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국어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에 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Teacher Questioning and Feedback in Korean Language Classes at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6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stage of teacher questioning and feedback in Korean language classes at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the contents from nine Korean language classes ordinarily provided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analysis provided several results. First, an average of 59 questions was asked in the first class. The number of closed questions was greatest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Second, the number of closed questions was greatest in the development stage among the different stages of Korean language classes. Third, there was an average of 42 feedback instances in the first class, and the amount of positive feedback was greatest. Lastly, the amount of positive feedback among teacher feedback was greatest in the development stage among the different Korean language class stages. Discuss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ly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planning effective Korean language classes.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stage of teacher questioning and feedback in Korean language classes at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the contents from nine K...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stage of teacher questioning and feedback in Korean language classes at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the contents from nine Korean language classes ordinarily provided in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The analysis provided several results. First, an average of 59 questions was asked in the first class. The number of closed questions was greatest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Second, the number of closed questions was greatest in the development stage among the different stages of Korean language classes. Third, there was an average of 42 feedback instances in the first class, and the amount of positive feedback was greatest. Lastly, the amount of positive feedback among teacher feedback was greatest in the development stage among the different Korean language class stages. Discuss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ly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planning effective Korean language clas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교실 수업 개선을 기초 자료 수집을 위하여 지적장애 특수학교 국어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 발문과 피드백의 유형 및 수업 단계별로 나타난 교사 발문과 피드백의 양상에 대한 사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국어 수업 가운데 9차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의 결과, 첫째, 국어 수업에 나타난 발문은 1차시 당 평균 59회 발문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발문 유형은 폐쇄적 발문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 단계별로 나타난 교사의 발문 양상은 도입 단계에서 인지·기억적 발문, 전개 단계에서 인지·기억적 발문과 수렴적 발문, 정리 단계에서는 인지·기억적 발문, 수렴적 발문, 운영적 발문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드백은 1차시 당 평균 42회의 피드백이 나타났고, 피드백의 유형은 긍정적 피드백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업 단계별로 나타난 교사의 피드백 양상은 도입 단계에서 긍정적 피드백, 전개 단계에서 긍정적 피드백, 교정적 피드백, 유보적 피드백, 정리 단계에서 긍정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국어 수업에 대하여 논의하고, 효과적인 수업을 계획할 때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교실 수업 개선을 기초 자료 수집을 위하여 지적장애 특수학교 국어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 발문과 피드백의 유형 및 수업 단계별로 나타난 교사 발문과 ...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교실 수업 개선을 기초 자료 수집을 위하여 지적장애 특수학교 국어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 발문과 피드백의 유형 및 수업 단계별로 나타난 교사 발문과 피드백의 양상에 대한 사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국어 수업 가운데 9차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의 결과, 첫째, 국어 수업에 나타난 발문은 1차시 당 평균 59회 발문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발문 유형은 폐쇄적 발문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 단계별로 나타난 교사의 발문 양상은 도입 단계에서 인지·기억적 발문, 전개 단계에서 인지·기억적 발문과 수렴적 발문, 정리 단계에서는 인지·기억적 발문, 수렴적 발문, 운영적 발문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드백은 1차시 당 평균 42회의 피드백이 나타났고, 피드백의 유형은 긍정적 피드백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업 단계별로 나타난 교사의 피드백 양상은 도입 단계에서 긍정적 피드백, 전개 단계에서 긍정적 피드백, 교정적 피드백, 유보적 피드백, 정리 단계에서 긍정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국어 수업에 대하여 논의하고, 효과적인 수업을 계획할 때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병운,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3 (13): 3-26, 2006

      2 홍재영,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한국융합학회 8 (8): 215-224, 2017

      3 최상배, "특수학급 수업의 플랜더스 언어상호작용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8 (18): 117-135, 2011

      4 박자영,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259-277, 2011

      5 이혜전,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개념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97-223, 2012

      6 박남수, "특수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특수학교 교실 수업연구의 대안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18, 2010

      7 이혜전,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 예비문항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 (20): 229-261, 2013

      8 김상신, "특수교사의 발문과 탐문 유형 분석 및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45-165, 2014

