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병운,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3 (13): 3-26, 2006
2 홍재영,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한국융합학회 8 (8): 215-224, 2017
3 최상배, "특수학급 수업의 플랜더스 언어상호작용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8 (18): 117-135, 2011
4 박자영,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259-277, 2011
5 이혜전,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개념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97-223, 2012
6 박남수, "특수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특수학교 교실 수업연구의 대안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18, 2010
7 이혜전,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 예비문항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 (20): 229-261, 2013
8 김상신, "특수교사의 발문과 탐문 유형 분석 및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45-165, 2014
9 박경옥, "특수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 전문성의 차이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89-114, 2014
10 박계신, "특수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용교수지식 계발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55-74, 2011
1 전병운,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3 (13): 3-26, 2006
2 홍재영,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한국융합학회 8 (8): 215-224, 2017
3 최상배, "특수학급 수업의 플랜더스 언어상호작용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8 (18): 117-135, 2011
4 박자영,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259-277, 2011
5 이혜전,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개념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97-223, 2012
6 박남수, "특수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특수학교 교실 수업연구의 대안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18, 2010
7 이혜전,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 예비문항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 (20): 229-261, 2013
8 김상신, "특수교사의 발문과 탐문 유형 분석 및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45-165, 2014
9 박경옥, "특수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 전문성의 차이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89-114, 2014
10 박계신, "특수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용교수지식 계발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55-74, 2011
11 전병운, "특수교사 수업 평가 기준 개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53-75, 2011
12 김정옥, "초등학교 국어과 우수 수업과 일반 수업에서 사고력 향상을 발문 및 피드백 비교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13 임태민, "초등수학 수업에서의 피드백 유형 및 학생의 반응" 초등교육연구원 20 (20): 37-54, 2009
14 이장원, "초등 특수학급 국어과 수업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
15 김승현, "초등 예비 교사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화법학회 (25) : 41-73, 2014
16 박만구, "초등 수학교과서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발문" 한국수학교육학회 13 (13): 25-35, 2010
17 홍애령, "초등 무용교육자의 정체성과 수업 전문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초등체육학회 22 (22): 107-118, 2017
18 최상배, "청각장애학교 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7-43, 2012
19 박서윤, "청각장애 중학교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분석 : 구화 중심의 국어과 수업 사례"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20 김하니, "정신지체학교 국어과 수업에서 학생과 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1 전병운, "정신지체 특수학교 수업과정 분석 연구" 34 (34): 87-103, 1999
22 김경옥,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03-124, 2012
23 홍재영, "시각장애학교 체육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1 (31): 89-106, 2015
24 홍재영, "시각장애 특수학교 미술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0 (30): 27-44, 2014
25 강완, "수학 수업 발문유형 분석 및 대안 탐색 - 신임 교사 사례 연구 -" 한국수학교육학회 14 (14): 293-302, 2011
26 변영계, "수업장학과 수업 분석" 학지사 2008
27 박수옥,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유아특수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에 미치는 영향." 4 (4): 135-157, 2004
28 백소영, "수업 시연에 나타나는 예비 수학교사의 발문 유형과 특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3 (53): 400-415, 2014
29 문은식,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초·중학생의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71-288, 2003
30 이창덕, "국어 수업대화에서 교사 피드백 방식 분석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6) : 173-206, 2018
31 이창덕, "교사 질문발화와 학생 반응에 대한 교사 피드백 발화 연구" 15 : 177-216, 2008
32 최성규, "교내자율장학의 필요성 인식이 특수학교 교사의 수업 질 개선 및 전문성신장에 미치는 효과" 6 (6): 1-13, 2011
33 오정숙,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 특수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537-556, 2011
34 Wood, J. W, "Teaching Students in inclusive setting: Adapting and accommodating instruction" Pearson Education, Inc 2006
35 LeNoir, W. D, "Teacher Questions and schema activation" 66 (66): 349-353, 1993
36 El-Koumy, A. S. A, "Review of recent studies dealing with techniques for classroom interaction" 1997
37 Hart, B,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veryday experience of young American children" Brookes Publishing Campany 1995
38 Shulman, L. S, "Knowledge of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57 : 1-21, 1987
39 Friend, M, "Includ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 practical guide for classroom teachers" Allyn & Bacon 2006
40 권혁실, "Flanders의 수업분석방법에 의한 중학교 정신지체 특수학급 교사의 언어 상호작용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8 (8): 68-90, 2013
41 Simmons, B, "A Linguistic analysis of disadvantaged kindergarten children’s verbal response to questions" 69 (69): 253-258,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