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연구동향 및 증거기반실제 평가 =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Review of the Intervention Research and Evaluation for Evidence-Based Pract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66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synthesis of research studies on interventions to increase social skill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valuate whether a given intervention meets the criteria for evidence-based practice. Method: Thirty-six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8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of which 14 were Korean studies and 22 international studi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ynthesis showed that a majority of Korean studies put an emphasis on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type was ‘teaching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er-mediated intervention’ was also implemented in international research. A majority of studies used single-case designs and collected observation data to evaluate intervention effects. There were no interventions to meet the criteria of evidence-based practice. Conclusion: Recommendations to guide futur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ovided.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synthesis of research studies on interventions to increase social skill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valuate whether a given intervention meets the criteria for evidence-based practice. M...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synthesis of research studies on interventions to increase social skill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valuate whether a given intervention meets the criteria for evidence-based practice. Method: Thirty-six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8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of which 14 were Korean studies and 22 international studi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ynthesis showed that a majority of Korean studies put an emphasis on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type was ‘teaching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er-mediated intervention’ was also implemented in international research. A majority of studies used single-case designs and collected observation data to evaluate intervention effects. There were no interventions to meet the criteria of evidence-based practice. Conclusion: Recommendations to guide futur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ovi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관련 연구의 전반적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에서 개발된 중재가 증거기반실제로써 충족되는지 여부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2010년부터 2018년 4월까지 출판된 연구 총 36편(국내연구 14편, 국외연구 22편)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 대상 연구와 지적장애 청소년 대상 연구가 유사하게 이루어졌지만 국내에서는 지적장애 청소년 대상 연구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루어졌다. 사회성 기술 중재로써 장애청소년 중심 교수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나 국외에서는 또래 중심 교수도 연구되고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중재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증거기반실제 준거를 충족시키는 사회성 기술 중재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사회성 기술 중재 활성화를 위한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관련 연구의 전반적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에서 개발된 중재가 증거기반실제로써 충족되는지 여부를 체계적으로 평...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관련 연구의 전반적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에서 개발된 중재가 증거기반실제로써 충족되는지 여부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2010년부터 2018년 4월까지 출판된 연구 총 36편(국내연구 14편, 국외연구 22편)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 대상 연구와 지적장애 청소년 대상 연구가 유사하게 이루어졌지만 국내에서는 지적장애 청소년 대상 연구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루어졌다. 사회성 기술 중재로써 장애청소년 중심 교수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나 국외에서는 또래 중심 교수도 연구되고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중재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증거기반실제 준거를 충족시키는 사회성 기술 중재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사회성 기술 중재 활성화를 위한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훈영, "파워카드 전략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사회적 행동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1-17, 2017

      2 임은숙,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11-227, 2011

      3 우지연,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성 중재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24, 2010

      4 김우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성 중재 연구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5-55, 2013

      5 김유리, "지적장애 청소년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47-68, 2011

      6 김주연, "지역사회중심의 여가활동지도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볼링기술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09-229, 2012

      7 변관석, "중심축 반응 훈련 원리를 적용한 연극놀이가 자폐 범주성 장애 중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15 (15): 35-57, 2016

      8 조성욱,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직업재활학회 21 (21): 117-140, 2011

      9 서민경,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직업기술 중재 연구의 연구동향 및 질적 분석: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9 (19): 263-290, 2017

      10 이혜은,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사회성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205-218, 2015

      1 정훈영, "파워카드 전략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사회적 행동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1-17, 2017

      2 임은숙,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11-227, 2011

      3 우지연,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성 중재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24, 2010

      4 김우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성 중재 연구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5-55, 2013

      5 김유리, "지적장애 청소년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프로그램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47-68, 2011

      6 김주연, "지역사회중심의 여가활동지도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볼링기술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09-229, 2012

      7 변관석, "중심축 반응 훈련 원리를 적용한 연극놀이가 자폐 범주성 장애 중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15 (15): 35-57, 2016

      8 조성욱,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직업재활학회 21 (21): 117-140, 2011