      9 박경옥, "특수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 전문성의 차이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89-114, 2014

      10 박계신, "특수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용교수지식 계발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55-74, 2011

      1 전병운,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3 (13): 3-26, 2006

      2 홍재영,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한국융합학회 8 (8): 215-224, 2017

      3 최상배, "특수학급 수업의 플랜더스 언어상호작용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8 (18): 117-135, 2011

      4 박자영,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259-277, 2011

      5 이혜전,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개념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97-223, 2012

      6 박남수, "특수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특수학교 교실 수업연구의 대안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18, 2010

      7 이혜전,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 예비문항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 (20): 229-261, 2013

      8 김상신, "특수교사의 발문과 탐문 유형 분석 및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45-165, 2014

      9 박경옥, "특수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 전문성의 차이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89-114, 2014

      10 박계신, "특수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용교수지식 계발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55-74, 2011

      11 전병운, "특수교사 수업 평가 기준 개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53-75, 2011

      12 김정옥, "초등학교 국어과 우수 수업과 일반 수업에서 사고력 향상을 발문 및 피드백 비교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13 임태민, "초등수학 수업에서의 피드백 유형 및 학생의 반응" 초등교육연구원 20 (20): 37-54, 2009

      14 이장원, "초등 특수학급 국어과 수업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

      15 김승현, "초등 예비 교사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화법학회 (25) : 41-73, 2014

      16 박만구, "초등 수학교과서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 한국수학교육학회 13 (13): 25-35, 2010

      17 홍애령, "초등 무용교육자의 정체성과 수업 전문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초등체육학회 22 (22): 107-118, 2017

      18 최상배, "청각장애학교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7-43, 2012

      19 박서윤, "청각장애 중학교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분석 : 구화 중심의 국어과 수업 사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20 김하니, "정신지체학교 국어과 수업에서 학생과 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1 전병운, "정신지체 특수학교 수업과정 분석 연구" 34 (34): 87-103, 1999

      22 김경옥,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03-124, 2012

      23 홍재영, "시각장애학교 체육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1 (31): 89-106, 2015

      24 홍재영, "시각장애 특수학교 미술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0 (30): 27-44, 2014

      25 강완, "수학 수업 발문유형 분석 및 대안 탐색 - 신임 교사 사례 연구 -" 한국수학교육학회 14 (14): 293-302, 2011

      26 변영계, "수업장학과 수업 분석" 학지사 2008

      27 박수옥,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유아특수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에 미치는 영향." 4 (4): 135-157, 2004

      28 백소영, "수업 시연에 나타나는 예비 수학교사의 발문 유형과 특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3 (53): 400-415, 2014

      29 문은식,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초·중학생의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71-288, 2003

      30 이창덕, "국어 수업대화에서 교사 피드백 방식 분석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6) : 173-206, 2018

      31 이창덕, "교사 질문발화와 학생 반응에 대한 교사 피드백 발화 연구" 15 : 177-216, 2008

      32 최성규, "교내자율장학의 필요성 인식이 특수학교 교사의 수업 질 개선 및 전문성신장에 미치는 효과" 6 (6): 1-13, 2011

      33 오정숙,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 특수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537-556, 2011

      34 Wood, J. W, "Teaching Students in inclusive setting: Adapting and accommodating instruction" Pearson Education, Inc 2006

      35 LeNoir, W. D, "Teacher Questions and schema activation" 66 (66): 349-353, 1993

      36 El-Koumy, A. S. A, "Review of recent studies dealing with techniques for classroom interaction" 1997

      37 Hart, B,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veryday experience of young American children" Brookes Publishing Campany 1995

      38 Shulman, L. S, "Knowledge of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57 : 1-21, 1987

      39 Friend, M, "Includ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 practical guide for classroom teachers" Allyn & Bacon 2006

      40 권혁실, "Flanders의 수업분석방법에 의한 중학교 정신지체 특수학급 교사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8 (8): 68-90, 2013

      41 Simmons, B, "A Linguistic analysis of disadvantaged kindergarten children’s verbal response to questions" 69 (69): 253-258,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