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정의 공동체 접근(Just Community Approach)에 대한 도덕 교육적 고찰 = The Just Community Approach and Its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91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콜버그(Kohlberg)의 정의공동체 접근이 지니는 도덕교육적 특징과 시사점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인지도덕 발달론자인 콜버그는 블라트의 연구에 기초하여 가상적인 딜레마 토론을 통한 도덕교육을 주장하였다. 이 방법은 기존의 덕목주의와 행동주의 교육이론에 내재된 도덕적 상대주의와 교화의 위험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콜버그는 이 방법을 학교 및 교도소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도덕적 판단과 행위간의 불일치 문제, 실제적인 문제의 경시 문제, 잠재적 교육과정의 영향력 경시 등의 문제를 인식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그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있는 대안으로 모색한 것이 정의 공동체 접근이다. 이 접근은 키부츠 방문을 통하여 그 이론적 토대가 마련되었고, 교도소에서 처음으로 적용한 다음, 그 긍정적인 연구 결과에 고무 받아 클러스터 고등학교에서 실제로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정의 공동체 접근은 참여 민주주의 원리를 구현하여 도덕교육에 대한 정의의 관점과 공동체적 관점 즉, 개인주의적인 도덕교육과 듀르케임의 집단주의 도덕교육과의 조화를 추구하였다. 즉, 실제적인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토론을 통하여 개인 및 집단의 도덕 발달을 촉진하고자 하였고, 잠재적 교육과정 즉 공동체의 분위기가 도덕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와 함께 구성원들의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과 소속감, 동료집단의 영향력, 도덕적 옹호자,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 형식에 대한 교육과 함께 내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가상적인 딜레마보다는 학교 안에서 실제로 직면하는 도덕적인 문제에 대한 토론을 강조하였다. 콜버그가 주장한 가상적인 딜레마 토론수업과 정의 공동체 접근은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도덕교육의 목적은 도덕발달의 촉진에 있고, 그 방법은 딜레마 토론이어야 한다는 점은 중시하였다. 덕교육 및 통합적 인격교육론을 중요한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및 교실의 도덕공동체화 방안을 중요한 도덕교육의 방법으로 제안하고 있다. 콜버그의 정의 공동체 접근은 이러한 도덕공동체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가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본 논문에서는 교실 도덕 공동체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 콜버그의 정의 공동체 접근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의공동체 접근이 우리나라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덕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그리고 통합적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제시해보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콜버그(Kohlberg)의 정의공동체 접근이 지니는 도덕교육적 특징과 시사점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인지도덕 발달론자인 콜버그는 블라트의 연구에 기초하여 가상적인 딜...

      본 연구는 콜버그(Kohlberg)의 정의공동체 접근이 지니는 도덕교육적 특징과 시사점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인지도덕 발달론자인 콜버그는 블라트의 연구에 기초하여 가상적인 딜레마 토론을 통한 도덕교육을 주장하였다. 이 방법은 기존의 덕목주의와 행동주의 교육이론에 내재된 도덕적 상대주의와 교화의 위험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콜버그는 이 방법을 학교 및 교도소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도덕적 판단과 행위간의 불일치 문제, 실제적인 문제의 경시 문제, 잠재적 교육과정의 영향력 경시 등의 문제를 인식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그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있는 대안으로 모색한 것이 정의 공동체 접근이다. 이 접근은 키부츠 방문을 통하여 그 이론적 토대가 마련되었고, 교도소에서 처음으로 적용한 다음, 그 긍정적인 연구 결과에 고무 받아 클러스터 고등학교에서 실제로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정의 공동체 접근은 참여 민주주의 원리를 구현하여 도덕교육에 대한 정의의 관점과 공동체적 관점 즉, 개인주의적인 도덕교육과 듀르케임의 집단주의 도덕교육과의 조화를 추구하였다. 즉, 실제적인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토론을 통하여 개인 및 집단의 도덕 발달을 촉진하고자 하였고, 잠재적 교육과정 즉 공동체의 분위기가 도덕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와 함께 구성원들의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과 소속감, 동료집단의 영향력, 도덕적 옹호자,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 형식에 대한 교육과 함께 내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가상적인 딜레마보다는 학교 안에서 실제로 직면하는 도덕적인 문제에 대한 토론을 강조하였다. 콜버그가 주장한 가상적인 딜레마 토론수업과 정의 공동체 접근은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도덕교육의 목적은 도덕발달의 촉진에 있고, 그 방법은 딜레마 토론이어야 한다는 점은 중시하였다. 덕교육 및 통합적 인격교육론을 중요한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및 교실의 도덕공동체화 방안을 중요한 도덕교육의 방법으로 제안하고 있다. 콜버그의 정의 공동체 접근은 이러한 도덕공동체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가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본 논문에서는 교실 도덕 공동체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 콜버그의 정의 공동체 접근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의공동체 접근이 우리나라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덕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그리고 통합적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제시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ust community approach and its implications on moral education. The Just Community Approach in moral education is based on a cognitive-developmental approach, from visits to a kibbutz and the structural psychological theory of individual moral judgment development that has been tried in prisons and cluster high schools. This approach focuses on building a moral community by involving students in democratic decision making. The core of these approaches was group moral discussions of hypothetical and practical dilemmas. This approach represents an effort to balance justice and community. Moral education in a just community school has to deal with content as well as
      structure. The teacher not only facilitates discussion among students, but also leads them in decision making by advocating. Finally,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search on the just community approach are addressed in this stud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ust community approach and its implications on moral education. The Just Community Approach in moral education is based on a cognitive-developmental approach, from visits to a kibbutz and the structu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ust community approach and its implications on moral education. The Just Community Approach in moral education is based on a cognitive-developmental approach, from visits to a kibbutz and the structural psychological theory of individual moral judgment development that has been tried in prisons and cluster high schools. This approach focuses on building a moral community by involving students in democratic decision making. The core of these approaches was group moral discussions of hypothetical and practical dilemmas. This approach represents an effort to balance justice and community. Moral education in a just community school has to deal with content as well as
      structure. The teacher not only facilitates discussion among students, but also leads them in decision making by advocating. Finally,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search on the just community approach are addressed in this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며 2
      • II. 콜버그의 가상적 도덕 딜레마 토론을 통한 도덕교육 3
      • III. 정의 공동체 접근의 등장 배경 5
      • 1. 딜레마 토론 교육의 한계 및 변화 필요성 인식 5
      • 2. 키부츠 방문 연구 6
      • I. 들어가며 2
      • II. 콜버그의 가상적 도덕 딜레마 토론을 통한 도덕교육 3
      • III. 정의 공동체 접근의 등장 배경 5
      • 1. 딜레마 토론 교육의 한계 및 변화 필요성 인식 5
      • 2. 키부츠 방문 연구 6
      • 3. 도덕적 환경의 중요성 인식 8
      • IV. 정의 공동체 접근의 실제적 적용 및 도덕교육적 특징 9
      • 1. 정의공동체 학교의 구성원리 및 기본 제도 9
      • 2. 도덕교육적 특징 10
      • V. 맺음말 14
      • 참고문헌 16
      • Abstract 1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콜버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아카넷 2000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I:바른생활,도덕,슬기로운 생활,사회,자연"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4

