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소셜 미디어 시대와 선거의 변화: 인터넷 팟캐스트 ‘나는 꼼수다’의 대학생 정치참여 효과를 중심으로 = Social Media Age and the Changes in El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833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effects that the popular political internet podcast program titled “Naneun Ggomsuda”(hereinafter referred to as “Naggomsu”) has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This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effects that the popular political internet podcast program titled “Naneun Ggomsuda”(hereinafter referred to as “Naggomsu”) has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that listen to Naggomsu by conducting a survey for college students in Seoul after the Seoul mayor election held on October 26, 2011. A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as applied as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Although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college student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podcast Naggomsu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college student group’s determination to vote or selection of the supported candidate. Second, the college student group displayed a stronger effect of self-reinforcement regarding their chosen candidate as such group listened to Naggomsu. Thirdly, despite of Naggomsu’s positive effects on the group’s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t caused the polarization of like-minded groups and a distorted sense of fandom rather than creating and developing an area for the public to voice their opin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정치 인터넷 팟캐스트로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나는 꼼수다(이하나꼼수)’의 청취가 대학생 집단의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논문은 2011년 10....

      본 논문은 정치 인터넷 팟캐스트로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나는 꼼수다(이하나꼼수)’의 청취가 대학생 집단의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논문은 2011년 10.26 서울시장 선거가 끝난 후, 서울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집단의 나꼼수 청취와 정치참여 행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설문조사는 2011년 11월 1일부터 4일까지 4일간 수행되었으며53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 집단에 한정된결과이기는 하지만, 팟캐스트 나꼼수 청취가 투표참여와 지지후보의 결정에 통계적인 유의미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 집단은 나꼼수를 청취할수록지지후보에 대한 강화효과가 강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반면에 이러한 나꼼수의 정치참여효과가 공론장의 영역으로 발전하기 보다는 왜곡된 팬덤과 끼리끼리(like-minded) 집단의 분극화(polarization)에 대한 우려도 확인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일보. 2011년 8월 1일"

      2 이은민, "팟캐스트(Podcast) 시장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8 (18): 27-32, 2006

      3 장덕진, "트위터 공간의 한국 정치: 정치인 네트워크와 유권자 네트워크" 언론정보연구소 48 (48): 80-107, 2011

      4 장우영, "지방선거와 웹캠페인: 제5회 서울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18) : 45-86, 2010

      5 "조선일보. 2011년 10월 20일"

      6 금혜성, "정치인의 SNS 활용: 정치적 소통 도구로서의 트위터" 한국정당학회 10 (10): 189-220, 2011

      7 장우영, "정보화시대의 선거와 유권자"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2 (22): 237-262, 2007

      8 김용철, "전자 민주주의: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의 모색" 오름 2005

      9 송경재, "입맛대로 SNS 분석 보도 정파성 함정 경계해야"

      10 유석진, "인터넷의 정치적 이용과 정치참여: 제17대 총선에서 대학생 집단의 매체이용과 투표참여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1 (11): 141-169, 2005

      1 "한국일보. 2011년 8월 1일"

      2 이은민, "팟캐스트(Podcast) 시장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8 (18): 27-32, 2006

      3 장덕진, "트위터 공간의 한국 정치: 정치인 네트워크와 유권자 네트워크" 언론정보연구소 48 (48): 80-107, 2011

      4 장우영, "지방선거와 웹캠페인: 제5회 서울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18) : 45-86, 2010

      5 "조선일보. 2011년 10월 20일"

      6 금혜성, "정치인의 SNS 활용: 정치적 소통 도구로서의 트위터" 한국정당학회 10 (10): 189-220, 2011

      7 장우영, "정보화시대의 선거와 유권자"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2 (22): 237-262, 2007

      8 김용철, "전자 민주주의: 새로운 정치패러다임의 모색" 오름 2005

      9 송경재, "입맛대로 SNS 분석 보도 정파성 함정 경계해야"

      10 유석진, "인터넷의 정치적 이용과 정치참여: 제17대 총선에서 대학생 집단의 매체이용과 투표참여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1 (11): 141-169, 2005

