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지식 교육에 대한 연구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59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제2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의 내용으로서 쓰기 지식의 교수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쓰기 지식의 범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는 데 있다. 쓰기 지식 중 내용 지식은 교사의 통제가 어려우며, 과정 지식은 교육의 내용이 아닌 목표에 가깝다. 반면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은 안정적이고 명시적인 지식으로 교수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쓰기 교육의 내용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을 바탕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41편을 통해 발표문이라는 맥락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정도와 다양한 언어적 오류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언어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표기 오류 범주에서는 맞춤법 오류가 두드러졌고 문장 오류 범주에서는 조사의 생략과 오류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구어 표현이 자주 등장하였다. 단락 단위의 결과를 보면 하나의 단락이 하나의 생각을 담아야 한다는 기본적인 단락 내용의 일관성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상당 부분 있었다. 맥락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독자를 고려한 본론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와 개관이 없고, 주제를 명확히 명시하지 않는 부분들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초급부터 맥락과 언어 구조를 중심으로 한 쓰기 지식 범주의 수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초급 교재의 글쓰기 역시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을 교육 내용으로 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고의 목적은 제2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의 내용으로서 쓰기 지식의 교수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쓰기 지식의 범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

      본고의 목적은 제2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의 내용으로서 쓰기 지식의 교수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쓰기 지식의 범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는 데 있다. 쓰기 지식 중 내용 지식은 교사의 통제가 어려우며, 과정 지식은 교육의 내용이 아닌 목표에 가깝다. 반면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은 안정적이고 명시적인 지식으로 교수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쓰기 교육의 내용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을 바탕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41편을 통해 발표문이라는 맥락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정도와 다양한 언어적 오류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언어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표기 오류 범주에서는 맞춤법 오류가 두드러졌고 문장 오류 범주에서는 조사의 생략과 오류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구어 표현이 자주 등장하였다. 단락 단위의 결과를 보면 하나의 단락이 하나의 생각을 담아야 한다는 기본적인 단락 내용의 일관성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상당 부분 있었다. 맥락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독자를 고려한 본론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와 개관이 없고, 주제를 명확히 명시하지 않는 부분들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초급부터 맥락과 언어 구조를 중심으로 한 쓰기 지식 범주의 수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초급 교재의 글쓰기 역시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을 교육 내용으로 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eachability of Writing Knowledge(consist of Content Knowledge, Context Knowledge, Linguistic Knowledge, Writing Process Knowledge) in the classroom for L2 learners and to analyze the presentation papers written by Korean learner of novice level. based on the category of Writing Knowledge. Content Knowledge can not be controlled by teacher. Writing Process Knowledge is near the objective of Writing class, not the educational contents. On the other hand,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re stable and explicit as educational contents. In regard to high teachability,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re proper as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41 presentation paper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rom an Linguistic Knowledge, there are lots of spelling mistakes or errors, drop of postpositional particle. inappropriate colloquial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consistency of content was not kept in a fair number of papers. Second, from an Context Knowledge, some papers has no overview considering the reader or did not specify the subject of papers. Through the presentation papers analysis, writing class based on the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Writing Knowledge need to be formed from novice level. Writing textbook also should reflect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educational contents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eachability of Writing Knowledge(consist of Content Knowledge, Context Knowledge, Linguistic Knowledge, Writing Process Knowledge) in the classroom for L2 learners and to analyze the presentation pa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eachability of Writing Knowledge(consist of Content Knowledge, Context Knowledge, Linguistic Knowledge, Writing Process Knowledge) in the classroom for L2 learners and to analyze the presentation papers written by Korean learner of novice level. based on the category of Writing Knowledge. Content Knowledge can not be controlled by teacher. Writing Process Knowledge is near the objective of Writing class, not the educational contents. On the other hand,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re stable and explicit as educational contents. In regard to high teachability,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re proper as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41 presentation paper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rom an Linguistic Knowledge, there are lots of spelling mistakes or errors, drop of postpositional particle. inappropriate colloquial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consistency of content was not kept in a fair number of papers. Second, from an Context Knowledge, some papers has no overview considering the reader or did not specify the subject of papers. Through the presentation papers analysis, writing class based on the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Writing Knowledge need to be formed from novice level. Writing textbook also should reflect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educational cont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쓰기 지식
      • 2.1. 쓰기 지식의 성격
      • 2.2. 쓰기 지식에 대한 논의
      • Abstract
      • 1. 서론
      • 2. 쓰기 지식
      • 2.1. 쓰기 지식의 성격
      • 2.2. 쓰기 지식에 대한 논의
      • 3. 한국어교육에서 교육 내용으로서의 쓰기 지식
      • 3.1. 내용 지식
      • 3.2. 언어 지식
      • 3.3. 맥락 지식
      • 3.4. 과정 지식
      • 4.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 분석
      • 4.1. 분석 대상
      • 4.2. 판별 기준
      • 4.3. 분석 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지원,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99-129, 2013