      9 서민경,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직업기술 중재 연구의 연구동향 및 질적 분석: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9 (19): 263-290, 2017

      10 이혜은,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사회성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205-218, 2015

      11 김경민, "손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311-330, 2011

      12 김경애,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시설거주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적 적응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27-239, 2011

      13 변관석,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교수가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수행과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국립특수교육원 24 (24): 34-63, 2017

      14 전인순, "멀티미디어 기반의 또래 모델링-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235-267, 2011

      15 박경희,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데이트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93-121, 2014

      16 심은정,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친구관계 인식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9 (19): 21-49, 2017

      17 이유리,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289-315, 2011

      18 Aubrey Hui Shyuan Ng, "Using the Teaching Interactions Procedure to Teach Social Skills to Children With Autism and Intellectual Disability"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AIDD) 121 (121): 501-519, 2016

      19 Robert L. Koegel, "Using Perseverative Interests to Improve Interactions Between Adolescents With Autism and Their Typical Peers in School Settings" SAGE Publications 14 (14): 133-141, 2012

      20 Sitlington, P. L,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arson 2006

      21 Horner, R. H, "The use of single-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71 : 165-179, 2005

      22 Kim, J. A, "The prevalence of anxiety and mood problems among children with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4 (4): 117-132, 2000

      23 Catharine Church, "The Social, Behavioral, and Academic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SAGE Publications 15 (15): 12-20, 2016

      24 김혜민, "The Effects of the Community Dance Program on Socialization and Emotional Competency in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국특수체육학회 22 (22): 39-53, 2014

      25 Orit E. Hetzroni, "The Effect of Educational Software, Video Modelling and Group Discussion on Social-Skill Acquisition Among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iley 30 (30): 757-773, 2017

      26 Elizabeth A. Laugeson, "The ABC’s of Teaching Social Skills to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the Classroom: The UCLA PEERS ® Program" Springer Nature 44 (44): 2244-2256, 2014

      27 Rossetti, Z. S, "That's how we do it”: Friendship work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autism or developmental disability" 36 (36): 23-33, 2011

      28 Spooner, F, "Teaching stud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Guildford Press 92-122, 2011

      29 Bremer, C. D, "Teaching social skills" 3 (3): 1-5, 2004

      30 Mary Jane Weiss, "Teaching Social Skills to People with Autism" SAGE Publications 25 (25): 785-802, 2016

      31 Leffert, J. S, "Social cognition : A key to understanding adaptive behavior in individual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25 : 135-181, 2002

      32 Morgen Alwell, "Social and Communicative Interventions and Transition Outcomes for Youth with Disabilities" SAGE Publications 32 (32): 94-107, 2009

      33 Brian Reichow,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Evaluation for Evidence-Based Practices within a Best Evidence Synthesis Framework" Springer Nature 40 (40): 149-166, 2010

      34 Susan Williams White, "Social Skills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 Review of the Intervention Research" Springer Nature 37 (37): 1858-1868, 2007

      35 Brooke Ingersoll, "Social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Autism and Significant Intellectual Disability: Initial Efficacy of Reciprocal Imitation Training"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AIDD) 118 (118): 247-261, 2013

      36 Johnny L. Matson, "Reliability of the Matson Evaluation of Social Skills in Individuals with Severe Retardation (MESSIER)" SAGE Publications 23 (23): 647-661, 2016

      37 Gersten, R, "Quality indicators for group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71 : 149-164, 2005

      38 Weiten, W, "Psychology applied to modern life: Adjustment in the 21st century" Cengage Learning 2009

      39 Mary E. Stewart, "Presentation of depression in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SAGE Publications 10 (10): 103-116, 2016

      40 Agnes Kozma, "Outcomes in Different Residential Setting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AIDD) 114 (114): 193-222, 2009

      41 Mathias Lasgaard,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in Adolescent Boy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pringer Nature 40 (40): 218-226, 2010

      42 Gresham, F. M, "Interpreting outcomes of social skills training for students with high-incidence disabilities" 67 (67): 331-344, 2001

