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 영구임대주택단지는 대부분 1990년대 후반에서 1993년까지 공급되었으며, 현재 대부분의 영구임대주택단지는 시설이 지어진지 20년이 경과했다. 20년이 지난 영구임대주택단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광주광역시의 영구임대주택단지는 대부분 1990년대 후반에서 1993년까지 공급되었으며, 현재 대부분의 영구임대주택단지는 시설이 지어진지 20년이 경과했다. 20년이 지난 영구임대주택단지...
광주광역시의 영구임대주택단지는 대부분 1990년대 후반에서 1993년까지 공급되었으며, 현재 대부분의 영구임대주택단지는 시설이 지어진지 20년이 경과했다. 20년이 지난 영구임대주택단지의 노후화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단지내의 많은 주민 편의 시설이 아닌 단지 내에 방치된 외부공간과 근린생활시설등은 빈점포로 다수의 범죄 행위가 일어나는 등 단지 환경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영구임대주택단지가 준공된 이후에 도시적,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 급속하게 변화되었으며, 내부적으로는 영구임대주택단지의 중요한 커뮤니티 공간인 근린생활시설은 대형마트 입점, 거주민들의 소비행태 변화 등으로 인해 빈 점포가 늘어나고, 점점 침체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후화된 영구임대주택단지에 대한 미래의 단지재생을 위한 해석이 필요하며, 사회적 기피시설로서의 단지가 아닌 지역사회를 포함한 다양한 주체와의 협업을 통한 물리적 재생과 사회경제적 재생을 위한 평가지표로 분석하고 제안해보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PRHC) in Gwangju were built and provided from late 1990s till 1993 and it has been aged 20 years since its construction. These facilities are being deteriorated very quickly. Because of this situation, its ...
Most of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PRHC) in Gwangju were built and provided from late 1990s till 1993 and it has been aged 20 years since its construction. These facilities are being deteriorated very quickly. Because of this situation, its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nd outer spaces are being left unused. It gives negative images to complex environment with a number of criminal acts and potential danger on those abandoned spaces. In addition, after construction of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there has been rapid changes in the aspect of urban,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and those important community space such as convenience facilities for permanent rental housing has become more empty and depressed due to changed consumption behavior of inhabitants such as using big supermarkets nearby.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nalyze for future regeneration of complex. It should not be considered as socially being avoided facilities. It shall be analyzed by evaluation indicators for socioeconomic regeneration and physical regeneration including local communities in collaboration with various par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정석,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민간주택의 활용방안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29 (29): 35-52, 2011
2 최성민, "영구임대주택 시설물의 유지관리 수선사례 분석을 통한 수선주기 재설정"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6 (16): 169-178, 2014
3 임의선, "사회물리적재생을 통한 주거환경개선이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학회 22 (22): 1-10, 2011
4 김미희,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및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이용 실태" 한국주거학회 22 (22): 133-142, 2011
5 조영태, "노후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동 및 복지서비스 공급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8 (28): 263-270, 2012
6 조영태, "노후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기능 강화를 위한 재구조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8 (28): 77-84, 2012
7 박정은, "공공임대주택 커뮤니티 시설의 배치 만족도 특성 및 커뮤니티 시설 프로그램 유형 연구 - 광주시내 영구임대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31-40, 2012
8 "www.biz-gis.com"
9 "www.auric.or.kr"
10 Lee Ji Young, "Typological Analysis of Sustainable Renovation for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4 (4): 2013
1 오정석,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민간주택의 활용방안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29 (29): 35-52, 2011
2 최성민, "영구임대주택 시설물의 유지관리 수선사례 분석을 통한 수선주기 재설정"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6 (16): 169-178, 2014
3 임의선, "사회물리적재생을 통한 주거환경개선이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학회 22 (22): 1-10, 2011
4 김미희,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및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이용 실태" 한국주거학회 22 (22): 133-142, 2011
5 조영태, "노후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동 및 복지서비스 공급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8 (28): 263-270, 2012
6 조영태, "노후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기능 강화를 위한 재구조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28 (28): 77-84, 2012
7 박정은, "공공임대주택 커뮤니티 시설의 배치 만족도 특성 및 커뮤니티 시설 프로그램 유형 연구 - 광주시내 영구임대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31-40, 2012
8 "www.biz-gis.com"
9 "www.auric.or.kr"
10 Lee Ji Young, "Typological Analysis of Sustainable Renovation for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4 (4): 2013
11 Statistics Korea, "Present condition of Jeollanam-do regular & conventional markets" 2004
12 Yoon Young Ho, "Direction of welfare service, according to Permanently Rented Housing locational property and need of hierarchy" (17) : 2012
Louis I. Kahn의 건축에서 룸의 의미에 관한 연구
영국 문화재와 보호구역내 건축물 개발 특성에 관한 연구
학교 외부에서 폭력피해의 공간과 시간 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5 | 0.53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