      3 토마스 리코나, "인격교육론" 백의 1998

      4 박병춘, "배려윤리와 도덕교육" 울력 2002

      5 Kurtines, W. M,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학지사 2004

      6 콜버그, "도덕발달의 철학" 교육과학사 1985

      7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교육부고시 제1997-15호"

      8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9 정세구, "공동체주의 교육" 교육과학사 2002

      10 Hickey J., "Toward a Just Correctional System" Josset-Bass 1980

      1 콜버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아카넷 2000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I:바른생활,도덕,슬기로운 생활,사회,자연"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4

      3 토마스 리코나, "인격교육론" 백의 1998

      4 박병춘, "배려윤리와 도덕교육" 울력 2002

      5 Kurtines, W. M,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학지사 2004

      6 콜버그, "도덕발달의 철학" 교육과학사 1985

      7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교육부고시 제1997-15호"

      8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9 정세구, "공동체주의 교육" 교육과학사 2002

      10 Hickey J., "Toward a Just Correctional System" Josset-Bass 1980

      11 Higgins A, "The Relationship of Moral Atmosphere to Judgment of Responsibility. In Morality, Moral Behavior, And Moral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Inc 74-106, 1984

      12 Kohlberg L., "The Philosophy of Moral Development" Harper and Row 1981

      13 Piaget, J., "The Moral Judgment of the Child" Routledge & Kegan Paul Ltd. 1932

      14 Kohlberg L., "The Moral Atmosphere of the School. In Moral Education……. It Comes With the Territory" McCutchan Publishing Co. 196-220, 1976

      15 Kohlberg, L, "The Justice Structure of the Prison: A Theory and Intervention" 51 : 3-14, 1972

      16 Kohlberg L., "The Just Community in Theory and Practice. In Moral Education Theory and Application" Lawrence,Erlbaum Associates Publisher. 1985

      17 Higgins, A., "The Just Community Educational Program. In Who Cares? Theory, Research,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Ethics of Care" Praeger 197-215, 1989

      18 Power, F, "The Just Community Approach to classroom Participation. In Learning for Life : Mo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Praeger 228-245, 1992

      19 Kohlberg L., "Revisions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moral development. In Moral Development: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Josey-Bass 1978

      20 Kohlberg, L, "Psychology and Educational Practice" Scott Foresman 1971

      21 Hersh, R. H, "Promoting Moral Growth" Longman Inc.

      22 Walker, L. J, "Moral Stages and Moral Orientations in Real-Life and Hypothetical Dilemmas. In Caring Voices and Women’s Moral Frames: Gilligan’s View" Garland Publishing 1994

      23 Berkowitz M. W, "Moral Education : Theory and Applic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 1985

      24 Peters R .S., "Moral Development and Moral Education" Allen and Unwin 1981

      25 Kurtines, W. M, "Moral Development Through Social Interaction" John Wiley & Sons, Inc. 1987

      26 Power F, "Lawrence Kohlberg's Approach to Moral Educ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9

      27 Leming J. S., "Kohlbergian Programmes in Moral Education: A Practical Review and Assessment. In Lawrence Kohlberg: Consensus and Controversy" The Falmer Press 1987

      28 Wolins M, "Group Care: An Israeli Approach" Gordon and Breach 1971

      29 Reed, D. R., "Following Kohlberg"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7

      30 Kohlberg L.,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and the Practice of Collective Moral Education. In Group Care: An Israeli Approach" Gordon and Breach 1971

      31 Reimer J., "A Week in the Life of Cluster. In C. Power, A. Higgins, Kohlberg L, Lawrence Kohlberg’s Approach to Moral Educ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