      43 Carter, E. W,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Pearson 371-403, 2016

      44 Carter, E. W,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among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general education peers : Effective interventions" 30 (30): 179-193, 2005

      45 Copeland, S. R, "Increasing access to general education :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in a high school peer support program" 25 (25): 342-352, 2004

      46 Robert Koegel, "Improving Socializ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SD by Using Their Preferred Interests" Springer Nature 43 (43): 2121-2134, 2013

      47 Katherine M. Walton, "Improving Social Skills in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utism and Severe to Profound Intellectual Disabili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Springer Nature 43 (43): 594-615, 2013

      48 Jennifer Kurth, "Impact of Setting and Instructional Context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AGE Publications 46 (46): 36-48, 2010

      49 Mitchel, K, "Group social skills training for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16 (16): 52-63, 2010

      50 Susan W. White, "Group Social Skills Instruction for Adolescen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SAGE Publications 25 (25): 209-219, 2010

      51 Olçay-Gül, S, "Family generated and delivered social story intervention : Acquisi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of social skills in youths with ASD" 51 (51): 67-78, 2016

      52 Melissa A. Sreckovic, "Examining the Efficacy of Peer Network Interventions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pringer Nature 47 (47): 2556-2574, 2017

      53 Wang, P, "Evidence-based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 A meta-analysis" 44 (44): 318-342, 2009

      54 Botsford, A. L, "Evaluation of a group intervention to assist aging parents with permanency planning for an adult offspring with special needs" 49 (49): 423-431, 2004

      55 Erik W. Carter, "Efficacy of Peer Support Intervention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AGE Publications 38 (38): 207-221, 2016

      56 Elizabeth E. Biggs, "Efficacy of Peer Support Arrangements to Increase Peer Interaction and AAC Use"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AIDD) 122 (122): 25-48, 2017

      57 Julia M. Hochman, "Efficacy of Peer Networks to Increase Social Connect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Autism Spectrum Disorder" SAGE Publications 82 (82): 96-116, 2015

      58 Jennifer M. Asmus, "Efficacy and Social Validity of Peer Network Intervention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meric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AIDD) 122 (122): 118-137, 2017

      59 Hughes, C, "Effects of a social skills interven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and their general education peers" 36 (36): 46-61, 2011

      60 Joshua B. Plavnick, "Effects of a School-Base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Intellectual Disability" Springer Nature 45 (45): 2674-2690, 2015

      61 Jennifer B. Ganz, "Effects of Peer-Mediated Implementation of Visual Scripts in Middle School" SAGE Publications 36 (36): 378-398, 2012

      62 Yetunde C. Adeniyi, "Effect of a classroom-based intervention on the social skills of pupi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Southwest Nigeria" Springer Nature 10 (10): 1-12, 2016

      63 National Research Council, "Educating children with autism" National Academies Press 2001

      64 Alexander, M. G. F, "Developing the social skills of young adult special olympics athletes" 46 (46): 297-310, 2011

      65 Loretta Sheppard, "Developing Skills in Everyday Activities and Self-Determination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AGE Publications 32 (32): 393-405, 2010

      66 Sigman, M,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autism, down syndrome, and developmental delays"

      67 Caldarella, P, "Common dimensions of social skill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A taxonomy of positive behaviors" 26 (26): 264-278, 1997

      68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CEC standards for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69 Bridget K. Dolan, "Brief Report: Assessment of Intervention Effects on In Vivo Peer Interactions in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Springer Nature 46 (46): 2251-2259, 2016

      70 Scheuermann, B, "Autism : Teaching does make a difference" Wadsworth Thomson Learning 2002

      71 Nick Elksn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e Need for Occupational Social Skills Training" Informa UK Limited 9 (9): 91-105, 2001

      72 Hughes, C, "A peer-delivered social interaction interven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utism" 38 (38): 1-16, 2013

      73 Sima Gerber,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Languag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on the Autistic Spectrum"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23 (23): 74-94, 2003

      74 교육부, "2018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