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행정법학'과 기본권 도그마틱 = ‘New Administrative Law’ and Fundamental Rights Doctri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18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ministrative legal dogma’ and ‘dogma of constitution’ have been developed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constitutional trials while accommodating social change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administrative practice. In ...

      ‘Administrative legal dogma’ and ‘dogma of constitution’ have been developed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constitutional trials while accommodating social change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hanges in administrative practice. In Korea, as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filled the vacuum of the relief caused by the limited types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 fundamental rights doctrine formed through the constitutional trial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dministrative legal dogma(so-called ‘constitutionalization of administrative law’).
      Evaluations of ‘constitutionalization of administrative law’ have been divided into various branches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law, and there have been suggestions to point out the problems and build an independent identity of administrative law.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deny the mutual relationship in terms of control of public administration.
      Meanwhile, the movement to establish a new direction for administrative law research has continued around Germany(so-called "new administrative law"). Looking at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administrative law’ from the perspective of ‘new administrative law’, the study of the fundamental rights doctrine can be worthwhile in that it can not only promot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cause of the openness of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damental rights review, but also be research results on "general, abstract steering of nation".
      Since the new administrative law assumes that the recipient is legislator, not judicial institution, the possibility of securing their own identity in administrative law distinct from fundamental rights doctrine is cle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행정법학과 헌법학 도그마틱은 사회적 변화와 기술발전 및 국가행정실무의 변화를 수용해 나가면서 각각 행정소송과 헌법재판을 마중물로 삼아 발전해 왔는데, 그 과정에서 각 국의 행정법...

      행정법학과 헌법학 도그마틱은 사회적 변화와 기술발전 및 국가행정실무의 변화를 수용해 나가면서 각각 행정소송과 헌법재판을 마중물로 삼아 발전해 왔는데, 그 과정에서 각 국의 행정법원과 헌법재판소 간 관계 등을 매개로 하여 상호 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쳐 왔다.
      한국에서는 행정소송의 유형이 한정된 데서 초래되었던 권리구제의 공백을 헌법재판소가 메꾸어 오면서 헌법재판을 통해 형성된 기본권 도그마틱이 행정법 도그마틱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왔는데(이른바 행정법의 헌법화 현상), 그에 관한 평가가 행정법학계에서 여러 갈래로 나뉘어 왔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며 행정법학의 독자적 정체성을 구축하려는 제언도 있어왔으나, 공행정의 통제라는 측면에서 상호 간 교호관계를 부인하기는 어렵다.
      한편, 행정환경의 변화와 EU체제의 정착 등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행정실무에 주목하며, 행정소송 중심 행정법 도그마틱에서 탈피하여 일반, 추상적인 제어 및 국가의 조종작용 등을 대상으로 학제 간 연구방법론 등을 도입하여 새롭게 행정법 연구방향을 정립해 나가려는 움직임이 독일을 중심으로 계속되어 왔다(소위 ‘신행정법학’). 신행정법학의 관점에서 행정법의 헌법화 현상을 조망해 본다면, 기본권 도그마틱은 ① 상당부분 ‘일반, 추상적인 제어행위’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② 헌법조항의 개방성과 주요 기본권 심사수단들의 특성을 고려할 때 ‘학제 간 연구를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새롭게 발견될 수 있다.
      ‘사회문제 해결에 적실성 있는 연구’를 표방함에 따라 최적화 명령의 논리에 보다 친숙한 신행정법학은 수신자를 일응 사법기관이 아닌 입법자 등으로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본권 도그마틱과 구별되는 행정법학 독자적 정체성을 확보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여실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우, "현대적 민주법치국가에 있어서 행정통제의 구조적 특징과 쟁점"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9) : 105-133, 2011

      2 계인국, "현대 행정법학 방법론의 전개양상에 대한 소고 - 조종이론과의 접점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87) : 1-40, 2017

      3 故류지태교수 10주기 추모논문집 간행위원회, "현대 행정법의 이해" 박영사 2018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20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21

      6 하명호, "헌법재판과 행정법이론 - 진입규제의 수단으로서 허가ㆍ특허를 글감으로 -" 한국공법학회 45 (45): 155-180, 2016

      7 임효준, "헌법상 검열금지 법리에 관한 연구 : -매체환경 변화와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2021

      8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21

      9 김민호, "헌(憲), 헌법, 그리고 행정법" 한국행정법학회 (19) : 2020

      10 박연욱, "행정재판의 현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소고" 2018

      1 이원우, "현대적 민주법치국가에 있어서 행정통제의 구조적 특징과 쟁점"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9) : 105-133, 2011

      2 계인국, "현대 행정법학 방법론의 전개양상에 대한 소고 - 조종이론과의 접점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87) : 1-40, 2017

      3 故류지태교수 10주기 추모논문집 간행위원회, "현대 행정법의 이해" 박영사 2018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20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21

      6 하명호, "헌법재판과 행정법이론 - 진입규제의 수단으로서 허가ㆍ특허를 글감으로 -" 한국공법학회 45 (45): 155-180, 2016

      7 임효준, "헌법상 검열금지 법리에 관한 연구 : -매체환경 변화와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2021

