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불교사와 동양의학사에서의 인간론 변용 고찰 = A study on the Transfiguration of Uisang and Lee Jema’s thought on human being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and medici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9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불교사에서 의상의 회엄사상은 실천성이 강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한 실천성은 중생과 부처를 본질적으로 동등하게 보고 나아가 우리 범부의 五尺의 몸에서 바로 부처를 보는 인간론...

      한국불교사에서 의상의 회엄사상은 실천성이 강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한 실천성은 중생과 부처를 본질적으로 동등하게 보고 나아가 우리 범부의 五尺의 몸에서 바로 부처를 보는 인간론에 바탕하고 있다. 의상은 『일승법계도』에서 부처와 중생이 중도 무분별의 존재임을 강조하였는데, 이러한 그의 인간론은 중국 유학을 마치고 신라로 귀국한 이후 새롭게 변용되고 있다. 의상 화염사상의 한국적 변용에서 보이는 그의 인간론은 五尺身을 가지고 인간의 진리성에 대해 논하는 것이었다. 無住의 오척신에서 실천적인 변은 더욱 강조되었고, 의상의 삶 또한 이러한 인간론의 실현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그의 실천행은 무엇보다도 현실의 인간을 중시한 그의 사유에서 나온 것으로서, 유사한 사례를 동무 이제마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다. 동양의학사에서 『황제내경』이 음양오행설로써 자연과 인간의 상응관계를 설명하고 음양의 부조화가 질병 발생의 원인이라고 본 것과 달리, 이제마는 희로애락의 감정이 인체 장부의 大小를 결정하며 질병 발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인간 내면의 수양을 강조하였다. 이제마의 이러한 인간론은 그가 질병 치유에 있어서 인간의 정신적, 내면적인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음을 의미하며, 그의 사상의학이 인간 중심적 의학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국불교사와 동양의학사에서 의상과 이제마의 인간론 변용은 기존의 전통에서 필요한 것은 수용하면서도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사유를 전개하고 그러한 사유가 이론적인 것에 그치지 않고 당시의 시대상황에 맞게 사람들을 보살피고 그들 속에 뛰어들어 사람들의 삶을 유익하게 하고 치유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갖는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Korean history of Buddhism, Uisang occupies the leading position. As you know, when he was studying in China, he wrote the 『Ilseungbeopgyedo』(一乘法界圖). He proclaim ed that Buddha and all living beings are equal on the bas is of indi...

      In the Korean history of Buddhism, Uisang occupies the leading position. As you know, when he was studying in China, he wrote the 『Ilseungbeopgyedo』(一乘法界圖). He proclaim ed that Buddha and all living beings are equal on the bas is of indiscrimination in the 『Ilseungbeopgyedo』. In addition to this, he looked upon Buddha and all living beings as a manifestation of the nature of dharma in the viewpoint of the middle path. Later he came back to Silla and explained the idea of the body of five Korean foot (五尺身). By this course, we are able to know the transfiguration of Uisang’s thoughs on human beings. The same case is discovered in Lee Jema. Meanwhile,『Hwangjenaegyeong』 is regarded as the oldest medical book in the oriental hi story of medicine. 『Hwangjenaegyeong』 is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Yin and Yang. It is said that the emotion of Joy-Anger-Sorrow-Pleasure (喜怒哀樂) is related to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Yin and Yang(陰陽五行) and the lake of harmony of the Yin and Yang leads to illness. While Lee Jema argued that the innate characteristics of the size of inner organs (臟腑大小) is determined by the emotion of Joy- Anger- Sorrow-Pleasure and we are sick because of it. He focused on the inside of the human being and volition. In conclusion, we note that Uisang and Lee Jema gave attention to the human being itself. They both made use of merits actively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and medicine. Furthermore, their idea worked in practice. We lay greatness upon this poi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서언
      • Ⅱ. 의상의 인간론
      • Ⅲ. 이제마의 인간론
      • Ⅳ. 의상과 이제마의 인간론 변용 비교
      • 요약문
      • Ⅰ. 서언
      • Ⅱ. 의상의 인간론
      • Ⅲ. 이제마의 인간론
      • Ⅳ. 의상과 이제마의 인간론 변용 비교
      • Ⅴ. 결어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주 스님, "화엄의 세계" 민족사 1998

      2 金 煐泰, "한국불교사" 경서원 1997

      3 고 익진, "한국고대불교사상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9

      4 홍 원식, "중국의학사" 동양의학연구원 1984

      5 해주 스님, "정선 화엄Ⅰ" 대한불교조계종 한국전통사상서 간행위원회 2010

      6 三枝充悳, "인간론·심리학" 불교시대사 1996

      7 사또우 아츠시, "의상의 진리관-중도와 그 향방" 의상만해연구원 1 : 2002

      8 이 효걸, "의상, 이 땅에 화엄정토를 건설하다, In 인물로 보는 한국의 불교사상" 예문서원, 한국불교원전연구회 2004

      9 정병삼, "의상 화엄사상의 사회적 의의" 청년사 (3) : 1992

      10 정 병삼, "의상 화엄사상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1 해주 스님, "화엄의 세계" 민족사 1998

      2 金 煐泰, "한국불교사" 경서원 1997

      3 고 익진, "한국고대불교사상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9

      4 홍 원식, "중국의학사" 동양의학연구원 1984

      5 해주 스님, "정선 화엄Ⅰ" 대한불교조계종 한국전통사상서 간행위원회 2010

      6 三枝充悳, "인간론·심리학" 불교시대사 1996

      7 사또우 아츠시, "의상의 진리관-중도와 그 향방" 의상만해연구원 1 : 2002

      8 이 효걸, "의상, 이 땅에 화엄정토를 건설하다, In 인물로 보는 한국의 불교사상" 예문서원, 한국불교원전연구회 2004

      9 정병삼, "의상 화엄사상의 사회적 의의" 청년사 (3) : 1992

      10 정 병삼, "의상 화엄사상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11 배 효상, "애로희락의 정서를 통해 바라본 사상의학과 불교, In 불교의 마음챙김과 사상의학-불교와 의학의 만남-" 운주사 2011

      12 송 일병, "알기 쉬운 사상의학" 하나미디어 1993

      13 이 제마, "동의수세보원" 여강출판사 1992

      14 이종찬, "동아시아 의학의 전통과 근대" 문학과지성사 2004

      15 박성식, "동무 이제마의 사상의학과 불교의 영향, In 불교의 마음챙김과 사상의학-불교와 의학의 만남-" 운주사 2011

      16 李 慶雨, "黃帝內經靈樞" 여강출판사 2000

      17 "黃帝內經"

      18 圓光大學校 附設 韓國傳統醫學硏究所 基礎醫學硏究部, "韓醫學 槪說" 永林社 1999

      19 張 敬善, "醫易學思想" 법인문화사 2000

      20 "東醫壽世保元" 大星文化社 1998

      21 박성식, "宗密의 『原人論』과 東武 李濟馬의 「原人」篇에 나타난 人間論" 불교문화연구원 (61) : 335-373, 2012

      22 李 濟馬, "四象醫學原論" 행림출판 1985

      23 정 병삼, "中國 華嚴宗의 形成과 義相, In 韓國佛敎文化思想史(上)" 가산문고 1992

      24 "『 法界圖記叢髓錄』『한불전』6)"

      25 "『 宋高僧傳』『대정장』50)"

      26 "『 一乘法界圖』『한불전』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0.9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