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위 협력적 법치주의에 관한 소고 - 법치주의 구조변동의 21세기적 의미 - = Der kooperative Rechtsstaat — Structural changes of the Rule of Law in the 21C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79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ule of law is not a self-purposed concept. The rule of law aims to guarantee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sovereign people as much as possible, so it evolves by reflecting the changes and trends of an epoch.
      Since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an epoch are not fixed, the state is given an “unendliche Aufgabe” to deal with the constantly evolving demands of the rule of law and the “issues (Gewichtungen)” of each period. These national tasks are subject to ‘Wandel’, and such changes in an epoch evolve the concept of the rule of law.
      Four factors are suggested as the 21st century factors of structural change in the rule of law. 1)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dramatically promoting the transparency and openness of the people's will, which are the main principles of democracy. 2)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property (to the concept of sharing) is spreading by the benefit of the situation that enables complete distribu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3) Ecological theories that break away from the human-centered view of the world and identify humans as a component of nature are gaining social sympathy in line with the real crises of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Ecological theory leads to a weakening of centralized power and dismantles the social and legal legitimacy enjoyed by the vested powers connected to the central power. In the end, this change will transform the vertical power structure into a horizontal one, promoting mutual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for coexistence. The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ecological publicity into the legal order will be a major factor in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rule of law. 4) Unemployment and stagnant incomes are endangering capitalism. Population growth and immigration, deepening inequality, globalization, the desire to accumulate property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verload of ecological problems, deindustrialization of the service industry, and deethicalization of economic motive require the restructuring of the capitalist system.
      These factors eventually indicate “cooperation” as a major concept. In the field of law, the concept of “Der kooperative Rechtsstaat” is already being studied. As the social demands that appeared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were captured in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the concept of “cooperation” that becomes the driving force to sustain integration and harmony in order to realize the various multidimensional demands requested in the 21st century in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needs to accept. In the so-called “Der kooperative Rechtsstaat”, cooperation between ‘people and people’ and ‘state and state’ is emphasized as well as cooperation between ‘state and people’, which was emphasized in the “sozialer Rechtssaat”.
      번역하기

      The rule of law is not a self-purposed concept. The rule of law aims to guarantee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sovereign people as much as possible, so it evolves by reflecting the changes and trends of an epoch. Since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

      The rule of law is not a self-purposed concept. The rule of law aims to guarantee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sovereign people as much as possible, so it evolves by reflecting the changes and trends of an epoch.
      Since the experiences and demands of an epoch are not fixed, the state is given an “unendliche Aufgabe” to deal with the constantly evolving demands of the rule of law and the “issues (Gewichtungen)” of each period. These national tasks are subject to ‘Wandel’, and such changes in an epoch evolve the concept of the rule of law.
      Four factors are suggested as the 21st century factors of structural change in the rule of law. 1)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dramatically promoting the transparency and openness of the people's will, which are the main principles of democracy. 2)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property (to the concept of sharing) is spreading by the benefit of the situation that enables complete distribu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3) Ecological theories that break away from the human-centered view of the world and identify humans as a component of nature are gaining social sympathy in line with the real crises of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Ecological theory leads to a weakening of centralized power and dismantles the social and legal legitimacy enjoyed by the vested powers connected to the central power. In the end, this change will transform the vertical power structure into a horizontal one, promoting mutual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for coexistence. The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ecological publicity into the legal order will be a major factor in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rule of law. 4) Unemployment and stagnant incomes are endangering capitalism. Population growth and immigration, deepening inequality, globalization, the desire to accumulate property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verload of ecological problems, deindustrialization of the service industry, and deethicalization of economic motive require the restructuring of the capitalist system.
      These factors eventually indicate “cooperation” as a major concept. In the field of law, the concept of “Der kooperative Rechtsstaat” is already being studied. As the social demands that appeared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were captured in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the concept of “cooperation” that becomes the driving force to sustain integration and harmony in order to realize the various multidimensional demands requested in the 21st century in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needs to accept. In the so-called “Der kooperative Rechtsstaat”, cooperation between ‘people and people’ and ‘state and state’ is emphasized as well as cooperation between ‘state and people’, which was emphasized in the “sozialer Rechtssaa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법치주의는 자기 목적적 개념이 아니다. 법치주의는 주권자인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최대한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때문에 시대의 변화와 흐름을 반영하여 진화한다.
      시대의 경험과 요구는 고정되어 있지 않기에 국가에게 항상 새롭게 발전하는 법치국가적 요청과 매 시기의 ‘이슈(Gewichtungen)’에 대처해야 하는 ‘무한과제(unendliche Aufgabe)’를 부여한다. 이러한 국가의 과제는 ‘시대변화(Wandel)’에 예속되고 그러한 시대변화는 법치국가개념을 그러한 변화에 ‘부합하도록 발전(korrespondierenden Evolution)’시킨다법치주의 구조변동의 21세기적 요인으로 4가지 요인을 제시하였다. 1)정보통신기술은 민주주의의 주요한 원리인 국민의사의 투명성과 공개성을 비약적으로 촉진하고 있다. 2)소유개념의 변화(공유개념)는 인터넷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최적화 혹은 완전한 배분을 가능케 해주고 있는 상황에 힘입어 확산되고 있다. 3)인간을 중심으로 세상을 보는 관점을 탈피하여 자연의 한 구성 부분으로 인간을 파악하는 생태주의 이론들이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라는 현실위기와 맞물려 설득력을 얻고 있다. 생태주의 이론은 중앙집권적 권력의 약화를 가져와 중앙권력과 연결된 기득권세력들이 누려온 사회적・법적 정당성을 해체시킨다. 결국 이러한 변화는 수직적 권력구조를 수평적 권력구조로 전환시켜 공존을 위한 상호간의 배려와 ‘협력’을 촉진할 것이다. 생태적 공공성 개념의 법질서내로의 도입은 법치주의 구조변동의 주요요인이 될 것이다. 4)실업과 늘지 않는 소득은 자본주의를 위태롭게 하고 있다. 인구증가와 이민, 불평등의 심화, 글로벌화, 순기능과 역기능을 가진 자본축적의 욕망, 생태문제의 과부하, 서비스산업의 탈산업화, 경제적 동인의 탈윤리화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재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결국 ‘협력’이라는 요소를 주요한 개념으로 징표하게 되는데 법학영역에서는 이미 “협력적 법치국가(Der kooperative Rechtsstaat)”개념이 연구되고 있다. 19세기에서 20세기로의 전환기에 나타난 사회적 요청을 법치국가원리에 담아내었듯이 21세기에 요청되는 다양한 다차원적 요구들을 법치국가원리속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통합과 조화를 지속가능하게 유지할 동력이 되는 ‘협력’개념의 수용이 필요하다. 소위 ‘협력적 법치국가’ 구조 속에서는 사회적 법치국가 구조에서 강조되던 ‘국가와 국민’ 사이의 협력뿐 아니라 ‘국민과 국민’, ‘국가와 국가’사이의 ‘협력’이 강조되게 된다.
      번역하기

