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역사 교재 개발 방안 = History supplementary materials development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06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ends of Special education according to emphasizing the improved 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is expanding its interest in the subject curriculum. Policy support through pedagogical conversion customized by individual handicapped student is strengthening, that assist subjects material production for sensory impairment students included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push forward social studies textbook supplementary material development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 based on 2011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Visually impaired students can approach to the text materials by book in braille, but visualized materials need improvement to use. For that reason, this study suggested pedagogical converted materials development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to learn easily instead of using historical map, cultural properties, photographs, illustrations, chronological tables, diagrams, charts, etc. Accordingly, whole visualized materials in the textbooks are converted to the optimized material conditions along educational function to provide the equal treatment. Historical maps are converted by shape embossing. Cultural properties utilize papers and embossed material. And structural data as chronological tables, diagrams and graphs also are converted by shape embossing. I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change the attitude of the educators in special education about history teaching-learning. In addition, it could give an opportunity to support history instruction method for handicapped students’ learning.
      번역하기

      Trends of Special education according to emphasizing the improved 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is expanding its interest in the subject curriculum. Policy support through pedagogical conversion customized by individual handicapped student is stren...

      Trends of Special education according to emphasizing the improved 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is expanding its interest in the subject curriculum. Policy support through pedagogical conversion customized by individual handicapped student is strengthening, that assist subjects material production for sensory impairment students included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push forward social studies textbook supplementary material development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 based on 2011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Visually impaired students can approach to the text materials by book in braille, but visualized materials need improvement to use. For that reason, this study suggested pedagogical converted materials development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to learn easily instead of using historical map, cultural properties, photographs, illustrations, chronological tables, diagrams, charts, etc. Accordingly, whole visualized materials in the textbooks are converted to the optimized material conditions along educational function to provide the equal treatment. Historical maps are converted by shape embossing. Cultural properties utilize papers and embossed material. And structural data as chronological tables, diagrams and graphs also are converted by shape embossing. I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change the attitude of the educators in special education about history teaching-learning. In addition, it could give an opportunity to support history instruction method for handicapped students’ lear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반교육과정에 대한 접근성 제고를 강조하는 최근 특수교육의 동향은 교과교육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 장애학생의 개별 특성에 따른 교육적 요구에 따라 교과교육 내용에 대한 교수적 변환을 통하여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시각장애학생을 포함하여 감각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별 자료 제작 지원에까지 이르렀고, 2011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시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과 교과서의 보완 자료 개발을 추진하였다. 시각장애학생은 기존 점자 교과서를 통해 언어 내용에 대한 접근에는 용이하지만, 시각자료를 비롯한 비언어적 내용에는 적합한 자료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해 접근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역사 지도, 문화재 및 당대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및 삽화, 연·도표 및 그래프 등의 시각자료를 시각장애학생들이 접근하기에 용이하도록 교수적 변환을 꾀한 자료를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시각장애학생도 일반학생들과 같은 교육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교과서에 있는 모든 시각자료를 선정하여 변환한다는 전제 하에 교육적 기능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자료의 형태로 역사지도를 양각화하여 변환하고, 사진이나 삽화로 제시되어 접근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던 문화재를 종이를 활용한 모형화와 함께 양각 자료를 병행하여 변환하며, 구조적 자료 형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연·도표, 그래프의 양각화를 통한 변환을 함으로서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역사 교재 개발 방안의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와 같은 개발 과정은 특수교육에서의 역사 교수-학습 개선에 관한 의식을 고양시키는 한편, 교과교육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역사 교수-학습 방안을 지원하고자 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번역하기

      일반교육과정에 대한 접근성 제고를 강조하는 최근 특수교육의 동향은 교과교육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 장애학생의 개별 특성에 따른 교육적 요구에 따라 교과교육 내용에 대한 교...

      일반교육과정에 대한 접근성 제고를 강조하는 최근 특수교육의 동향은 교과교육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 장애학생의 개별 특성에 따른 교육적 요구에 따라 교과교육 내용에 대한 교수적 변환을 통하여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시각장애학생을 포함하여 감각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별 자료 제작 지원에까지 이르렀고, 2011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시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과 교과서의 보완 자료 개발을 추진하였다. 시각장애학생은 기존 점자 교과서를 통해 언어 내용에 대한 접근에는 용이하지만, 시각자료를 비롯한 비언어적 내용에는 적합한 자료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해 접근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역사 지도, 문화재 및 당대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및 삽화, 연·도표 및 그래프 등의 시각자료를 시각장애학생들이 접근하기에 용이하도록 교수적 변환을 꾀한 자료를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시각장애학생도 일반학생들과 같은 교육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교과서에 있는 모든 시각자료를 선정하여 변환한다는 전제 하에 교육적 기능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자료의 형태로 역사지도를 양각화하여 변환하고, 사진이나 삽화로 제시되어 접근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던 문화재를 종이를 활용한 모형화와 함께 양각 자료를 병행하여 변환하며, 구조적 자료 형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연·도표, 그래프의 양각화를 통한 변환을 함으로서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역사 교재 개발 방안의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와 같은 개발 과정은 특수교육에서의 역사 교수-학습 개선에 관한 의식을 고양시키는 한편, 교과교육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역사 교수-학습 방안을 지원하고자 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훈, "특수학교 교육과정 적용평가 및개선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2 이대식, "특수아동을 위한 교과교육의 원리와 요소"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95-119, 2006

