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좋은 수업’의 의미 탐색과 수업전문성 평가준거로서의 활용 방안 -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 = The Research about Meaning of ‘Good Teaching’and Its Utilization as a Valuation Criteria of Teaching Expertise - focused on social studies class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06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좋은 수업’,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학교현장의 수업개선에 실질적으로 크게 공헌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의 연구 결과를 실질적인 수업개선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좋은 수업’에 대한 이해의 맥락을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학습자 개개인에 대한 고려, 교사와 학생 상호간의 학습동맹, 민주적인 수업문화, 이해로서의 수업전문성이 강조되어야 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현장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 특성과 수업평가 제도상에 반영된 인식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교과적 기반을 토대로 수업을 인식하는 특성이 있고 학습동맹적 관계와 민주적인 수업문화, 본시 수업진행 장면만으로는 관찰하기 힘든 수업목표에 담긴 교사 정체성 등의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현행 수업평가제도에는 이러한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밝혔다. 따라서 현행 수업평가제도가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수업을 개선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겠다는 본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 위해서는 영역특수적 요소가 적극 반영되고, 수업 전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성 지표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개선의 실천노력 간에 나타나는 괴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최근 들어 ‘좋은 수업’,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학교현장의 수업개선에 실질적으로 크게 공헌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좋은 수업...

      최근 들어 ‘좋은 수업’,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학교현장의 수업개선에 실질적으로 크게 공헌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의 연구 결과를 실질적인 수업개선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좋은 수업’에 대한 이해의 맥락을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학습자 개개인에 대한 고려, 교사와 학생 상호간의 학습동맹, 민주적인 수업문화, 이해로서의 수업전문성이 강조되어야 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현장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 특성과 수업평가 제도상에 반영된 인식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교과적 기반을 토대로 수업을 인식하는 특성이 있고 학습동맹적 관계와 민주적인 수업문화, 본시 수업진행 장면만으로는 관찰하기 힘든 수업목표에 담긴 교사 정체성 등의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현행 수업평가제도에는 이러한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밝혔다. 따라서 현행 수업평가제도가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수업을 개선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겠다는 본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 위해서는 영역특수적 요소가 적극 반영되고, 수업 전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성 지표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수업개선의 실천노력 간에 나타나는 괴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any studies about ‘good teaching’ and ‘teaching expertise’ is actively in progress. However, the result of researches about teaching and teaching expertise actually don’t contribute to teaching improvement at schools much.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of using the result of researches about meaning of ‘good teaching’ as a practical improvement tool in teaching.
      Firstly, this study provides reasonable evidence for why considerations for the individual learner, teacher-learner learning alliance, democratic teaching culture and teaching expertise as an understanding should be emphasized.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the teachers believe good teaching is. Teachers recognize good teach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teaching subject. They think teacher’s subject identity,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s a learning alliance and democratic teaching culture are important. But, current teacher competency evaluation system mainly focuses on teachers’ teaching skills in one period of teaching. Therefore,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current teacher competency evaluation system, that i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quality of education, the evaluation index reflecting the domain-specific factors and the expertise index which can evaluate the whole process of teaching should be provided. With this, the problems result from the gap between appreciation of good teaching and practical efforts to improve teaching expected to be solved.
      번역하기

      Recently, many studies about ‘good teaching’ and ‘teaching expertise’ is actively in progress. However, the result of researches about teaching and teaching expertise actually don’t contribute to teaching improvement at schools much. The goa...

      Recently, many studies about ‘good teaching’ and ‘teaching expertise’ is actively in progress. However, the result of researches about teaching and teaching expertise actually don’t contribute to teaching improvement at schools much.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of using the result of researches about meaning of ‘good teaching’ as a practical improvement tool in teaching.
      Firstly, this study provides reasonable evidence for why considerations for the individual learner, teacher-learner learning alliance, democratic teaching culture and teaching expertise as an understanding should be emphasized.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the teachers believe good teaching is. Teachers recognize good teach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teaching subject. They think teacher’s subject identity,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s a learning alliance and democratic teaching culture are important. But, current teacher competency evaluation system mainly focuses on teachers’ teaching skills in one period of teaching. Therefore,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current teacher competency evaluation system, that i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quality of education, the evaluation index reflecting the domain-specific factors and the expertise index which can evaluate the whole process of teaching should be provided. With this, the problems result from the gap between appreciation of good teaching and practical efforts to improve teaching expected to be solv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근영,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탐색을 위한이론적 고찰" 14 (14): 81-97, 2007

      2 홍미화,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 재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599-618, 2010

      3 Meyer, H.,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2011

      4 손승남,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265-293, 2011

      5 손승남, "좋은 수업의 조건: 교수학적 관점들" 2007

      6 설규주, "좋은 사회과 수업을 위한 컨설팅 내용과 방법" 교육과학사 2008

      7 Tomlinson, C. A., "수준차가 다양한 교실 에서의 효율적인 개별화 수업" 교육과학사 2008

      8 임찬빈, "수업평가 매뉴얼:사회과 수업평가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9 함영기, "수업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실천적 탐색" 한국학술정보(주) 2010

      10 김순희, "수업개선에 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 연구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방안 탐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53-76, 2010

      1 윤근영,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탐색을 위한이론적 고찰" 14 (14): 81-97, 2007

      2 홍미화,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 재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599-618, 2010

      3 Meyer, H.,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2011

      4 손승남,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265-293, 2011

      5 손승남, "좋은 수업의 조건: 교수학적 관점들" 2007

      6 설규주, "좋은 사회과 수업을 위한 컨설팅 내용과 방법" 교육과학사 2008

      7 Tomlinson, C. A., "수준차가 다양한 교실 에서의 효율적인 개별화 수업" 교육과학사 2008

      8 임찬빈, "수업평가 매뉴얼:사회과 수업평가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9 함영기, "수업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실천적 탐색" 한국학술정보(주) 2010

      10 김순희, "수업개선에 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 연구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방안 탐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53-76, 2010

      11 유한구, "수업 전문성의 두 측면: 기술과 이해" 18 (18): 68-84, 2001

      12 진영은,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 및 과제"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47-71, 2009

      13 강대현, "사회과 초임 교사 입문 프로그램 - 중등 초임 교사 수업컨설팅 자료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14 김순희,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수업비평" 교과교육연구소 15 (15): 711-735, 2011

      15 강창숙,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특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9-34, 2011

      16 민윤, "사회과 수업 전문성 담론의 이론과 실천의 정합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27-43, 2010

      17 은지용,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한 멘토링 체제 개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13-138, 2009

      18 성경희,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117-152, 2012

      19 Clandinin, D. J, "내러티브탐구" 교육과학사 2006

      20 서명석, "교육과정 수업 거대담론 해체" 아카데미프레스 2012

      21 이화진,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실시에 따른 수업 능력개발 요구 교사의 전문성신장 지원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2 경기도교육청, "교원능력개발평가 및 교육전문직평가 매뉴얼-중등교원용"

      23 경기도교육청, "교원능력개발평가 & 교육전문직평가 매뉴얼-중등교원용"

      24 Connelly, F. M., "교사와 교육과정: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양서원 2007

      25 Stigler, J. W., "The Teaching Gap: Best Idea from the World’s Teachers for Impro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Free press 2009

      26 Hopkins, K. R., "Teaching how to learn in a what-to-learn culture" John Wiley & Sons, Inc 2010

      27 Bruner, J. S., "Studies in Cognitive Growth" Wiley 1966

      28 이경옥, "How Learning Works" 시그마프레스 2012

      29 Gregory, G. H.,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Strategies: One Size Doesn’t Fit All" Corwin Press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41 2.432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