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호주의 무용교육과정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dance curriculum in Korea and Austral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049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ance curriculum in Korea and Australia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dance curriculum in Korea. Upon examining the dance curriculum of the two countries, it was found that Korean dance education was taught ambiguously, with not much distinction existing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the arts. No curriculum or class time had been officially allocated to dance in Korea. Besides, dance with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lacked specificity and sequence in terms of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s. Therefore, measures to improve these problem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objective should be in line with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Secon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subdivided into individual grades, described in detail, and organized sequentially. Also,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state the performance that is expected of a student and should be organized sequentially. Third, materials and platforms for assessments should be provided to support teachers’ evaluation activities. Ultimately, to develop the primary and secondary dance education in Korea, dance should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a national-level danc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ance curriculum in Korea and Australia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dance curriculum in Korea. Upon examining the dance curriculum of the two countries, it was found that Korean dance education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ance curriculum in Korea and Australia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dance curriculum in Korea. Upon examining the dance curriculum of the two countries, it was found that Korean dance education was taught ambiguously, with not much distinction existing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the arts. No curriculum or class time had been officially allocated to dance in Korea. Besides, dance with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lacked specificity and sequence in terms of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s. Therefore, measures to improve these problem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objective should be in line with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Secon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subdivided into individual grades, described in detail, and organized sequentially. Also,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state the performance that is expected of a student and should be organized sequentially. Third, materials and platforms for assessments should be provided to support teachers’ evaluation activities. Ultimately, to develop the primary and secondary dance education in Korea, dance should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a national-level danc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현정, "호주 무용공유 교육에서 체화적 자아와 상호주관적 공간인지 기능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7 (27): 5-25, 2016

      2 백정희, "한국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따른 학교무용교육 실행에 관한 提言" (4) : 47-54, 2015

      3 최희승, "한국과 일본의 초·중등학교 무용교육 내용 비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1999

      4 이로사, "한국과 일본의 무용교육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이경옥, "한국과 일본의 무용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한국체육과학연구소 22 : 69-74, 1994

      6 김남은, "한국과 미국의 초등 무용교육과정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7 송진아, "한·미 초등 무용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배상원, "한·미 초등 무용교육과정 분석 및 비교 : 한국의 2015 개정 무용교육과정과 미국의 2014년 국가핵심예술교육기준(NCAS)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9 김운미, "학교무용교육의 실태조사 및 발전방향" 한국체육철학회 6 (6): 167-198, 1998

      10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 1)"

      1 고현정, "호주 무용공유 교육에서 체화적 자아와 상호주관적 공간인지 기능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7 (27): 5-25, 2016

      2 백정희, "한국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따른 학교무용교육 실행에 관한 提言" (4) : 47-54, 2015

      3 최희승, "한국과 일본의 초·중등학교 무용교육 내용 비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1999

      4 이로사, "한국과 일본의 무용교육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이경옥, "한국과 일본의 무용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한국체육과학연구소 22 : 69-74, 1994

      6 김남은, "한국과 미국의 초등 무용교육과정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7 송진아, "한·미 초등 무용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배상원, "한·미 초등 무용교육과정 분석 및 비교 : 한국의 2015 개정 무용교육과정과 미국의 2014년 국가핵심예술교육기준(NCAS)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9 김운미, "학교무용교육의 실태조사 및 발전방향" 한국체육철학회 6 (6): 167-198, 1998

      10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 1)"

      11 김화숙, "초, 중등 무용교과 독립의 정당성과 방향성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15 (15): 1-14, 2004

      12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11)"

      13 김미숙, "주요국의 교육 정책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14 나재용, "음악교육연구에 있어서 국제비교교육 연구 방법의 활용" 낭만음악사 19 (19): 145-163, 2007

      15 홍애령,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표현 영역의 내용체계 및 역량 요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51-571, 2019

      16 교육부,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5)"

      17 정재임, "미국의 국가 핵심 무용교육기준(NCAS in Dance)의 내용 및 구성 체계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 27 (27): 45-67, 2016

      18 홍애령, "무용교육과정 국제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9 홍미영, "무용교과 독립의 당위성과 현행 체육교과의 문제점- 현행 교과서의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회 22 : 27-48, 2004

      20 김말복, "무용교과 독립을 위한 방안" 한국무용예술학회 11 (11): 1-15, 2003

      21 송종건, "무용 교과 독립개설의 당위성에 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38호) : 101-114, 2004

      22 백연, "뉴질랜드 무용교육 현황분석을 통한한국 초·중등 학교무용교육의 발전방향" 한국무용교육학회 27 (27): 45-71, 2016

      23 이근호, "국제 비교를 통한 국가 교육과정 적용체제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4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The Arts: Sequence of Content"

      25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The Arts: Sequence of Achievement"

      26 Queensland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 "Providing the Australian Curriculum in Prep to Year 10 in Queensland State Schools From 2017"

      27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Monito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Foundation-Year 10 Australian Curriculum 2018"

      28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Curriculum Design Paper Version 3"

      29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Australian Curriculum: The Arts Foundation to Year 10"

      30 교육부, "2020년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기본 계획"

      31 박수현, "2009 개정 체육교육과정 표현활동 지도의 난점과 개선방향"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45-5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4 0.81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