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Enhanced Milieu Teaching on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6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ability related to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tructured intervention room setting for Enhanced Milieu Teach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ou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is study,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identify a potential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embedded in the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situation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ncluded the frequency of the exact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emitted by the participants.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would be effective to increase participants’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maintained in the follow-up post-intervention probe phas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ability related to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tructured intervention room setting f...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ability related to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tructured intervention room setting for Enhanced Milieu Teach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ou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is study,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identify a potential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embedded in the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situation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ncluded the frequency of the exact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emitted by the participants.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would be effective to increase participants’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maintained in the follow-up post-intervention probe phas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4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독립변인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환경중심 언어중재 전략과 함께 환경 조절 전략과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을 포함한 것으로, 각 전략의 세부 절차를 단계적으로 적용하며 진행되었다. 중재는 연구 대상 아동들이 내원하고 있는 아동발달센터 내 일대일 중재가 이루어지는 언어치료실에서 15회기씩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으로 ‘시작 발화’와 ‘반응 발화’를 포함하는 자발화와 ‘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진술하기, 주관적 진술하기’의 기능적 의사소통의 유형 빈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활용하였으며, 중재 전 기초선, 중재, 유지와 일반화를 위한 중재 후 기초선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중재 전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간과 중재 후 기초선에서 나타난 연구 대상들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이 나타나는 빈도가 증가하였다.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을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을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4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독립변인인 강화된 환경중심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4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독립변인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환경중심 언어중재 전략과 함께 환경 조절 전략과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을 포함한 것으로, 각 전략의 세부 절차를 단계적으로 적용하며 진행되었다. 중재는 연구 대상 아동들이 내원하고 있는 아동발달센터 내 일대일 중재가 이루어지는 언어치료실에서 15회기씩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으로 ‘시작 발화’와 ‘반응 발화’를 포함하는 자발화와 ‘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진술하기, 주관적 진술하기’의 기능적 의사소통의 유형 빈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활용하였으며, 중재 전 기초선, 중재, 유지와 일반화를 위한 중재 후 기초선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중재 전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간과 중재 후 기초선에서 나타난 연구 대상들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이 나타나는 빈도가 증가하였다.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을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을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영, "환경중심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아동의 자발적인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5 (5): 31-56, 2006

      2 이영철,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아의 언어습득과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16 (16): 103-124, 1995

      3 전병운, "확장된 환경 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발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 5 (5): 46-78, 2005

      4 노은호, "통합상황에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유아의 자발화와 반향어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5 노은호, "통합상황에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화와 반향어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 10 (10): 169-193, 2010

      6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7 이소현, "장애영유아를 위한 자연적 중재의 개념과 실행의 구성 요소" 9 (9): 275-295, 2002

      8 Willis, C, "자폐범주성 장애유아 교육" 시그마프레스 2013

      9 이승환, "의사소통장애와 언어·청능치료" 학지사 9-36, 2005

      10 Owens, R. E, "의사소통장애: 전 생애적 조망" 시그마프레스 2010

      1 김민영, "환경중심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아동의 자발적인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5 (5): 31-56, 2006

      2 이영철,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아의 언어습득과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16 (16): 103-124, 1995

      3 전병운, "확장된 환경 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발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 5 (5): 46-78, 2005

      4 노은호, "통합상황에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유아의 자발화와 반향어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5 노은호, "통합상황에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화와 반향어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 10 (10): 169-193, 2010

      6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3

      7 이소현, "장애영유아를 위한 자연적 중재의 개념과 실행의 구성 요소" 9 (9): 275-295, 2002

      8 Willis, C, "자폐범주성 장애유아 교육" 시그마프레스 2013

      9 이승환, "의사소통장애와 언어·청능치료" 학지사 9-36, 2005

      10 Owens, R. E, "의사소통장애: 전 생애적 조망" 시그마프레스 2010

      11 Paul, R, "영유아에서 청소년까지 언어발달장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의사소통하기" 박학사 2013

      12 Greer, R. D, "언어행동분석" 시그마프레스 2011

      13 Owens, R. E, "언어 장애: 기능적 평가 및 중재" 시그마프레스 2012

      14 홍경훈, "아동의 의사소통의도 습득에 대한 종단연구" 6 (6): 17-39, 2001

      15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2

      16 김태련,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6

      17 배소영, "아동 언어장애" 학지사 121-147, 2005

      18 유현주, "스크립트 문맥을 이용한 중재가 자폐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15 : 99-120, 1998

      19 차선희, "또래와의 활동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20 김은정,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학생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1 박지은,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165-192, 2014

      22 이주영,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237-272, 2015

      23 Alpert, C. L, "Training parents as milieu language teacher" 16 (16): 31-52, 1992

      24 Kaiser, A. P, "The effects of trainer-implemented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soci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22 (22): 39-54, 2002

      25 Kaiser, A. P, "The effects of group training and individual feedback on parent use of milieu teaching" 16 (16): 39-48, 1995

      26 Carter, M, "The Behavior Chain Interruption Strategy : A Review of Research and Discussion of Future Directions" 26 (26): 37-49, 2001

      27 Kazdin, A. E, "Single-case research designs methods for clinical and applied settings" Oxford 2010

      28 Kaiser, A. P, "Preparing Parent Trainers An Experimental Analysis of Effects on Trainers, Parents, and Children" 15 (15): 385-414, 1995

      29 Kaiser, A. P, "Parent-implemented language intervention: An environmental system perspective" Brookes 63-84, 1993

      30 Odom, S. L, "Mainstreaming at the preschool level : Potential barriers and tasks for the field" 10 (10): 48-61, 1990

      31 Hart, B, "Incidental teaching of language in the preschool" 8 : 411-420, 1975

      32 Kaiser, A. P, "Generalized effects of enhanced milieu teaching" 37 (37): 1320-1340, 1994

      33 Kaiser, A. P, "Causes and effects in communication and language intervention" Brookes 1992

      34 Witt, J. C, "Assessing the acceptability of behavioral intervention used in classrooms" 20 (20): 510-517, 1983

      35 McGee, G, "An incidental teaching approach to early intervention for toddlers with autism" 24 : 133-146,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