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교직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Fun and Immersion in Organizational Attraction on Teaching Orie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77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hood teachers’ sense of fu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on teaching orientation. For this purpose, 278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a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P city were observed for three weeks from October 21st to November 8th,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o analyze correlations and multiple returns depending on research issue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showed that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hood teachers’ sense of fu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teaching orientation was greater than normal. Second, a static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ense of fu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of childhood teachers, which is significant to the teaching orientation. Third, the childhood teachers’ sense of fu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were shown to be variables affecting teaching orientation. Therefore, for childhood teacher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orient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ir sense of humor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are variables to be considered. Further, for teaching orientation to increase, they should increase their awareness of fu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hood teachers’ sense of fu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on teaching orientation. For this purpose, 278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a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P city we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hood teachers’ sense of fu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on teaching orientation. For this purpose, 278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a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P city were observed for three weeks from October 21st to November 8th,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o analyze correlations and multiple returns depending on research issue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showed that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hood teachers’ sense of fu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teaching orientation was greater than normal. Second, a static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ense of fu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of childhood teachers, which is significant to the teaching orientation. Third, the childhood teachers’ sense of fu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were shown to be variables affecting teaching orientation. Therefore, for childhood teacher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orient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ir sense of humor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are variables to be considered. Further, for teaching orientation to increase, they should increase their awareness of fu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교직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0월 21일부터 11월 8일까지 3주 동안 P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 처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과 교직지향성의 일반적 경향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교직지향성에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교직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교직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변인으로, 교직지향성이 높아지려면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높아져야 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교직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0월 21일부터 11월 8일까지 3주 동안 P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교직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0월 21일부터 11월 8일까지 3주 동안 P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 처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과 교직지향성의 일반적 경향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교직지향성에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교직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교직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유아교사의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변인으로, 교직지향성이 높아지려면 재미지각과 조직몰입이 높아져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ewey, J.,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교우사 2010

      2 강경석, "학교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397-419, 2006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0

      4 柳寬淑, "초등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교직지향성이 높은 40대 여교사를 중심으로"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5 박정열, "직장인의 일에 대한 재미지각척도 개발 및 구성타당도 검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7 (17): 241-260, 2011

      6 오광수,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박성규, "중등학교 교사의 직업적 지향성과 소진감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8 손영미, "재미있으면 창의적으로 되는가? : 재미의 직·간접효과 검증" 여가문화학회 11 (11): 99-117, 2014

      9 김선진, "재미의 본질" 경성대학교출판부 2013

      10 서은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155-169, 2002

      1 Dewey, J.,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교우사 2010

      2 강경석, "학교조직문화와 교사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397-419, 2006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0

      4 柳寬淑, "초등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교직지향성이 높은 40대 여교사를 중심으로"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5 박정열, "직장인의 일에 대한 재미지각척도 개발 및 구성타당도 검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7 (17): 241-260, 2011

      6 오광수,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박성규, "중등학교 교사의 직업적 지향성과 소진감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8 손영미, "재미있으면 창의적으로 되는가? : 재미의 직·간접효과 검증" 여가문화학회 11 (11): 99-117, 2014

      9 김선진, "재미의 본질" 경성대학교출판부 2013

      10 서은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155-169, 2002

      11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과 교직 지향성 및 교직 지향 이유와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95-311, 2003

      12 목정욱, "유아의 그림책 만들기 놀이 속 재미요소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3 권창현, "유아문화코넨츠 제작을 위한 재미에 관한 연구" 15 : 29-43, 2010

      14 한미자, "유아교육기관장의 진성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사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 효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5 강정희,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및 교수효능감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5 (15): 259-279, 2015

      16 이선경,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661-680, 2014

      17 김용성,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자아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5 (5): 5-17, 2018

      18 오지은,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조직몰입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7 (17): 83-100, 2017

      19 장옥선, "유아교사의 재미 지각과 직무 스트레스가 교육 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9 (19): 169-193, 2020

      20 강승지,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조직문화, 조직몰입, 교직헌신의 구조적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317-337, 2017

      21 김경의,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및 조직 몰입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23-341, 2014

      22 김남희,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업정체성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9 (19): 111-131, 2020

      23 이은화, "유아교사론" 양서원 1995

      24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13

      25 김해경,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조직몰입과 조직효과성 관계에서 조직문화와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239-261, 2016

      26 최혜윤, "유아교사 조직몰입에 대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협동적 조직문화의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301-322, 2015

      27 윤문홍, "유아 그림책 읽기에 나타난 재미의 교육적 의미"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9

      28 김영미,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및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7 (17): 53-77, 2018

      29 노진형,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자본, 긍정심리자본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3 (23): 141-164, 2019

      30 김영은,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행복감 및 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319-340, 2014

      31 김영지,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2 고영미,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 및 셀프리더십이 교직지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59-77, 2017

      33 김정아,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주임교사의 리더십이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4 한신애,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보육학회 12 (12): 1-20, 2012

      35 마지순,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직지향성 및 교직지향 이유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52 (52): 275-284, 2014

      36 김옥경,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대학원 2019

      37 김희태, "보육교사의 이직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137-157, 2014

      38 정순임, "보육교사의 교직지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9 김동현,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행복감을 매개효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1 (21): 231-254, 2017

      40 김경옥, "보육교사의 교사직 지향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1 성진희,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만족, 전문성인식, 동료교사협력과 어린이집 조직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7 (17): 25-47, 2018

      42 이종각,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165-184, 2011

      43 Schiller, F., "미학편지. Letters Up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휴머니스트 2015

      44 김정운, "노는만큼 성공한다" 21세기북스 2011

      45 Nieto, S. M., "Why keep teachers going" 60 (60): 14-29, 2003

      46 Williams, J. S., "Why great teachers stay" 68 (68): 71-74, 2003

      47 Brunetti, G. J., "Why do they teach? A study of job satisfaction among long-term high school teachers" 28 (28): 49-74, 2001

      48 Tusin, L. F., "The role of self in teacher developmen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9

      49 Allen, N. J.,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63 (63): 1-18, 1990

      50 오은해, "SNS의 수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SNS의 주요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정보학회 31 (31): 47-73, 2012

      51 Joo, B. K.,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13 (13): 425-441, 2010

      52 Csikszentmihalyi, M., "Finding flow: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Cambridge Press 1975

      53 Greenberg, J., "Behavior inorganization" Pearson Education 2008

      54 Deery-Smith, D. M., "A conceptual model for studying turn over among child care providers" 10 : 121-143,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7-1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2 2.0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52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