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입 예비생들의 과학교과 충족도 분석 = The Analysis of Adequancy of Science Curricula for College Applic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275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4학년도부터 실시된 새교육과정은 과학교육을 강화하여, 인문계 과정 학생들은 두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던 것을 네 과목 모두 이수하게 하고, 자연계 과정 학생들은 네 과목의 심층부분...

      1984학년도부터 실시된 새교육과정은 과학교육을 강화하여, 인문계 과정 학생들은 두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던 것을 네 과목 모두 이수하게 하고, 자연계 과정 학생들은 네 과목의 심층부분까지 이수하게 하였다.
      그러나 1987학년도 대입학력고사부터는 과목이 조정되어 이수한 네 과목 중 인문계 학생들은 한 과목만을, 자연계 학생들은 두 과목(물리·화학 중 택일은 필수)을 선택하게 되었다. 그 선택방법은 학생들의 선호성향과 충족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1985학년도와 1986학년도 대입학력고사 인문계 지원자의 과학과목 선택을 보면 85,86학년도 공히 물리·화학이 0.9%, 화학·생물이 80% 정도를 차지하였다.
      이 결과는 암기 과목에 치우친 면을 보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고등학교 과학교육이 보편적 교양교육으로 학생들의 요구와 필요를 어느 정도 충족시켜 주는지를 알아 보았다.
      그 결과 인문계 0.3%와 자연계 0.9%만이 과학수업을 100% 만족하고 있었고 15.7%와 24.5%가 80% 정도 만족하고 있었다. 한편 대도시에서 농어촌 지역으로 갈수록 과학수업의 충족도가 떨어지고 있음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w curriculum reformed in 1984 reinforced the education of science in highschools so that the students of cultural science field were demanded to complete four science subjects instead of two as of old, and the students of natural science field were ...

      New curriculum reformed in 1984 reinforced the education of science in highschools so that the students of cultural science field were demanded to complete four science subjects instead of two as of old, and the students of natural science field were forced to study four science subjets more deeply than before.
      Howevere, syllabi have been changed from the 1987 proficency examination of university entrance so as to choose only one out of four science subjects completed for the students of cultural science field, and two(One of them should be physics or chemistry) for the students of natural science field. Thus the choice of subjects shows grea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udents preference and sufficiency.
      In case of the proficiency examination of university entrance in both 1985 and 1986, the preference rate of science subjects for the applicants of cultural science field was 0.9% for physics and chemistry, about 80% for chemistry and biology. This means that the students of this field prefer subjects to memorize its contents easily and blindly.
      This work, therefore, ideals with whether the education of science in highschool, which is one of the liberal arts courses, satisfies the students needs and necessary.
      The result shows that only 0.3% of the students in cultural science field and 0.9% of the students in natural science field satisfy perfectly or 100%, but 15.7% and 24.5% of students in each field satisfy nearly or 80%. On the other hand sufficiency of science courses is high in large cities and is decreased as going down to the rural communit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