      2 이선영,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과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2 : 175-211, 2011

      3 김현진, "학위논문 작성 교과목의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외국인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47-73, 2011

      4 윤경숙,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재 개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7

      5 박민신, "텍스트 응집성 중심의 한국어 쓰기 피드백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71-98, 2013

      6 이원구, "텍스트 구조 지도를 통한 학문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강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 분석 : 주격조사 '이/가'와 보조사 '은/는'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3

      8 이은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작문 오류 분석을 통한 초급 쓰기 교재 연구" 한국중원언어학회 (34) : 227-242, 2015

      9 김월휘, "중국 내 한국어 교재의 교수 가능성 향상 방안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10 박태호, "장르중심 작문교육의 내용 체계와 교수·학습 원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1 윤지원,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99-129, 2013

      2 이선영, "한국어 교재에서의 쓰기 과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2 : 175-211, 2011

      3 김현진, "학위논문 작성 교과목의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외국인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47-73, 2011

      4 윤경숙,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재 개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7

      5 박민신, "텍스트 응집성 중심의 한국어 쓰기 피드백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71-98, 2013

      6 이원구, "텍스트 구조 지도를 통한 학문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강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 분석 : 주격조사 '이/가'와 보조사 '은/는'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3

      8 이은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작문 오류 분석을 통한 초급 쓰기 교재 연구" 한국중원언어학회 (34) : 227-242, 2015

      9 김월휘, "중국 내 한국어 교재의 교수 가능성 향상 방안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10 박태호, "장르중심 작문교육의 내용 체계와 교수·학습 원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11 이해영,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문적 구두 발표 장르 분석-한국인 대학원생 및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구두 발표와 비교하여-" 이중언어학회 (37) : 133-174, 2008

      12 임천택, "쓰기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 반영에 관한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 237-261, 2005

      13 김지유, "쓰기 지식과 쓰기 수행의 상관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 김정숙,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어 교육 원리 및 모형" 이중언어학회 15 (15): 103-122, 1998

      15 정언학, "대학생 글쓰기의 형식적 오류 분석 -구, 문장, 단락, 글 차원의 문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13-169, 2014

      16 정희모, "대학생 글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오류 양상" 중앙어문학회 (52) : 147-172, 2012

      17 용재은, "대학 수학 목적의 한국어 읽기·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학문적 텍스트의 분석과 적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8 김정숙,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 (10): 195-213, 1999

      19 이정숙, "교사의 중재에 따른 쓰기 지식의 변환" 청람어문교육학회 (29) : 85-134, 2004

      20 Jolliffe, David A., "Writing in academic disciplines" 35-88, 1988

      21 Applebee, A.N, "What writers know:The language, process, and structure of written discourse" Academic Press 365-381, 1982

      22 Wang&Wen, "L1 use in the L2 composing process: An exploratory study of 16 Chinese EFL writers" 11 : 225-246, 2002

      23 Tribble, C., "Genres, keywords, teaching: towards a pedagogic account of the language of project proposals" 188-198, 1998

      24 정다운, "'장르'와 '과정'의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07 1.73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