      8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21

      9 김민호, "헌(憲), 헌법, 그리고 행정법" 한국행정법학회 (19) : 2020

      10 박연욱, "행정재판의 현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소고" 2018

      11 최선웅, "행정소송에서의 재량행위에 대한 사법심사사유" 행정법이론실무학회 (59) : 17-61, 2019

      12 김중권, "행정법이 헌법에 있고, 헌법이 행정법에 있기 위한 모색 – 민주적 법치국가원리를 바르게 구현하기 위한 행정법과 헌법과의 대화 –" 한국헌법학회 26 (26): 207-253, 2020

      13 정은영, "행정법상 비례원칙에 관한 연구-헌법상 비례원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20

      14 박정훈, "행정법과 헌법-憲및 憲法의 개념과 행정법의 정체성-" 한국행정법학회 (19) : 2020

      15 김현준, "행정법 도그마틱" 법문사 2020

      16 김유환, "합법성 감사와 합목적성 감사의 공법적 연구" 감사원 2019

      17 홍준형, "한국행정법의 쟁점" 서울대학교출판문회원 2018

      18 김중권, "학문연구의 동향과 쟁점" 대한민국학술원 2018

      19 한견우, "프랑스 행정법의 성립・발전과 변혁 그리고 한국행정법에 끼친 영향과 과제" 한국행정법학회 (18) : 2020

      20 강화연, "프랑스 행정법상 ‘법의 일반원칙’과 헌법원리와의 관계" 행정법이론실무학회 (46) : 25-49, 2016

      21 윤영미, "재산권 보장과 헌법재판소의 역할" 한국헌법학회 21 (21): 227-265, 2015

      22 박진완, "자유권적 기본권의 도그마틱과 기본권 이론에 대한 검토" 한국법학원 170 (170): 335-389, 2019

      23 함인선, "일본 행정법학의 구조와 전개" 한국행정법학회 (18) : 2020

      24 하명호, "위험사회에 대처하는 한국 행정소송제도의 문제점과 과제" 행정법이론실무학회 (47) : 29-56, 2016

      25 김중권, "위험방지와 행정구제-국가의 기본권적 보호의무와 행정구제시스템" 10 (10): 2014

      26 이부하, "원칙이론에 의한 헌법재판적 형량- 알렉시(Alexy) 교수의 원칙이론에 대한 비판을 겸하여 -" 법학연구원 (46) : 37-58, 2014

      27 권영호, "오토 마이어와 독일 공법학" 법과정책연구원 23 (23): 51-75, 2017

      28 전광석, "사회적 기본권 이론의 형성과 전개-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중심으로-" 헌법재판소 29 : 143-216, 2018

      29 사법정책연구원, "법원의 헌법판단을 위한 위헌심사기준 연구" 2018

      30 최승훈, "법원의 명령, 규칙심사의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최근의 규범통제 재판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20

      31 김연, "리스크사회에 대비한 행정부작위의 통제수단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20

      32 이진수, "독일의 행정통제 척도에 관한 연구 ― 독일 연방감사원의 합법성 감사와 합목적성 감사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7 (47): 59-87, 2019

      33 김성수, "독일의 新思潮 행정법학 사반세기 – 평가와 전망" 비교법학연구소 51 : 321-353, 2017

      34 김광수, "도그마틱과 행정법학"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16 (16): 177-205, 2020

      35 사법정책연구원, "규제개혁과 사법심사에 관한 연구" 2017

      36 이재홍, "과잉금지원칙의 이론과 실무" 경인문화사 2021

      37 신현석, "경제성원칙의 헌법적 수용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20

      38 박정훈, "韓國 行政法學 方法論의 形成·展開·發展" 한국공법학회 44 (44): 161-191, 2015

      39 정남철, "獨逸 行政法方法論의 發展과 變化 - 독일 행정법학의 성립부터 신행정법론의 등장까지 -" 한국법학원 181 : 45-79, 2020

      40 김남진, "時代와 호흡을 함께 하는 公法學과 司法" 한국공법학회 44 (44): 1-16, 2016

      41 야마모토 류지, "日本の行政法および行政法学の発展と課題= The Development and Challenges of Japanese Administrative Law and Administrative Law Studies" 한국행정법학회 18 (18): 2020

      42 최진수, "成年 行政法院이 나아갈 길" 법조협회 68 (68): 42-73, 2019

      43 Martin Burgi, "Zur Lage der Verwaltungsrechtswissenschaft" Duncker & Humblot 2017

      44 Hoffmann-Riem, "Grundlagen des Verwaltungsrechts" Verlag C. H. Beck Munchen 2012

      45 Rainer Pitschas, "GVwR Ⅲ, 2. Aufl, §42 Rn 75f. Andreas Voßkuhle, §1 Neue Verwaltungswissenschft"

      46 김중권, "EU행정법론" 법문사 2018

      47 Michael Gerhardt, "Allgemeines Verwaltungsrecht - zur Tragfähigkeit eines Konzepts" 2008

      48 김중권, "21세기 국가모델을 위한 행정법의 현대화와 개혁" 한국공법학회 48 (48): 387-419,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AW JOURNAL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0.912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