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와 중국간 해양경계획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99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가 위치한 동북아시아는 지리적으로 복잡할 뿐 아니라 오랫동안 정치적으로 분열되어 있어 국가간 해양문제해결이 어려운 곳이었다. 그러나 냉전종식이후 해양문제해결을 위한 국...

      우리나라가 위치한 동북아시아는 지리적으로 복잡할 뿐 아니라 오랫동안 정치적으로 분열되어 있어 국가간 해양문제해결이 어려운 곳이었다. 그러나 냉전종식이후 해양문제해결을 위한 국가간 협상이 진행되면서 한중일 3국은 각각 양자간 어업협정을 체결하였으나, 이는 잠정약정이므로 최종적인 해양경계획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중국은 방대한 영토와 긴 해안선, 엄청난 인구를 가진 국가로서 자국의 국익에 부합하는 해양정책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명해 왔다. 해양경계획정과 관련해서도 중국은 자국의 이익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경향이 있는바, 중국의 주장 중에는 오늘날의 국제법이나 국제실행에서 어긋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
      해양경계획정 원칙에 있어서 중국은 육지의 자연적연장을 강조하면서 자율적 형평에 가까운 형평의 원칙을 주장하는데, 형평의 원칙을 경계획정의 대원칙으로 인정하드라도 경제수역제도의 등장이후 그 사용이 보편화 되어 온등거리선의 유용성과 형평성을 거부하는 것은 무리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간의 해양경계획정시 고려할 관련상황에는 양국간 어업협정, 섬, 기준선, 해저지형 등이 있으며, 경계선의 형평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해안선의 길이도 고려할 수 있다.
      한중어업협정은 해양경계선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경제수역은 어족자원을 포함하는 해양자원 관할권을 연안국에게 부여하는 제도이지만, 중국은 자연적연장론을 쉽사리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며 어업협정에서 사용된 획선방법이 다시 사용될지도 짐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간의 해양경계획정에서는 독도와 같은 도서영유권 문제는 제기되지 않는다. 따라서 섬과 관련하여 아주 심각한 문제는 제기되지 않으나, 일부 섬들의 해양경계선에 대한 효과는 검토되어야 한다. 해양경계획정시중간선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양국 기준선의 적합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데, 중국은 해안의 형상에 관계없이 거의 전 해안에 직선기선을 그었는바, 실제 경계획정시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대책을 세워두어야 한다.
      해양경계획정의 원칙으로 자연적연장론을 옹호해 온 중국의 입장에서 볼 때 해저지형은 당연히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그러나 경제수역의 등장으로 경계획정에서 ‘거리’가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면서 관련상황으로의 해저지형의 가치는 평가절하 되었으며, 특히 바다의 너비가 400해리 이내인 수역에서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해양경계선의 형평성을 판단하는 척도로 활용되어온 각국의 해양수역 넓이와 해안선 길이간의 비례성 역시 산술적인 비율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므로 우리나라와 중국 간 해양경계획정에서는 고려의 대상이 아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tuated in area which is geographically complex and politically divided, northeast asian countries could not have talks to resolve maritime problems between them for decades. Since the cold war ended, Korea, China, and Japan had begun negotiations wi...

      Situated in area which is geographically complex and politically divided, northeast asian countries could not have talks to resolve maritime problems between them for decades. Since the cold war ended, Korea, China, and Japan had begun negotiations with an eye to maritime delimitation, but the talks were not expected to end in the near future. They concluded bilateral fisheries agreements between them, but the agreements are only provisional in nature.
      China has made clear its marine policy in direct or indirect ways. However its policy are frequently not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order or universal custom. Stressing the importance of natural prolongation, China has supported the equity principle in maritime delimitation. Although the UNCLOS Convention adopted equitable solution as the purpose of delimitation, it seems impractical to deny the equitableness enshrined in equidistance method.
      Fisheries Agreement between Korea and China, islands, and baselines will be considered as relevant circumstances in delimiting maritime boundary lines between Korea and China. As the fisheries agreement affects economic interest of coastal states, the agreement will have effect on delimitation line. However its effect will be severely limited.
      There is no ownership dispute over islands between Korea and China. However both countries have islands whose exact effects on boundary lines should be decided through negotiation. If Korea and China want to use median lin as an interim boundary line, baselines of both countries should be considered. Given the excessiveness of China’s baselines, Korea and China are supposed to decide whether substitute baselines should be established for equitable maritime delimitation.
      Geomorphology of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are not relevant in maritime delimitation, because the width of relevant coasts are less than 400 miles. Lengths of coast need not to considered relevant either, because international law does not require exact proportion of the area accorded to the country to the length of its coa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중국과 한국의 해양정책
      • Ⅲ. 해양경계획정의 원칙문제
      • Ⅳ. 해양경계획정시 관련상황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중국과 한국의 해양정책
      • Ⅲ. 해양경계획정의 원칙문제
      • Ⅳ. 해양경계획정시 관련상황
      • Ⅴ. 결론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2 0.86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