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이나믹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토픽 변화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opic Tre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ing Dynamic Topic Mod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4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문헌정보학 SSCI 85종 학술지에 게재된 55,442편의 학술논문의 논문제목과 초록을 기반으로 다이나믹토픽모델링을 수행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도별 흐름에 따른 연구 주제 추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개의 토픽에서 도서관경영(장서개발 및 관리, 도서관평가, 도서관 지식경영, 기획 및 활성화), 정보학(계량정보학, 정보이용행태․이용자연구, 의료정보, 정보시스템), 도서관 서비스(도서관교육․정보리터러시), 도서관체계(도서관 시책 및 정책)에 따른 4개의 대분류를 파악하였다. 연도별 흐름에 따라 정보학 영역의 경우, 계량정보학 연구 주제가 학술지단위에서 논문단위로 변화되고 있었으며, 최근 도서관경영 영역의 경우, 이용자의 의견과 감정에 관련한 연구가 최근 등장하였다. 도서관서비스 연구영역은 20년간 안정적인 연구 주제로 그 양상이 보다 심화되고 견고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모바일과 소셜미디어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보학영역 하위주제로 의료정보와 관련한 연구가 비중 있게 등장해, 문헌정보학의 간학문적인 특징이 잘 나타난 결과라 판단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문헌정보학 SSCI 85종 학술지에 게재된 55,442편의 학술논문의 논문제목과 초록을 기반으로 다이나믹토픽모델링을 수행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도별 흐름에 ...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문헌정보학 SSCI 85종 학술지에 게재된 55,442편의 학술논문의 논문제목과 초록을 기반으로 다이나믹토픽모델링을 수행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도별 흐름에 따른 연구 주제 추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개의 토픽에서 도서관경영(장서개발 및 관리, 도서관평가, 도서관 지식경영, 기획 및 활성화), 정보학(계량정보학, 정보이용행태․이용자연구, 의료정보, 정보시스템), 도서관 서비스(도서관교육․정보리터러시), 도서관체계(도서관 시책 및 정책)에 따른 4개의 대분류를 파악하였다. 연도별 흐름에 따라 정보학 영역의 경우, 계량정보학 연구 주제가 학술지단위에서 논문단위로 변화되고 있었으며, 최근 도서관경영 영역의 경우, 이용자의 의견과 감정에 관련한 연구가 최근 등장하였다. 도서관서비스 연구영역은 20년간 안정적인 연구 주제로 그 양상이 보다 심화되고 견고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모바일과 소셜미디어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보학영역 하위주제로 의료정보와 관련한 연구가 비중 있게 등장해, 문헌정보학의 간학문적인 특징이 잘 나타난 결과라 판단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pplied dynamic topic modeling on titles and abstracts of 55,442 academic papers in 85 SSCI journals from 2001 to 2020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opic tre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analysis revealed four major themes of library management, informatics, library service, and library system in 10 major topics. The results also showed subtopics in information science and library management topic areas to change over time, while library service remained stable over 20 years to establish itself as a robust topic. In addition, medical information emerged as a significant sub-topic of informatics, thus exemplifying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번역하기

      This study applied dynamic topic modeling on titles and abstracts of 55,442 academic papers in 85 SSCI journals from 2001 to 2020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opic tre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analysis revealed four major themes of l...

      This study applied dynamic topic modeling on titles and abstracts of 55,442 academic papers in 85 SSCI journals from 2001 to 2020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opic tre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analysis revealed four major themes of library management, informatics, library service, and library system in 10 major topics. The results also showed subtopics in information science and library management topic areas to change over time, while library service remained stable over 20 years to establish itself as a robust topic. In addition, medical information emerged as a significant sub-topic of informatics, thus exemplifying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정표,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연구동향 분석 : 1957~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4 (34): 9-32, 2003

      2 송정숙,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현황 분석 - 2001년∼2010년 발행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1 (41): 333-353, 2010

      3 박자현 ; 송민,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7-32, 2013

      4 박주섭 ; 홍순구 ; 김종원,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과학기술동향 및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 22 (22): 19-28, 2017

      5 장남경 ; 김민정,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국내 패션디자인 연구동향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415-423, 2017

      6 이지영, "토픽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학술지 『리터러시연구』연구 동향 분석"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537-565, 2020

      7 진설아 ; 송민, "토픽 모델링 기반 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학제성 측정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3 (33): 7-32, 2016

      8 오세훈,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 및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2 (22): 379-408, 2005

      9 이명희, "문헌정보학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비블리아학회 16 (16): 177-201, 2005

      10 최형욱 ; 최예진 ; 남소연, "문헌정보학 분야의 지적구조 및 연구 동향 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 2003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정보관리학회 35 (35): 89-114, 2018

      1 손정표,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연구동향 분석 : 1957~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4 (34): 9-32, 2003

      2 송정숙,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현황 분석 - 2001년∼2010년 발행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1 (41): 333-353, 2010

      3 박자현 ; 송민,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7-32, 2013

      4 박주섭 ; 홍순구 ; 김종원,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과학기술동향 및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 22 (22): 19-28, 2017

      5 장남경 ; 김민정,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국내 패션디자인 연구동향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415-423, 2017

      6 이지영, "토픽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학술지 『리터러시연구』연구 동향 분석"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537-565, 2020

      7 진설아 ; 송민, "토픽 모델링 기반 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학제성 측정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3 (33): 7-32, 2016

      8 오세훈,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 및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2 (22): 379-408, 2005

      9 이명희, "문헌정보학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비블리아학회 16 (16): 177-201, 2005

      10 최형욱 ; 최예진 ; 남소연, "문헌정보학 분야의 지적구조 및 연구 동향 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 2003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정보관리학회 35 (35): 89-114, 2018

      11 이재윤, "문헌동시인용 분석을 통한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 전선 파악" 한국정보관리학회 32 (32): 77-106, 2015

      12 김동훈 ; 오찬희 ; 주영준, "다이나믹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한 블록체인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8 (38): 23-39, 2021

      13 우창우 ; 이종연, "다이나믹 토픽 모델을 활용한 D(Data)ㆍN(Network)ㆍA(A.I) 중심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융합학회 11 (11): 21-29, 2020

      14 Yang, Kiduk ; 김선욱 ; 이혜경, "국제 및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성과 비교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55 (55): 365-392, 2021

      15 박준형 ; 오효정,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토픽모델링 기법 비교 - LDA와 HDP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8 (48): 235-258, 2017

      16 Deveci, T., "Sentence length in education research articles : a comparison between Anglophone and Turkish authors" 14 (14): 73-100, 2019

      17 Blei, D. M., "Latent dirichlet allocation" 3 (3): 993-1022, 2003

      18 Blei, D. M., "Dynamic topic models" 113-120, 2006

      19 Landauer, T. K., "An introduction to latent semantic analysis" 25 : 259-284,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2 0.99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