리적 사고력, 유창성의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창의성 활동은 독창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에서 다양한 정보를 함축하고 있는 그래픽 자료를 활용하여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설계함으로써 사고력과 창의력을 결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서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사회과에서의 창의성 교육은 사회 문제를 매개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학생들은 미래의 사회인으로서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창의성 신장에 적절한 텍스트를 선정하여 사회과 수업에서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훈련이 되어질 수 있도록 교사 자신의 창의성도 계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developed the teaching model that combined social scientific thinking and creative activities, and designed a concrete instruction plan, and applied to an actual class so that it is to expand a creativity in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I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an effect of the clas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First, an experiment class was positive effect on extending the social scientific thinking and the logical thinking of the students. The second, an experiment class was positive effect on extending the fluency which can present various solution ways with social scientific thinking. The third, creative activities of an experiment class provided the experience that students can produce a unique and novel idea, and then it was a positive effect on a creativity development of students.
      In short, this model improved the scientific and logical thinking and the creativity, especially fluency and originality.
      The creativity education in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an be achieved through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erefore, students as the citizens of future must have an interest in social issues and solve problems creatively. An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develop their own creativity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text and designing creativity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번역하기

      In this study, I developed the teaching model that combined social scientific thinking and creative activities, and designed a concrete instruction plan, and applied to an actual class so that it is to expand a creativity in an elementary social studi...

      In this study, I developed the teaching model that combined social scientific thinking and creative activities, and designed a concrete instruction plan, and applied to an actual class so that it is to expand a creativity in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I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an effect of the clas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First, an experiment class was positive effect on extending the social scientific thinking and the logical thinking of the students. The second, an experiment class was positive effect on extending the fluency which can present various solution ways with social scientific thinking. The third, creative activities of an experiment class provided the experience that students can produce a unique and novel idea, and then it was a positive effect on a creativity development of students.
      In short, this model improved the scientific and logical thinking and the creativity, especially fluency and originality.
      The creativity education in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an be achieved through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erefore, students as the citizens of future must have an interest in social issues and solve problems creatively. An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develop their own creativity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text and designing creativity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논문요약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 2
      • <목차> = ⅰ
      • 논문요약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 2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창의성의 개념 = 4
      • 2. 창의성의 요소 = 7
      • 3. 사회과에서의 창의성 교육 = 10
      • 4. 선행연구의 고찰 = 12
      • Ⅲ. 수업의 설계 및 적용 = 14
      • 1. 연구 설계 = 14
      • 2. 수업 모형의 설계 및 수업안의 개발 = 15
      • 가. 수업 모형의 설계 = 15
      • 나. 수업안의 구성 = 19
      • Ⅳ. 실험 수업의 적용 및 그 실제 = 24
      • 1. 실험 수업 대상 = 24
      • 2.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실험 수업의 구성 = 25
      • Ⅴ. 실험 수업의 효과 분석 및 논의 = 32
      • 1. 실험 수업 효과의 분석 기준 = 32
      • 2. 실험 수업의 효과 분석 = 33
      • 가.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법 서술하기 = 33
      • 나. 교통문제에 대한 해결방법 서술하기 = 36
      • 다. 쓰레기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 서술하기 = 38
      • 라. 도시의 주택문제에 대한 해결방법 서술하기 = 40
      • 3. 논의 = 42
      • Ⅵ. 결론 = 44
      • <참고 문헌> = 46
      • Abstract = 48
      • <부록 1> 사전 검사지 = 50
      • <부록 2> 수업시 사용한 활동지 =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