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리듬자극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감각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256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리듬자극(rhythmic visual stimulation, RVS)을 이용한 보행 운 동을 적용하여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각리듬자극(rhythmic visual stimulation, RVS)을 이용한 보행 운 동을 적용하여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21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1명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14m의 보행로가 확보된 공간에서 준비 운동 5분, 보행운동 20분, 정리운동 5분 씩 주 3회, 4주간 12회를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의 운동프로그램과 같 은 조건에서 보행운동시 시각리듬자극(RVS)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였다. 운동 전‧후에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을 측정 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 였고 대조군과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공분산분석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각리듬자극(RVS)이 적용된 실험군에서 보행속도와 분속수, Timed up and go test(TUG) 시간이 유의 하게 증가하였고(p<.05), 고유수용성감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결론적으로 시각리듬자극(RVS)을 이용한 보 행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성감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음악적 요소인 시각리듬자극(RVS)이 정신적·육체적 기능을 상실한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rhythmic stimulation in gait ability and propriocep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Twenty-one persons after six months post stroke participated in pre and post test control. The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rhythmic stimulation in gait ability and propriocep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Twenty-one persons after six months post stroke participated in pre and post test control.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rhythmic visual stimulation(RVS) group (n=10) and control group (n=11). Training process was practiced with exercise on thirty minutes a day, three days a week for four weeks. To find out the effect, inspected the proprioception test and gait characteristics by gait analysis. In gait characteristics, the walking speed, cadence and the TUG tim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RVS group. The propriocep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RVS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the RVS training increased better functional activity by postural adjustment and gait learning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so, the RVS training of hemiplegic patients was very important to successive rehabilitation. A continuous examination of RVS training could be practical use of physical therapy with exerci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선, "최대하 트레드밀 운동에 의한 피로가 신체동요에 미치는 영향" 7 (7): 45-46, 2000

      2 김성학, "체중 현수 트레드밀 훈련이 만성 뇌졸중 노인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2004

      3 임선옥, "재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2002

      4 이주영, "음악의 리듬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적 보행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1999

      5 차영아, "리듬,음악 그리고 뇌" 학지사 35-36, 2009

      6 황병용,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 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2002

      7 Walker, C,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80 : 886-895, 2000

      8 Hamman, RG, "Training effects during repeated therapy sessions of balance 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73 : 738-744, 1992

      9 Caillet, F, "Three dimentionnal gait analysis and controlling spastic foot on stroke patients" 46 : 119-131, 2003

      10 Podsiadlo,D., "The timed "Up & Go": a test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39 (39): 142-148, 1991

      1 이미선, "최대하 트레드밀 운동에 의한 피로가 신체동요에 미치는 영향" 7 (7): 45-46, 2000

      2 김성학, "체중 현수 트레드밀 훈련이 만성 뇌졸중 노인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2004

      3 임선옥, "재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2002

      4 이주영, "음악의 리듬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적 보행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1999

      5 차영아, "리듬,음악 그리고 뇌" 학지사 35-36, 2009

      6 황병용,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 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2002

      7 Walker, C,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80 : 886-895, 2000

      8 Hamman, RG, "Training effects during repeated therapy sessions of balance 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73 : 738-744, 1992

      9 Caillet, F, "Three dimentionnal gait analysis and controlling spastic foot on stroke patients" 46 : 119-131, 2003

      10 Podsiadlo,D., "The timed "Up & Go": a test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39 (39): 142-148, 1991

      11 Cheng, P. T, "Symmetrical body-weight distribution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nd effect on fall prevention." 23 : 723-734, 2001

      12 Davies,P.M, "Steps to follow:A guide to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Springer Verlag. 1985

      13 Ekdahl, C, "Standing balance in healthy subjects: Evaluation of a quantitative test battery on a force platform. Scand." 21 : 187-195, 1989

      14 원혜경,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개선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03

      15 Eng, J. J.,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83 (83): 1138-1144, 2002

      16 Wall, J. C, "Gait asymmetries in residual hemiplegia" 67 : 550-553, 1986

      17 Dickstein, R, "Foot-ground pressure pattern of standing hemiplegic patients: Major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improvement" 64 (64): 19-23, 1984

      18 MacKinnon, C. D., "Control of whole body balance in frontal plane during human walking" 26 : 633-644, 1993

      19 Howe, T. E, "Auditory cues can modify the gait of persons with early-stage Parkinson's disease: A Method for enhancing Parkinsonian walking performance" 17 : 363-367, 2003

      20 Shumway-Cook, A., "Attention demands and postural control: The effect of sensory context" 55 (55): 10-16, 2002

      21 De Domenico G, "Accuracy of voluntary movements at the thumb and elbow joints" 65 : 471-478, 1987

      22 Woollacott, M, "A gait and posture control : Changes in sensory organization and muscular coordination" 23 : 97-114, 1986

      23 Perry, Jacquelin, ",Gait analysis-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