      법치주의는 자기 목적적 개념이 아니다. 법치주의는 주권자인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최대한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때문에 시대의 변화와 흐름을 반영하여 진화한다. 시대의 경험과 요...

      법치주의는 자기 목적적 개념이 아니다. 법치주의는 주권자인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최대한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때문에 시대의 변화와 흐름을 반영하여 진화한다.
      시대의 경험과 요구는 고정되어 있지 않기에 국가에게 항상 새롭게 발전하는 법치국가적 요청과 매 시기의 ‘이슈(Gewichtungen)’에 대처해야 하는 ‘무한과제(unendliche Aufgabe)’를 부여한다. 이러한 국가의 과제는 ‘시대변화(Wandel)’에 예속되고 그러한 시대변화는 법치국가개념을 그러한 변화에 ‘부합하도록 발전(korrespondierenden Evolution)’시킨다법치주의 구조변동의 21세기적 요인으로 4가지 요인을 제시하였다. 1)정보통신기술은 민주주의의 주요한 원리인 국민의사의 투명성과 공개성을 비약적으로 촉진하고 있다. 2)소유개념의 변화(공유개념)는 인터넷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최적화 혹은 완전한 배분을 가능케 해주고 있는 상황에 힘입어 확산되고 있다. 3)인간을 중심으로 세상을 보는 관점을 탈피하여 자연의 한 구성 부분으로 인간을 파악하는 생태주의 이론들이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라는 현실위기와 맞물려 설득력을 얻고 있다. 생태주의 이론은 중앙집권적 권력의 약화를 가져와 중앙권력과 연결된 기득권세력들이 누려온 사회적・법적 정당성을 해체시킨다. 결국 이러한 변화는 수직적 권력구조를 수평적 권력구조로 전환시켜 공존을 위한 상호간의 배려와 ‘협력’을 촉진할 것이다. 생태적 공공성 개념의 법질서내로의 도입은 법치주의 구조변동의 주요요인이 될 것이다. 4)실업과 늘지 않는 소득은 자본주의를 위태롭게 하고 있다. 인구증가와 이민, 불평등의 심화, 글로벌화, 순기능과 역기능을 가진 자본축적의 욕망, 생태문제의 과부하, 서비스산업의 탈산업화, 경제적 동인의 탈윤리화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재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결국 ‘협력’이라는 요소를 주요한 개념으로 징표하게 되는데 법학영역에서는 이미 “협력적 법치국가(Der kooperative Rechtsstaat)”개념이 연구되고 있다. 19세기에서 20세기로의 전환기에 나타난 사회적 요청을 법치국가원리에 담아내었듯이 21세기에 요청되는 다양한 다차원적 요구들을 법치국가원리속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통합과 조화를 지속가능하게 유지할 동력이 되는 ‘협력’개념의 수용이 필요하다. 소위 ‘협력적 법치국가’ 구조 속에서는 사회적 법치국가 구조에서 강조되던 ‘국가와 국민’ 사이의 협력뿐 아니라 ‘국민과 국민’, ‘국가와 국가’사이의 ‘협력’이 강조되게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21

