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21
2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0
3 김성수, "행정법 I" 법문사 1998
4 로버트 하일브로너, "자본주의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미지북스 2020
5 리베카 헨더슨, "자본주의 대전환" 어크로스 2021
6 Isensee, Josef, "언어와 헌법 그리고 국가" 신조사 2013
7 박규환, "세시대, 두전환기, 네가지 기본권의 성격" 11 (11): 2005
8 박규환, "생태주의, 생태민주주의, 법치주의-변화하는 정치 사회질서의 입법정책적 의미" 법제처 2015
9 박규환, "생태적 기본권 도입에 관한 연구 - 지배에서 공존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109-131, 2018
10 Morrison, Roy, "생태민주주의" 교육과학사 2005
1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21
2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0
3 김성수, "행정법 I" 법문사 1998
4 로버트 하일브로너, "자본주의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미지북스 2020
5 리베카 헨더슨, "자본주의 대전환" 어크로스 2021
6 Isensee, Josef, "언어와 헌법 그리고 국가" 신조사 2013
7 박규환, "세시대, 두전환기, 네가지 기본권의 성격" 11 (11): 2005
8 박규환, "생태주의, 생태민주주의, 법치주의-변화하는 정치 사회질서의 입법정책적 의미" 법제처 2015
9 박규환, "생태적 기본권 도입에 관한 연구 - 지배에서 공존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109-131, 2018
10 Morrison, Roy, "생태민주주의" 교육과학사 2005
11 권경휘, "법치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 하버마스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원 24 (24): 343-379, 2014
12 레오폴드 포스피실, "법인류학" 민음사 1992
13 양천수, "민주적 법치국가의 내적 갈등" 법학연구원 28 (28): 271-305, 2018
14 박규환, "기본권 기능의 발전과정 분석을 통한 법치주의 이론의 재구성" 한국비교공법학회 5 (5): 191-212, 2004
15 장영철, "국가조직론" 화산미디어 2020
16 최송화, "공익론-공법적 탐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7 위르겐 하버마스, "공론장의 구조변동-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관한 연구" 나남 2019
18 정필운, "갈등의 치유, 대립의 통합 과정에서 헌법의 기능" (26) : 2015
19 Winter, Gerd, "Ökologische Verhältnismäßigkeit" 2013
20 Kim, Sung-Soo, "Vom paternalistischen zum partnerschaftlichen Rechtsstaat" Nomos 2000
21 Habermas, Jürgen, "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Untersuchungen zu einer Kategorie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suhrkamp 1990
22 Calliess, Christian, "Rechtsstaat und Umweltstaat: Zugleich ein Beitrag zur Grundrechtsdogmatik im Rahmen mehrpoliger Verfassung" Mohr Siebeck 2001
23 Treutner, Erhard, "Kooperativer Rechtsstaat: Das Beispiel Sozialverwaltung" Nomos 1998
24 Benz, Arthur, "Kooperative Verwaltung: Funktionen, Voraussetzungen und Folgen" Nomos 1994
25 Hesse, Konrad, "Grundzüge des Verfassung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C. F. Müller 1999
26 Häberle, Peter, "Die Wesensgehaltsgarantie des Artikel 19 Abs" C. F. Müller 1983
27 Park, kyu hwan, "Die Drittwirkung der Grundrechte des Grundgesetzes im Vergleich zum koreanischen Verfassungsrecht" 2004
28 Häberle, Peter, "Der kooperative Verfassungsstaat, in: Verfassung als öffentlicher Prozess" Duncker und Humblot 1996
29 Voigt, Rüdiger, "Der kooperative Staat: Krisenbewältigung durch Verhandlung?" Nomos 1995
30 Ritter, Ernst-Hasso, "Der kooperative Staat: Bemerkungen zum Verhältnis von Staat und Wirtschaft" 104 (104): 1979
31 Hesse, Konrad, "Bestand und Bedeutung der Grundrechte" EuGRZ 1978
32 제러미 리프킨, "3차 산업혁명" 민음사 2013