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머니에 대해 불안전 애착을 가진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용서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는, 8개월 동안의 자기주도적 프로그램을 통해 용서에 대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105259
Madison :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5
Thesis(doctoral) --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교육심리학] , 2005
2005
영어
370.18 판사항(4)
Wisconsin
125p. : Charts ; 26cm.
References: p. 107-11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에 대해 불안전 애착을 가진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용서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는, 8개월 동안의 자기주도적 프로그램을 통해 용서에 대해 ...
본 연구는 어머니에 대해 불안전 애착을 가진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용서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는, 8개월 동안의 자기주도적 프로그램을 통해 용서에 대해 배운 연구 대상자들의 심리적 기능들 즉, 안전애착 정도, 자아존중감, 용서의 정도, 불안, 분노, 우울, 그리고 사회성 정도 등을, 용서교육을 받지 않은 통제 집단원의 심리적 기능과 비교함으로써 얻어졌다. Enright의 용서 과정 모형에 기초한 용서 교육 프로그램들은 개인의 심리적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왔다. 정서적 상처를 경험했던 집단에 관한 연구들은, 용서교육에 참여한 이후 사람들이 보다 나아진 심리적 건강상태를 보인다고 보고해왔다. 부모의 사랑을 받지 못한 청소년들, 애인의 낙태 통고를 들어야 했던 남성들, 그리고 근친 성폭행을 당했던 여성들은 그들을 고통스럽게 했던 대상을 용서함으로써 분노, 우울, 불안감이 줄어든다는 것을 경험했다. 본 연구는 불안전 애착을 가진 대학생들이 용서교육을 받게 되면 심리정서면에서 많은 잇점을 얻게 될 것인지에 관심이 있다. 애착이론에 관한 연구들은 불안전 애착과 낮은 자아존중감, 서투른 사회성, 심한 우울감 등의 사이에 의미있는 관계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만일 대학생의 불안전 애착이 보다 안전애착 쪽으로 변화될 수 있다면, 그들의 심리적 건강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이 어머니와 불안전한 애착을 형성하고 있다고 보고한 30명의 여대생이 세 집단 중 하나에 무선적으로 배치되었다. 세 집단은, 8주 동안 용서를 학습한 실험집단, 8주 동안 대안적 인간관계 개선 프로그램을 학습했던 활동통제집단, 그리고 어떠한 처치도 받지 않았던 비접촉 통제집단 등을 말한다. 따라서 각 집단은 10명의 여대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8주 동안 실험집단은 로버트 앤라이트 저, “용서가 선택이다(Forgiveness is a choice)”를 읽었고 저널을 적었으며 연구자는 매주 이메일을 보내 그들의 자기주도적 활동을 체크하였다. 활동통제집단도 또한 동일한 과정을 겪었다. 즉, 용서와 관련이 없는 다른 책 하나를 읽었고 저널과제를 수행 하였다. 8주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연구 참여자들은 애착, 용서, 자아존중감, 불안, 분노, 우울감, 사회성에 관한 질문지에 답을 하였다. 2개월 후에 추수 검사를 실시하였다. 가설은 다음과 같았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또 사전감사와 추수검사 간에 보이는 차이점수를 비교해 보았을 때, 용서교육을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안전애착, 용서, 및 심리적 기능들에서 통계적으로 더 큰 긍정적 점수변화를 보일 것이다”. 얻어진 자료는 공변량분석(ANCOVA)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해보면, 실험집단은 비접촉 통제집단보다 상태불안 (State anxiety), 상태분노 (State anger), 통합 분노 (composite anger)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높은 변화점수를 얻었다. 또한 실험집단은 활동통제집단보다 안전애착, 용서, 자아존중감, 통합불안, 기질불안, 우울감 등에서 큰 점수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사전점수와 추수점수간 비교에서 보면, 용서 프로그램을 경험했던 연구참여자들이 두 통제집단에 속했던 참여자들보다 안전애착, 용서, 자아존중감, 그리고 통합불안 등에서 유의미하게 점수가 좋아졌음을 알 수 있다. 기질적 불안은 실험집단과 활동통제집단 모두에서 개선된 점수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주도적 용서 교육이, 어머니에 대해 불안전애착을 가진 여대생들의 안전애착과 심리적 건강의 수준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Education Policy at the Party Conferences
Teachers TV Teachers TVAlcohol Education: Here's What We Want
Teachers TV Teachers TVPersonal Finance Education: The Money Quiz
Teachers TV Teachers TVEarly Sex Education: The Debate
Teachers TV Teachers TV2014 이러닝 국제 콘퍼런스 : What is the Lessons from Education Support Project~
한국교육정보진흥협회 Bose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