      3 정동영, "특수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2011

      4 김병하,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의 정립"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43-62, 2006

      5 정동영, "특수교육과 교과교육, In 특수교육 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1-40, 2008

      6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교육과정"

      7 박남수,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사회과 수업 참여를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와 적용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45-59, 2013

      8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사회과부도(실험본)" 진주교대국정도서편찬위원회. (주)천재교육 2013

      9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사회과부도" 한국교원대국정도서편찬위원회. (주)천재교육 2013

      10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3~6학년 사회·사회과탐구" 한국교원대국정도서편찬위원회. (주)천재교육 2013

      1 이유훈, "특수학교 교육과정 적용평가 및개선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2 이대식, "특수아동을 위한 교과교육의 원리와 요소"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95-119, 2006

      3 정동영, "특수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2011

      4 김병하,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의 정립"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43-62, 2006

      5 정동영, "특수교육과 교과교육, In 특수교육 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1-40, 2008

      6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교육과정"

      7 박남수,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사회과 수업 참여를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와 적용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45-59, 2013

      8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사회과부도(실험본)" 진주교대국정도서편찬위원회. (주)천재교육 2013

      9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사회과부도" 한국교원대국정도서편찬위원회. (주)천재교육 2013

      10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3~6학년 사회·사회과탐구" 한국교원대국정도서편찬위원회. (주)천재교육 2013

      11 송인주, "초등 사회과교육에 있어서 「역사지도」의 활용방안" 32 : 137-160, 1999

      12 이동원, "초등 사회과(역사)부도의 기능 및 내용 체계 분석" 6 : 263-280, 1999

      13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14 박정은, "중학교 점자 사회교과서의 시각자료 점역형태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29-157, 2009

      15 강경찬, "종이모형 제작을 통한 문화재학습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6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13~’17]"

      17 도태현, "점자 사회교과서의 시각자료 점역형태 분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4 (24): 131-149, 2008

      18 박윤정, "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사회과교육 연구 동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357-384, 2012

      19 한국학생점자도서관, "역사체험독서교실 자료집 ‘한국사 따라가기 현장체험학습’ 네 번째 이야기: 경복궁" 2012

      20 이원순, "역사교육론" 삼영사 1980

      21 김승현, "시각장애학생의과학교육을 위한 학습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연구재단 2009

      22 전숙연, "시각장애학생의 역사학습 지도방법"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3 국립특수교육원,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사회 교과서보완자료(최종심의본)"

      24 국립특수교육원,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사회 교과서보완자료 교사용 지침서(최종심의본)"

      25 국립특수교육원,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사회 교과서보완자료 개발 세부 계획서"

      26 국립특수교육원, "시각장애학생 초등학교 교수·학습 자료 영어 6학년" 2012

      27 국립특수교육원, "시각장애학생 초등학교 교수·학습 자료 미술 5-6학년" 2012

      28 이경림, "시각장애학생 교육의 이해와 실제" 서현사 2008

      29 시진무, "시각장애학교 중학생의 역사교육 수업 실태와 역사인식 수준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8 (28): 19-42, 2012

      30 박순희, "시각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주)학지사 2010

      31 (사)청송교육문화진흥회 한국점자도서관, "손으로 감상하는 우리의 건축물" 도서출판 점자 2012

      32 한성백제박물관, "손 끝으로 느끼는 백제의 숨결 1~3권" 예영사 2013

      33 국립특수교육원, "교과용 도서 및 교육용 자료 점역출판 매뉴얼"

      34 이경림, "고등학교 점자사회교과서 시각자료 점역의 표현 형식과 정도 및 적절성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1 (11): 59-79, 2012

      35 이경림,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에 수록된 표의 점역형식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문해성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443-458, 2012

      36 정인숙,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및 특수교육 교과용 도서 적용 방안" 2011

      37 정동영, "‘2010년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총론)’의 주요 내용과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방향" 18 (18): 2011

      38 "http://www.aph.org"

      39 Nancy Amick, "World Maps"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2003

      40 Franks, F. L., "Applying educational research to maps and graphic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1983

      41 박무준,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20 : 2013

      42 이덕순, "2010 특수교육 교육과정(안)에 대한논의" 2010

      43 국립특수교육원,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특수학교 교육과정(총론) 개정(시안) 연구" 2010

      44 김응범,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능력 향상을 위한)교수 활동 평정척" 교육과학사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41 2.432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