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의 인기 요인과 일본문화콘텐츠로서의 함의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of Popularity of “Attack on Titan”, an Animated Film, and the Implication as a Japanese Cultural Cont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95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designed to reconsider the status and one’s awareness of popular Japanese cultural contents in Korea in the state of recent deteriorating Korea-Japan relationship. Especially, it has examined factors of popularity and various implications focusing on “Attack on Titan”, an animated film, which has been sensational in both Korea and Japan since 2013. There are various reasons behind the popularity, above all, the first factor is that the film has a binary plot between men and giants and diverse symbols. However,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of the work in Korea, which coincided with this popularity, and controversies about the rightwing trend of the writer caused a decline of the popularity. And it was a momentum for people to ask the essential meaning of Japanese cultural content works. Six years later, although the popularity of the film in Korea is less than that of 2013, it is still gaining its own popularity among the big fans.
      To sum up, this paper shows that what kind of strengths of Japanese cultural contents are making the controversial work continue to be popular. Also, it proves that the film has various implications with interesting and exciting symbols like giants, cannibalism, and fear etc. Furthermore, it confirms that the potential of Japanese cultural contents in the active use of traditional Japanese cultural archetype. Finally, through these kinds of implementation method, it can offer one of the opportunities to redefine the current position of Japanese cultural contents in Korea.
      번역하기

      This paper is designed to reconsider the status and one’s awareness of popular Japanese cultural contents in Korea in the state of recent deteriorating Korea-Japan relationship. Especially, it has examined factors of popularity and various implicati...

      This paper is designed to reconsider the status and one’s awareness of popular Japanese cultural contents in Korea in the state of recent deteriorating Korea-Japan relationship. Especially, it has examined factors of popularity and various implications focusing on “Attack on Titan”, an animated film, which has been sensational in both Korea and Japan since 2013. There are various reasons behind the popularity, above all, the first factor is that the film has a binary plot between men and giants and diverse symbols. However,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of the work in Korea, which coincided with this popularity, and controversies about the rightwing trend of the writer caused a decline of the popularity. And it was a momentum for people to ask the essential meaning of Japanese cultural content works. Six years later, although the popularity of the film in Korea is less than that of 2013, it is still gaining its own popularity among the big fans.
      To sum up, this paper shows that what kind of strengths of Japanese cultural contents are making the controversial work continue to be popular. Also, it proves that the film has various implications with interesting and exciting symbols like giants, cannibalism, and fear etc. Furthermore, it confirms that the potential of Japanese cultural contents in the active use of traditional Japanese cultural archetype. Finally, through these kinds of implementation method, it can offer one of the opportunities to redefine the current position of Japanese cultural contents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애, "축제와 신화의 서사구조 : 축제의 거인성과 거인 신화 - 유럽축제와 한국축제를 중심으로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15 : 277-294, 2005

      2 김봉석, "진격의 거인: ‘진격거’는 왜 인기를 끌었을까" 에이코믹스 2013

      3 조미라, "애니메이션과 공포 - 괴담(怪談), 광기(狂氣), 식인(食人)"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42) : 1-24, 2016

      4 김정경, "만화 <진격의 거인>에 나타난 상징분석:융의 분석심리학 관점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0 (10): 43-67, 2014

      5 이희구, "동서양의 피포위 공포 연구: 워킹 데드와 진격의 거인"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33) : 211-234, 2015

      6 위클리비즈, "食人거인의 공격에 반격하는 인간… 단순한 플롯이 ‘진격의 거인’ 성공비결" 위클리비즈 2013

      7 김병수, "‘진격의 거인’, 한반도로 진격하다"

      8 문강형준, "<진격의 거인>이 질문하는 것은 무엇인가?" 플랫폼 39-, 2013

      9 구자혁, "<진격의 거인>이 꾼 꿈과 그 발달 서사의 현대적 함의: ‘바깥세계’를 향한 꿈과 현대성의 젠더화된 추동, 그리고 가내성"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5-52, 2016

      10 한국콘텐츠진흥원, "<진격의 거인> 뉴욕 타임즈 만화 랭킹에서 처음 1위 차지"

      1 조성애, "축제와 신화의 서사구조 : 축제의 거인성과 거인 신화 - 유럽축제와 한국축제를 중심으로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15 : 277-294, 2005

      2 김봉석, "진격의 거인: ‘진격거’는 왜 인기를 끌었을까" 에이코믹스 2013

      3 조미라, "애니메이션과 공포 - 괴담(怪談), 광기(狂氣), 식인(食人)"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42) : 1-24, 2016

      4 김정경, "만화 <진격의 거인>에 나타난 상징분석:융의 분석심리학 관점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0 (10): 43-67, 2014

      5 이희구, "동서양의 피포위 공포 연구: 워킹 데드와 진격의 거인"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33) : 211-234, 2015

      6 위클리비즈, "食人거인의 공격에 반격하는 인간… 단순한 플롯이 ‘진격의 거인’ 성공비결" 위클리비즈 2013

      7 김병수, "‘진격의 거인’, 한반도로 진격하다"

      8 문강형준, "<진격의 거인>이 질문하는 것은 무엇인가?" 플랫폼 39-, 2013

      9 구자혁, "<진격의 거인>이 꾼 꿈과 그 발달 서사의 현대적 함의: ‘바깥세계’를 향한 꿈과 현대성의 젠더화된 추동, 그리고 가내성"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5-52, 2016

      10 한국콘텐츠진흥원, "<진격의 거인> 뉴욕 타임즈 만화 랭킹에서 처음 1위 차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Japanology in East Asia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apanese Cultural Syudies -> Japanese Cultural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6 0.486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