      11 강원택, "인터넷과 한국정치" 집문당 2007

      12 양승찬, "인터넷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 한국언론재단 2009

      13 류석진, "인터넷 보수의 대반격"

      14 정종기, "웹 2.0기반의 ‘팟캐스트’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미국의 도서관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1 (41): 99-120, 2010

      15 송경재, "웹 2.0 정치 UCC와 전자민주주의 - 정당, 선거 그리고 촛불시민운동의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63-91, 2009

      16 "세계일보. 2012년 2월 6일"

      17 전용주, "부산∙광주지역 대학생들의 정치성향 비교연구: 설문조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2 (42): 291-316, 2008

      18 유창주, "박원순과 시민혁명" 두리미디어 2011

      19 송경재, "미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의 특성과 정치참여" 극동문제연구소 26 (26): 129-157, 2010

      20 송경재, "디지털 디바이드에서 다층적 스마트 디바이드 사회로"

      21 김용호, "네티즌 포퓰리즘이냐, 새로운 형태의 정치참여인가?: ‘노사모’사례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03

      22 "내일신문. 2011년 10월 18일"

      23 김어준, "나는 꼼수다 1" 시사IN북 2012

      24 김용민, "나는 꼼수다 (뒷담화)" 미래를소유한사람들 2011

      25 Shirky, Clay., "끌리고 쏠리고 들끓다" 갤 리온 2008

      26 "경향신문. 2011년 12월 27일"

      27 Hirzalla, Fadi, "us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Reflections on the mobilization/normalization controversy" 27 : 2011

      28 Foot, Kirsten A., "Web Campaigning" MIT press 2006

      29 Fraser, Matthew, "Throwing Sheep in the Boardroom: How Online Social Networking Will Transform Your Life. Work and World" Wiley 2008

      30 Safko, L., "The social media bible: tactics, tools, and strategies for business success" Wiley 2009

      31 Ellison, Nicole B.,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s and social capital" 12 (12): 2007

      32 "The New York Times. November 8, 2011"

      33 Castells, Manuel, "The Internet Galaxy"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4 Joseph Klapper, "The Effects of Mass Communication" Free Press 1960

      35 Barber, Benjamin, "Strong democracy: Participatory politics for a new 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36 Qualman, Erik., "Socialnomics: How Social Media Transforms the Way We Live and Do Business" Wiley 2009

      37 Sunstein, Cass, "Republic.com 2.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38 Feenberg, A., "Questioning Technology" Routledge 1999

      39 Conover, M. D., "Political Polarization on Twitter" 2011

      40 Panebianco, A., "Political Parties: Organization and Power" Cambridge Univ. Press 1988

      41 Milbrath, L. W., "Political Participation" Rand McNally 1977

      42 Verva, Sidney, "Participation in America: Political democracy and social equality" Harper and Row 1972

      43 Smith, Aaron, "Online participation in the social media era" The University of Arizona’s Race Track Industry Program 2009

      44 Castells, Manuel, "Mobile Communication and Society: A Global Perspective" MIT PRESS 2009

      45 Delany, Colin, "Learning from Obama: Lessons for Online Communicators in2009 and Beyond"

      46 Chadwick, A., "Internet Politics: States, Citizens, and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7 Tapscott, Don., "Grown Up Digital: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McGraw-Hill 2008

      48 Montgomery, Kathryn, "Generation Digital: Politics, Commerce, and Childhood in the Age of the Internet" The MIT Press 2007

      49 Boulianne, Shelly, "Does Internet use affect engagement? A meta-analysis of research" 26 : 193-211, 2009

      50 Winner, L., "Do Artifacts Have Politics?, In Technology and Politics" MIT Press 1988

      51 윤영민, "Dialogue 1 : 소셜미디어와 집단지성"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1

      52 Norris, Pippa, "Democratic Phoenix : Reinventing Political Activ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3 Shirky, Clay, "Cognitive Surplus: Creativity and Generosity in a Connected Age" Penguin Press 2010

      54 Newson, A., "Blogging and other social media" Gower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ivil Society and NGO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79 1.155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