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선호도 유형 분류 및 개인 변인의 영향력 분석 = Classification of College Students` Job Preference Types and Influence Analysis of Individual Variab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3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college students` job preferences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variables on the types of job preferences. For this purpose, 1,760 college students from the 9th year (2012)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latent class analysis, three potential groups were derived and among the Big-5 personality factors, both sincerity and openness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type of job preferences.
      Also, in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gender, SAT scores, majors and parents' inco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job preference typ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en constructing career counseling or career education programs of college student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individual personality on job preferen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college students` job preferences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variables on the types of job preferences. For this purpose, 1,760 college students from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college students` job preferences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variables on the types of job preferences. For this purpose, 1,760 college students from the 9th year (2012)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latent class analysis, three potential groups were derived and among the Big-5 personality factors, both sincerity and openness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type of job preferences.
      Also, in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gender, SAT scores, majors and parents' inco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job preference typ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en constructing career counseling or career education programs of college student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individual personality on job prefere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직업선호도에 따른 유형을 파악하고 개인 특성 및 배경 변인이 취업선호도 유형에 주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집하고 있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9차년도(2012년) 데이터 중 1,760명의 대학생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취업선호도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분산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취업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개인 변인을 탐색하였다.
      잠재집단분석 결과, 근무환경 중시형, 사회적 인정 선호형, 직업선호 탐색형의 3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영향 요인을 검증한 결과, 개인 특성 변인에서는 성격의 BIG 5요인 중 성실성과 개방성이 취업선호도 유형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인 배경 변인에서는 성별, 수능 등급 평균, 전공 계열, 부모의 소득이 취업선호 유형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개인의 성격 등과 같은 개인 특성 변인이 취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대학생의 진로상담이나 진로교육 및 프로그램 등을 구성할 때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직업선호도에 따른 유형을 파악하고 개인 특성 및 배경 변인이 취업선호도 유형에 주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집...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직업선호도에 따른 유형을 파악하고 개인 특성 및 배경 변인이 취업선호도 유형에 주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집하고 있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9차년도(2012년) 데이터 중 1,760명의 대학생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취업선호도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분산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취업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개인 변인을 탐색하였다.
      잠재집단분석 결과, 근무환경 중시형, 사회적 인정 선호형, 직업선호 탐색형의 3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영향 요인을 검증한 결과, 개인 특성 변인에서는 성격의 BIG 5요인 중 성실성과 개방성이 취업선호도 유형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인 배경 변인에서는 성별, 수능 등급 평균, 전공 계열, 부모의 소득이 취업선호 유형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개인의 성격 등과 같은 개인 특성 변인이 취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대학생의 진로상담이나 진로교육 및 프로그램 등을 구성할 때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명실,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상담학회 8 (8): 1085-1099, 2007

      2 이옥, "한국 학생 청소년의 직업개념인식과 직업가치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 32-44, 1993

      3 황매향, "학업우수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직업포부수준 비교" 한국상담학회 7 (7): 1137-1152, 2006

      4 김정숙, "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79-102, 2006

      5 오계택, "취업선호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8-230, 2014

      6 김지현, "청소년의 적응군집화 및 5요인 성격특성이 집단판별에 기여하는 변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149-174, 2011

      7 임은미, "청소년 직업가치의 유형 및 변화와 전공 선택 경향에 따른 직업가치 차이"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61-77, 2010

      8 유홍준, "청년층의 취업선호도 변화와 영향 요인"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19, 2016

      9 최율, "청년층 취업선호도와 노동시장 진입의 관계: 잠재집단분석과 생존분석을 통한 접근" 한국사회학회 49 (49): 1-44, 2015

      10 오호영, "청년층 취업눈높이 결정요인과 노동시장 성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1-64, 2012

      1 조명실,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상담학회 8 (8): 1085-1099, 2007

      2 이옥, "한국 학생 청소년의 직업개념인식과 직업가치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 32-44, 1993

      3 황매향, "학업우수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직업포부수준 비교" 한국상담학회 7 (7): 1137-1152, 2006

      4 김정숙, "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79-102, 2006

      5 오계택, "취업선호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8-230, 2014

      6 김지현, "청소년의 적응군집화 및 5요인 성격특성이 집단판별에 기여하는 변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149-174, 2011

      7 임은미, "청소년 직업가치의 유형 및 변화와 전공 선택 경향에 따른 직업가치 차이"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61-77, 2010

      8 유홍준, "청년층의 취업선호도 변화와 영향 요인"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19, 2016

