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름 착색단고추의 저장에 따른 품종별 품질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46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착색단고추의 일본 수출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단경기인 여름철에 고랭지 여름재배를 통한 연중공급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지만, 여름에 생산된 과실은 상품성이 쉽게 상실되는 문제...

      착색단고추의 일본 수출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단경기인 여름철에 고랭지 여름재배를 통한 연중공급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지만, 여름에 생산된 과실은 상품성이 쉽게 상실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띠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름에 생산된 착색단고추 7품종(빨간색 ‘Goal’, ‘Plenty’, ‘Jubilee’, 노란색 ‘Derby’, ‘Romeca’, ‘Mydas’ 및 오렌지색 ‘Maximalia’ 등)의 저장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과실들은 합천의 600-800m 고랭지에서 생산된 것을 구입하여 수출용 박스에 포장하여 10℃에서 저장하였고, 과실품질 조사는 4주간 4일 간격으로 하였다. 감모율은 ‘Jubilee’ 가 가장 낮았고 ‘Romeca’가 높았다. 경도는 ‘Goal’이 저장 4주 동안 높게 유지되었고, 색깔별로는 빨간색 품종들이 높은 경도를 보였다. 과색의 L value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는데, ‘Jubilee’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종자의 갈변은 ‘Plenty’와 ‘Derby’가 가장 많았다. 괴질의 부패는 16-20일부터 발생하였는데, ‘Maximalia’와 ‘Plenty’가 빨리 시작되었다. 상품성은 ‘Jubilee’와 ‘Romeca’가 저장 16일째까지 70% 이상을 유지해 가장 높았지만, 저장 24일부터는 대부분의 품종에서 20%이하로 상품성을 거의 상실하였다. 따라서 여름에 생산된 착색단고추 과실들은 10℃에서 저장할 경우, 2주정도 까지는 80% 내외의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mmer production of sweet pepper in Korea which cultured in the highland area such as Hapchon is essential for a year-round export, but has the problem, fruits lose easily those marketabil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changes of fruit q...

      The summer production of sweet pepper in Korea which cultured in the highland area such as Hapchon is essential for a year-round export, but has the problem, fruits lose easily those marketabil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changes of fruit quality in response to storage on sweet pepper cultivars in summer. Seven cultivars of sweet peppers, ‘Jubilee’, ‘Plenty’, ‘Goal’, ‘Romeca’, ‘Derby’, ‘Midas’ and ‘Maximalia’ were obtained from growers in Hapchon which was highland of 600-800m from sea level and stored at 10℃ with box packing. Fruit quality was evaluated every 4days up to 4weeks. The weight loss of ‘Jubilee’ was the lowest, that of ‘Romeca’ was the highest. The firmness of ‘Goal’ was maintained highly for 4weeks and the red cultivars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lor cultivars. The lightness of ‘Jubilee’ was sensitively affected by storage duration. Seeds of ‘Plenty’ and ‘Derby’ were plentifully browned after 4weeks storage. The occurrence of fruit rotting was after 16-20day storage and those of 'Plenty' and ‘Maximalia’ were the earliest. The marketability of ‘Jubilee’ and ‘Romeca’ maintained by 70% for 16 days was the highest, but most cultivars lost those by 20% after 24days storage.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marketability of sweet pepper producted in summer can be stored at 10℃ for 2weeks to maintain that of 80%.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요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요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Vegetables. Hyangmunsa" 119-142, 2003

      2 "The commercial storage of fruits" 1986

      3 "Storage of Capsicums" 261-265, 1981

      4 "Storage characteristics of some vegetables and soft fruits" 339-408, 1975

      5 "Shortwave ultraviolet irradiation for control of decay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bell pepper" 126 : 128-133, 2001

      6 "Postharvest physiology of food crops" 1982

      7 "MeSA and MeJA increase steady-state transcript levels of alternative oxidase and resistance against chilling injury in sweet peppers" 166 : 711-719, 2004

      8 "Individual seal-packing of fruit and vegetables in plastic film Controlled/modified atmosphere/vacuum packaging of foods" Food & Nutrition Press Inc 1989

      9 "Fruit quality of ‘York’ tomato as influenced by harvest maturity and storage temperature" 23 : 31-37, 2005

      10 "Freshness retention during postharvest period of sweet pepper fruit" 529-534, 2002

      1 "Vegetables. Hyangmunsa" 119-142, 2003

      2 "The commercial storage of fruits" 1986

      3 "Storage of Capsicums" 261-265, 1981

      4 "Storage characteristics of some vegetables and soft fruits" 339-408, 1975

      5 "Shortwave ultraviolet irradiation for control of decay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bell pepper" 126 : 128-133, 2001

      6 "Postharvest physiology of food crops" 1982

      7 "MeSA and MeJA increase steady-state transcript levels of alternative oxidase and resistance against chilling injury in sweet peppers" 166 : 711-719, 2004

      8 "Individual seal-packing of fruit and vegetables in plastic film Controlled/modified atmosphere/vacuum packaging of foods" Food & Nutrition Press Inc 1989

      9 "Fruit quality of ‘York’ tomato as influenced by harvest maturity and storage temperature" 23 : 31-37, 2005

      10 "Freshness retention during postharvest period of sweet pepper fruit" 529-534, 2002

      11 "Chilling injury affected by Thiabendazole and CA during cold storage of green pepper fruit" 39 : 680-683, 1998

      12 "Changes in fruit quality of two paprika Cultivars in response to storage temperatures" 46 : 369-374,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시설원예‧식물공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외국어명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1-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9-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KCI등재
      2013-04-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시설원예‧식물공장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5 0.82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