      2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0

      3 김성수, "행정법 I" 법문사 1998

      4 로버트 하일브로너, "자본주의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미지북스 2020

      5 리베카 헨더슨, "자본주의 대전환" 어크로스 2021

      6 Isensee, Josef, "언어와 헌법 그리고 국가" 신조사 2013

      7 박규환, "세시대, 두전환기, 네가지 기본권의 성격" 11 (11): 2005

      8 박규환, "생태주의, 생태민주주의, 법치주의-변화하는 정치 사회질서의 입법정책적 의미" 법제처 2015

      9 박규환, "생태적 기본권 도입에 관한 연구 - 지배에서 공존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109-131, 2018

      10 Morrison, Roy, "생태민주주의" 교육과학사 2005

      1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21

      2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0

      3 김성수, "행정법 I" 법문사 1998

      4 로버트 하일브로너, "자본주의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미지북스 2020

      5 리베카 헨더슨, "자본주의 대전환" 어크로스 2021

      6 Isensee, Josef, "언어와 헌법 그리고 국가" 신조사 2013

      7 박규환, "세시대, 두전환기, 네가지 기본권의 성격" 11 (11): 2005

      8 박규환, "생태주의, 생태민주주의, 법치주의-변화하는 정치 사회질서의 입법정책적 의미" 법제처 2015

      9 박규환, "생태적 기본권 도입에 관한 연구 - 지배에서 공존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109-131, 2018

      10 Morrison, Roy, "생태민주주의" 교육과학사 2005

      11 권경휘, "법치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 하버마스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원 24 (24): 343-379, 2014

      12 레오폴드 포스피실, "법인류학" 민음사 1992

      13 양천수, "민주적 법치국가의 내적 갈등" 법학연구원 28 (28): 271-305, 2018

      14 박규환, "기본권 기능의 발전과정 분석을 통한 법치주의 이론의 재구성" 한국비교공법학회 5 (5): 191-212, 2004

      15 장영철, "국가조직론" 화산미디어 2020

      16 최송화, "공익론-공법적 탐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7 위르겐 하버마스, "공론장의 구조변동-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관한 연구" 나남 2019

      18 정필운, "갈등의 치유, 대립의 통합 과정에서 헌법의 기능" (26) : 2015

      19 Winter, Gerd, "Ökologische Verhältnismäßigkeit" 2013

      20 Kim, Sung-Soo, "Vom paternalistischen zum partnerschaftlichen Rechtsstaat" Nomos 2000

      21 Habermas, Jürgen, "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Untersuchungen zu einer Kategorie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suhrkamp 1990

      22 Calliess, Christian, "Rechtsstaat und Umweltstaat: Zugleich ein Beitrag zur Grundrechtsdogmatik im Rahmen mehrpoliger Verfassung" Mohr Siebeck 2001

      23 Treutner, Erhard, "Kooperativer Rechtsstaat: Das Beispiel Sozialverwaltung" Nomos 1998

      24 Benz, Arthur, "Kooperative Verwaltung: Funktionen, Voraussetzungen und Folgen" Nomos 1994

      25 Hesse, Konrad, "Grundzüge des Verfassung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C. F. Müller 1999

      26 Häberle, Peter, "Die Wesensgehaltsgarantie des Artikel 19 Abs" C. F. Müller 1983

      27 Park, kyu hwan, "Die Drittwirkung der Grundrechte des Grundgesetzes im Vergleich zum koreanischen Verfassungsrecht" 2004

      28 Häberle, Peter, "Der kooperative Verfassungsstaat, in: Verfassung als öffentlicher Prozess" Duncker und Humblot 1996

      29 Voigt, Rüdiger, "Der kooperative Staat: Krisenbewältigung durch Verhandlung?" Nomos 1995

      30 Ritter, Ernst-Hasso, "Der kooperative Staat: Bemerkungen zum Verhältnis von Staat und Wirtschaft" 104 (104): 1979

      31 Hesse, Konrad, "Bestand und Bedeutung der Grundrechte" EuGRZ 1978

      32 제러미 리프킨, "3차 산업혁명" 민음사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Law Research Institute in University of Seoul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7 1.118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