      9 최율, "청년층 취업선호도와 노동시장 진입의 관계: 잠재집단분석과 생존분석을 통한 접근" 한국사회학회 49 (49): 1-44, 2015

      10 오호영, "청년층 취업눈높이 결정요인과 노동시장 성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1-64, 2012

      11 오호영, "청년층 취업난과 미스매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1 (61): 6-35, 2012

      12 이병희, "청년 고용 문제, 눈높이 때문인가?" 한국산업노동학회 17 (17): 71-94, 2011

      13 임 언, "직업가치관검사개발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14 최병률, "중학교 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의식 분석" 2 (2): 265-290, 1986

      15 서인덕, "조직문화 지각이 조직몰입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 동일시의 매개효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4 (14): 77-97, 2007

      16 김가영, "조직 보상시스템이 구성원 직무착근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질서경제학회 16 (16): 177-195, 2013

      17 김병숙,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에 따른 직업정보요구도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150-171, 2007

      18 이길환, "성격 5요인이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정보학회 31 (31): 397-482, 2012

      19 민혜리, "대학에서의 취업준비 과외학습의 유형과 비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134-149, 2003

      20 임옥진, "대학생의 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학회 33 (33): 19-49, 2012

      21 하문선, "대학생의 직업가치 잠재프로파일 분류: 내적 보상, 외적 보상, 환경적 보상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7 (27): 1-21, 2014

      22 주무현, "대학생 직업선호 실태조사" 한국고용정보원 2008

      23 천영민, "대졸자의 첫 일자리 이행실태 및 영향요인" 한국고용정보원 6 (6): 1-25, 2012

      24 이규용,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37 (37): 69-94, 2003

      25 정영근, "대졸 고학력 노동시장 미스매치 연구" 한국질서경제학회 14 (14): 19-39, 2011

      26 이호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직업가치의 매개효과: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29-452, 2015

      27 김현정, "고등학생의 진로성격유형에 따른 부모 진로지지와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Holland 진로탐색검사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40) : 31-51, 2011

      28 김대일, "경제위기 이후 청년실업 변화와 원인" 한국개발연구원 2004

      29 임미령, "경기지역 중학생 비행행동 잠재집단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21-443, 2015

      30 이현주, "개인적 배경과 직업가치, 일의 동기적 지향이 직업선택 확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7-33, 2004

      31 변금선, "가구 소득계층에 따른 청년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 취업 이행기간 및 임금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18): 129-161, 2015

      32 이승호, "‘인력 급구’ 중기는 괴롭다"

      33 Kalleberg, A. L, "Work values and job reward: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42 (42): 124-143, 1977

      34 Russell, J. E. A, "Vocational psychology: an analysi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59 : 226-234, 2001

      35 Lent, Robert W,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45 (45): 79-122, 1994

      36 Betz, N. E, "The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elf-efficacy expectation to perceived career options in college women and men" 28 : 399-410, 1981

      37 Lo, Y,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88 (88): 767-778, 2001

      38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Inc 1986

      39 Beutell, Nicholas J, "Sex differences in work values" 28 (28): 29-41, 1986

      40 Muthén, L. K, "Mplus User Guide: Seventh Edition" Muthén & Muthén 2012

      41 Rosenbaum, J, "Market and network theories of the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work: Their application to industrialized societies" 16 : 263-299, 1990

      42 Costa, P. T,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Press 159-181, 2008

      43 Mortensen, Dale, "Handbook of Labor Economics. Vol. 2" 1986

      44 Schwarz, G,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16 (16): 461-464, 1978

      45 Heckert, T. M, "Effect of gender and work experience on importance of job characteristics when considering job offers" 36 (36): 344-355, 2002

      46 Johnson, M. K, "Educational pathways and work value trajectories" 45 (45): 113-138, 2002

      47 Hill, K. G, "Early adult Outcomes of Adolescent binge Drinking: Person-and variable-centered Analyses of binge Drinking Trajectories" 24 (24): 892-901, 2000

      48 Heckert, T. M, "Career and salary expectations of college freshmen and seniors: are seniors more realistic than freshmen" 32 (32): 334-339, 1998

      49 Taylor, K. M,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22 : 63-81, 1983

      50 Sclove, S. L,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52 (52): 333-343, 1987

      51 Major, Brenda, "An investigation of sex differences in pay expectations and their possible causes" 27 (27): 777-792, 1984

      52 Ramaswamy, V, "An empirical pooling approach for estimating marketing mix elasticities with PIMS data" 12 (12): 103-124, 1993

      53 Akaike, H,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19 (19): 716-723, 1974

      54 산업통상자원부, "2016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 발표"

      55 통계청, "2016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 2017.1.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1.38 1.21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