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능적 의사소통능력’평가를 위한 문항 연구 = Item Assessment of Evaluation Tools for‘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357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능적 의사소통능력’이란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방법에는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기능적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여섯 개의 평가 도구들을 중심으로 검사에 포함된 하위 영역 및 문항의 수, 문항의 형식 및 내용, 그리고 활용된 평가 척도를 조사하여 정리하고자 하였다. 결과로는 첫째, 여섯 개의 평가 도구 중 세 개에서만 그 문항들이 하위 영역으로 분류되어 있었으며, 모든 도구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하위 영역은 없었다. 둘째, 문항의 형식은 행동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묻는‘설문지 평가’혹은 피검자 반응을 직접 관찰하여 작성하는‘직접 평가’로 이루어져 있었다. 문항의 내용은‘사회적 상호작용’,‘읽기/쓰기/수 개념’,‘일상계획’ 등이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설문지 평가’의 경우에는 대상자의 능력을 확인하는 표현인‘can/cannot’, 혹은 일상생활에서 그 행위를 하고 있는지를 표현하는 ‘does/does not’의 상황을 5점 혹은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했다.‘직접 평가’에서는 피검자의 반응을‘correct/adequate/wrong’으로 판단하였다. 이렇듯 현재 외국에서 활발히 사용 중인‘기능적 의사소통능력’평가 도구들은 다양한 형식 및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기능적 의사소통’에 포함되는 영역들이 광범위하고 평가 대상자, 평가 목적 등에 따라 평가하는 형식 및 내용에 차이가 있음을 말해준다. 향후 우리나라 사람들을 대상으로‘기능적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고자 할 때에는 개인이 속한 우리 고유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검사 하위 영역 및 문항의 내용을 개발하여 활용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기능적 의사소통능력’이란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방법에는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기능적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여섯 개의 평가 ...

      ‘기능적 의사소통능력’이란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방법에는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기능적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여섯 개의 평가 도구들을 중심으로 검사에 포함된 하위 영역 및 문항의 수, 문항의 형식 및 내용, 그리고 활용된 평가 척도를 조사하여 정리하고자 하였다. 결과로는 첫째, 여섯 개의 평가 도구 중 세 개에서만 그 문항들이 하위 영역으로 분류되어 있었으며, 모든 도구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하위 영역은 없었다. 둘째, 문항의 형식은 행동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묻는‘설문지 평가’혹은 피검자 반응을 직접 관찰하여 작성하는‘직접 평가’로 이루어져 있었다. 문항의 내용은‘사회적 상호작용’,‘읽기/쓰기/수 개념’,‘일상계획’ 등이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설문지 평가’의 경우에는 대상자의 능력을 확인하는 표현인‘can/cannot’, 혹은 일상생활에서 그 행위를 하고 있는지를 표현하는 ‘does/does not’의 상황을 5점 혹은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했다.‘직접 평가’에서는 피검자의 반응을‘correct/adequate/wrong’으로 판단하였다. 이렇듯 현재 외국에서 활발히 사용 중인‘기능적 의사소통능력’평가 도구들은 다양한 형식 및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기능적 의사소통’에 포함되는 영역들이 광범위하고 평가 대상자, 평가 목적 등에 따라 평가하는 형식 및 내용에 차이가 있음을 말해준다. 향후 우리나라 사람들을 대상으로‘기능적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고자 할 때에는 개인이 속한 우리 고유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검사 하위 영역 및 문항의 내용을 개발하여 활용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bcategories, contents of each item, and rating scales of six evaluation tools in‘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st items in only three out of six tools were subcategorized and there was no subcategory common in all six tools. Second, items or questions were presented using a five-point or seven-point scale in the context of‘can/cannot’ or‘does/does not’. In the direct testing method, the response of the examinee was judged as ‘correct’,‘adequate’, or‘wrong’.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common features among the currently available ‘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evaluation tools. This may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definition of‘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is rather vague and yet to be clarified. We concluded that upon developing an evaluation tool on‘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for Korean population, the items need to reflect validity of functional context as well as the Korean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bcategories, contents of each item, and rating scales of six evaluation tools in‘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st items in only three out of six tools w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bcategories, contents of each item, and rating scales of six evaluation tools in‘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st items in only three out of six tools were subcategorized and there was no subcategory common in all six tools. Second, items or questions were presented using a five-point or seven-point scale in the context of‘can/cannot’ or‘does/does not’. In the direct testing method, the response of the examinee was judged as ‘correct’,‘adequate’, or‘wrong’.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common features among the currently available ‘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evaluation tools. This may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definition of‘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is rather vague and yet to be clarified. We concluded that upon developing an evaluation tool on‘functional communication abilities’ for Korean population, the items need to reflect validity of functional context as well as the Korean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숙연, "한국어판 CADL-2 (Communic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Second Edition)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19-38, 2004

      2 Carvalho, I., "Validation of ASHA FACS-Functional Assessment of Communication Skills for Alzheimer disease populatio" 22 : 375-381, 2008

      3 Lomas, J., "The Communicative Effectiveness Index: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functional communication measure for adult aphasia" 54 : 113-124, 1989

      4 Ketterson, 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unctional Outcome Questionnaire for Aphasis (FOQ-A)" 53 (53): 25-223, 2008

      5 Paul, DR.,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Scale (QCL)"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2004

      6 Gitlin, L., "Measuring performance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Measuring occupational performance: supporting best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 Slack Inc 161-182, 2001

      7 Ross, KB., "Measuring change using communication rating scales: the case for Rasch analysis, as illustrated with the ASHA FACS" 16 (16): 9-, 2008

      8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9 Glueckauf, RL., "Functional Outcome Questionnaire for Aphasia: overview and preliminarypsychometric evaluation" 18 : 281-290, 2003

      10 Drummond, SS., "Functional Communication Screening in individual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18 : 41-56, 2004

      1 김숙연, "한국어판 CADL-2 (Communic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Second Edition)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19-38, 2004

      2 Carvalho, I., "Validation of ASHA FACS-Functional Assessment of Communication Skills for Alzheimer disease populatio" 22 : 375-381, 2008

      3 Lomas, J., "The Communicative Effectiveness Index: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functional communication measure for adult aphasia" 54 : 113-124, 1989

      4 Ketterson, 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unctional Outcome Questionnaire for Aphasis (FOQ-A)" 53 (53): 25-223, 2008

      5 Paul, DR.,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Scale (QCL)"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2004

      6 Gitlin, L., "Measuring performance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Measuring occupational performance: supporting best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 Slack Inc 161-182, 2001

      7 Ross, KB., "Measuring change using communication rating scales: the case for Rasch analysis, as illustrated with the ASHA FACS" 16 (16): 9-, 2008

      8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9 Glueckauf, RL., "Functional Outcome Questionnaire for Aphasia: overview and preliminarypsychometric evaluation" 18 : 281-290, 2003

      10 Drummond, SS., "Functional Communication Screening in individual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18 : 41-56, 2004

      11 Balyor, CR., "Developing the Communicative Participation Item Bank: Rasch analysis results from a spasmodic dysphonia sample" 52 : 1302-1320, 2009

      12 Yorkston, KM., "Developing a scale of communicative participation: A cognitive interviewing study" 30 (30): 425-433, 2008

      13 Holland, A., "Communicati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2nd ed.)" PRO-ED, Inc 1999

      14 Holland, A., "Communicative Abilities in Daily Living" PRO-ED, Inc 1980

      15 Doyle, PJ., "An application of Rasch analysis to the measurement of communicative functioning" 48 : 1412-1428, 2005

      16 Frattali, CM., "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functional assessment of communication skills for adults(ASHA FACS)"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Association 1995

      17 Donovan NJ., "Adding meaning to measurement: initial Rasch analysis of the ASHA FACS Social Communication Subtest" 20 (20): 362-373, 2006

      18 Goverover, Y., "Actual reality: a new approach to functional assessment in persons with multiple sclerosis" 91 : 252-260,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Persons Disabilies ->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RI Kore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Mycobiology -> 재활복지
      외국어명 : Mycobiology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7 1.53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